• 제목/요약/키워드: 증상과 징후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33초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전후 교합력 비교 (Comparison of Bite Force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이상일;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가 관절과 근육 등 다양한 구조물에 이환되는 복합적인 질환을 통칭하는 용어인 점을 고려하여 이환 구조물에 따라 세부 진단군으로 분류하여 최대교합력을 조사함으로써 진단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 및 치료 전후의 교합력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교합이 비교적 정상이고 치아상실이나 치주질환이 심하지 않은 편측성 증상과 징후를 환자 중에서 치료가 종결된 환자 36명 (남:여=7:29, 평균연령 $28.1{\pm}13.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내원시에 교합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이환측 및 비이환측의 견치와 제1대구치에서 최대교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다음, 치료가 종결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최대교합력을 측정,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paired t-test, ANOVA, multiple comparison t-tests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견치에서는 증상측과 비증상측 모두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최대교합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했으며,(p=0.001, p=0.000) 제1대구치에서는 증상측에서만 다소 증가된 경향을 보여주었다.(p=0.081) 치료전후의 최대교합력의 변화는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측두하악장애를 이환 조직에 따라 저작근장애군, 관절내장증군, 관절염증군 및 골관절염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증상측 구치부에서 각 진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p=0.023) 견치에서는 일부 군에서만 차이가 관찰되었다. 견치와 제1대구치 모두에서 골관절염군의 최대 교합력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낮았는데, 이는 통증과 정형적 불안정이 교합력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료전후의 차이는 저작근장애군과 관절내장증군에서는 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된 반면, 골관절염군에서는 비증상측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0.05). 즉, 본 연구는 근육 또는 관절 기원의 통증, 기능이상, 정형적 불안정은 최대교합력의 감소를 야기하며 이는 보존적인 치료 후에 회복됨을 보여주는데, 치료 전후의 변화는 제1대구치보다 견치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

반복적인 심폐소생술 시행 후 건강한 소방대원에서 나타나는 증상, 심전도 및 혈역학적 변화 (The changes of symptom, EKG and hemodynamic in healty firefighters after delivering multiple cycle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이효주;김호중;정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81-388
    • /
    • 2017
  •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는 효과적인 가슴압박을 강조하지만, 구조자들이 가슴압박을 시행하는 것과 관련한 피로에 대해서는 적절히 다루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방대원들을 대상으로 마네킨에 심폐소생술을 여러 사이클을 수행한 후에 보일 수 있는 증상, 혈역학적 상태, 그리고 심전도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활력징후, 심전도, 주관적 피로도 점수를 심폐소생술 시작 전, 심폐소생술 5주기 후, 10주기 시행 후에 측정하였으며, 심폐소생술 후 나타나는 증상에 대해 설문하였다. 39명의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5.54{\pm}10.26$세이었으며, 심폐소생술 후 피로와 숨가뿜, 어지러움 등을 호소했다. 심폐소생술 시작 전, 5주기 후, 10주기 후 심박수, 호흡수, 호기말이산화탄소, 산소포화도, 맥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명의 참가자에서 심페소생술 10주기 후 부정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지속적인 심폐소생술은 건강한 성인들에서 피로와 혈역학적 변화 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및 교육에서는 장시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경우 구조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병리조직검사에서 "Full-house" 패턴의 면역 복합체 침착이 발견된 비루푸스 신염 (A Case of "Full-house" Nephropathy in a Non-lupus Patient)

  • 유하영;손미경;조명현;곽병옥;박혜원;임소덕;정소정;김교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128-131
    • /
    • 2014
  • "full-house" 면역 복합체 침착은 루푸스 신병증의 진단적인 조직 소견이다. 이 증례 보고에서 12세 남자 환아는 지속적인 현미경적 혈뇨와 단백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그는 신장 조직 검사에서 "full-house" 신병증을 진단받았으나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관련한 어떠한 임상적 징후나 혈청학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비록 "full-house" 신병증이 전신성 홍반성 낭창에 선행하는 질병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루푸스와 관련된 증상이나 혈청학적인 자가 항체가 출현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을 요한다. 대부분의 현미경적 혈뇨는 좋은 예후를 가지고 있고, 보통은 소변검사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며 관찰한다. 그러나 이 증례에서 보듯이 소변검사 이상이 발견 되었을 때 오랫동안 무증상으로 잠복하는 "full-house" 신병증 또한 고려되어야 하며, 이는 몇몇의 임상적인 증상 및 혈청학적 소견이 음성이었던 환자가 전신성 홍반성 낭창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호스피스 암 환자를 위한 의무기록지의 개발 (Development of Hospice Oriented Medical Record (HOMR) for Cancer Patients)

  • 성정원;홍성문;김시완;김정아;박준철;김수현;서민정;허신회;김혜원;홍명호;최윤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49-63
    • /
    • 2004
  • 배경: 호스피스 암 환자에게 적합한 경과기록지의 부재 또한 적절한 암성 통증 관리의 장애요인으로서 기존의 "문제 지향식 의무기록"의 경과기록지 형식에서 벗어나 호스피스 암 환자를 위한 의무기록지(HOMR)를 개발하게 되었다. 방법 및 결과: 2004년 3월부터 5월 사이 고대 구로병원 호스피스 팀은 20여 차례의 모임을 갖고 호스피스 환자의 초기 평가 이후 경과기록에 사용할 수 있는 의무기록지를 개발하였다. 구성항목의 결정은 pilot study를 통해 수정과정을 거쳤다. HOMR은 A4용지 크기로 작성자를 위한 지침서 1장과 2장의 경과기록지로 구성되었다. 앞면에는 환자의 인적 사항, 현재 문제목록 및 활동 수행 능력 상태, 검사 결과, 1주일 간의 활력 징후 및 I/O, 배변 횟수가, 뒷면에는 통증 부위, 통증의 성격 및 강도, 약물 및 비약물 요법, 진정 정도, 동반 증상, 약물 부작용 등을 한꺼번에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론: 호스피스 암 환자를 위한 의무기록지는 짧은 여명과 다양한 신체 증상을 갖고 있으며 증상의 변화가 빠르지만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호스피스 환자에게 적합하며 그 자체만으로도 교육자료로서의 가치가 높고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진료의 질을 평가하거나 심사할 수 있으므로 진료의 질을 높이는 역할도 기대된다.

  • PDF

표준화환자가 스마트폰 동영상으로 증상을 보여준 진료문항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반응 (Responses of Medical Students to Using Smartphone Video at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 조영혜;김민지;염정숙;배화옥;김재범;이근미;고석봉;서지현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217-221
    • /
    • 2018
  • Background: There are practical difficulties to show exact clinical symptoms such as seizure to medical students at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CPX). We developed a new CPX case of child's seizure on video using smartphone. Methods: A total of 356 $4^{th}-year$ students of five universities in Daegue-Gyeongbuk and Gyeongnam area took the clinical skill examination from June $13^{th}$ to $17^{th}$ in 2016. Among them, 72 students took the new CPX case in June $15^{th}$ and 71 stu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on whether the new CPX with smartphone video is helpful, authentic, difficult, and necessary for other CPX. All the questions were measured on 5-Likert scale. Results: Mean score of the new CPX was 57.1, lower than the mean scores of the other 11 CPX cases, 62.8. For the question "Smartphone videos helped to solve the problem", 45 students (63.4%) answered 'Very much'. For the question "Is it realistic compared to other questions?" 30 students (42.3%) and 25 students (35.2%) answered 'Very much' and 'Much'. For the question "Is it difficult compared with other questions?" 18 students (25.4%) and 26 students (36.6%) answered 'Very much' and 'Much'. As for the question "I would like to have more tests using smartphone video", 26 students (36.6%) answered 'So and so'. Conclusion: A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that video presentation was helpful and authentic to figure out the CPX, whereas they assessed smartphone video was more difficult compared with other CPXs. Further, students were negative toward using smartphone video for the other CPXs.

최근 5년간 시행된 치외치 치료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Treatment of Dens Evaginatus for the Last 5 Years)

  • 임종화;김기민;이제식;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8-16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구치부에 발생한 치외치의 치료방법, 결과, 시기, 각 치료방법의 실패시 임상 증상과 징후 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는 151명의 환자와 417개의 치아가 포함되었다. 치료방법에는 예방적 치료인 레진 수복, 직접 치수복조와 근관 치료인 치수 재혈관화, 치근단 형성술, 전통적인 근관치료가 포함되었다. 예방적 레진 수복은 치외치 결절이 온전한 상태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결절이 파절된 경우에도 효과적이었다. 직접 치수복조는 치근단 병소 없이 저작통만 존재할 때 임상 증상의 해소와 치근 성장을 보였다. 치수 재혈관화, 치근단 형성술, 전통적인 근관치료 시 가장 많이 나타난 치료 전 상태는 치근단 병소이었다. 치수 재혈관화는 대부분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일부에서 치근 길이 또는 치근벽 두께 증가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치근단 형성술과 전통적인 근관치료는 모두 효과적이었다. 치외치의 예방적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치외치가 교합력을 받지 않을 때이거나 온전한 결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레진 수복이 시행되어야 한다. 결절이 파절된 경우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치근발육단계와 치수 상태가 고려되어야 한다.

소아 심경부농양의 임상적 고찰 : 일개 대학병원에서 15년간의 경험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eep neck abscess in children; 15 year experience in a university hospital)

  • 구민지;염정숙;김어진;박정제;서지현;박은실;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49-654
    • /
    • 2007
  • 목 적 : 심경부농양은 진단이 늦어지거나 또는 부적절한 치료를 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심경부농양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던 15세 이하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임상 증상, 선행 질환, 원인균, 치료 및 경과 등을 연령별, 위치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심경부농양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를 시행 한 15세 이하의 환아 3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5명의 환아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남아가 25명, 여아가 10명이었다. 발생 부위는 하악하 공간이 가장 많았으며 증상은 한가지보다는 여러 증상이나 징후를 보였으며 종물이 가장 많았다. 연하곤란, 사경, 보챔 등의 증상으로 발현된 경우도 있었다. 연령별로 증상의 차이는 없었다. 선행 질환으로는 단순한 상기도 감염이 가장 많았으나 하악하 공간 농양은 선행질환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심경부농양 배양 검사에서 황색포도알균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1세 미만에서는 사슬알균이 많았고 1세에서 5세에서는 황색포도알균이 가장 많았다. 위치별로는 하악하 공간 농양에서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것이 많았다. 치료 방법으로는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한 군에서 입원기간이 더 짧았으며 합병증이 생긴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심경부농양의 증상으로 경부종물이 가장 많았으며 경부 종물과 동반하여 발열, 연하곤란, 인후통 등이 있는 경우, 특히 일주일이상 지속되는 설명되지 않는 사경이나 보챔,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감기 증상을 동반한 경부 종물이 있는 경우에는 심경부농양을 감별해야 할 것이다.

10년간(1993~2002) Mycoplasma 폐렴의 역학적 양상과 최근 5년간 Mycoplasma 폐렴의 임상소견에 대한 고찰 (Epidemiological Pattern of Mycoplasma pneumoniae Pneumonia from 1993 Through 2002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during Recent Five Years)

  • 오경창;유정석;안승인;김봉림;김성섭;김연호;장진근;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101-111
    • /
    • 2004
  • 목 적 : 본 연구는 10년 동안 M. pneumoniae 폐렴의 역학적 양상과 최근 5년간의 임상증상 및 징후들을 조사하여 그 이전의 유행시기와 임상소견과 비교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한일병원에 입원하여 M. pneumoniae 폐렴으로 진단받은 682례 환아의 역학적 양상과,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최근 5년간 M. pneumoniae 폐렴으로 입원한 328명의 환자의 임상증상 및 징후를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M. pneumoniae 폐렴이 발생한 연령은 4~6세의 환아에서 가장 많았고(286례; 41.9%) 남녀 비는 1 : 1.1로 나타났다. 월별분포를 보면 8월부터 12월 사이에 가장 많은 발생률을 보였고 특히 10월(106례; 15.5%)과 11월(119례; 17.4%) 그리고 12월(96례; 14.1%)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임상증상은 기침(660례; 96.8%), 발열(569례; 83.4%), 객담(522례; 76.5%)순으로 관찰되었고 그 외 구토, 콧물, 인후통, 복통, 호흡곤란, 두통, 권태 순으로 관찰되었다. 말초혈액 백혈구 수는 31.2%에서 기준치보다 증가되어 있었으며 적혈구 침강속도는 환아의 42.5%에서 20 mm/hr 이상 증가되어 있었으며 C-반응성 단백은 37.8%에서 양성이었다. 흉부 방사선 소견상 682례 중 557례(81.7%)에서 폐침윤이 관찰되었고 폐침윤의 양상은 기관지폐렴의 양상을 보인 경우는 78.0%이며, 대엽성 폐렴은 35.5%, 소엽성 폐렴은 19.2%, 그리고 간질성 폐렴은 28.7%에서 관찰되었다. 합병증으로는 부비동염이 41례에서 합병되었고 중이염이 23례에서 흉막삼출이 19례에서 경부 림프절염이 18례에서 그리고 신우신염이 1례에서 관찰되었다. 집중 발생을 보인 호발 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년 소아과 호흡기 감염 입원환자 수에 대한 M. pneumoniae 폐렴환자 수의 연도별 비율 분포를 조사한 결과 1993년 19.1%, 1994년 13.0%, 1995년 5.6%, 1996년 12.8%, 1997년 18.6%, 1998년 22.6%, 1999년 1.1%, 2000년 13.3%, 2001년 9.1%, 2002년 6.0%, 그리고 2003년 19.9%로 1993년, 1997년, 1998년, 2000년, 그리고 2003년도에 집중 발생을 보이며 3~4년간의 유행주기를 보였다. 결 론 : 1996년 이전의 연구에서는 M. pneumoniae 폐렴의 유행시기가 3년의 주기를 보였고 주로 하절기에 유행을 보였던 반면, 1997년부터 2002년까지의 조사에서는 3~4년간의 집중발생시기와 주로 10월과 11월에 정점을 이루는 월별분포를 보였다.

  • PDF

아산화질소 농도 및 적용방법에 따른 생리학적 변화 (Determination of Physi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Nitrous Concentration and Application Method)

  • 이대우;한지훈;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5-442
    • /
    • 2016
  • 본 연구는 $N_2O/O_2$ 흡입진정을 시행하였을 때, 농도 및 투여방법에 따른 환자의 생징후 변화, 주관적인 증상 및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흡입진정법에 대한 금기증이 없는 19 - 35세 성인 남녀 65명을 대상으로 실험조사를 진행하였다. 흡입진정법은 $N_2O$의 농도를 약 1분 간격으로 10%씩 높여주는 방법으로 적정하거나, 한 번에 $N_2O$의 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올려주는 방법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30% 또는 50% $N_2O$ 농도에 도달되도록 하였다. 산소포화도는 $N_2O$ 농도와 투여방법에 따라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맥박수는 한 번에 $N_2O$를 고농도로 투여하는 경우 진정법 중과 100% $O_2$ 5분 투여 후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N_2O$ 농도는 서서히 올려주는 것이 환자 맥박수의 감소량을 줄이는 것이 안전하다.

영아의 결핵 (Tuberculosis in Infants)

  • 김이경;나송이;박진영;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1호
    • /
    • pp.69-78
    • /
    • 1998
  • 목 적 : 1세 미만 영아들은 결핵에 이환될 경우 뇌막염이나 속립성 결핵 등의 심한 질환으로 진행할 위험이 다른 연령군에 비하여 높으므로 이들에서 결핵의 조기 진단에 의한 신속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세 미만 영아 결핵 환아들의 임상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향후 진단,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입원했던 1세 미만의 결핵 환아 29명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핵의 진단은 각종 가검물에서 M. tuberculosis가 분리되거나(13례) 병리학적으로 결핵과 부합하는 소견을 보이는 경우(1례)를 포함하였으며, 미생물학적 병리학적 증거를 얻지 못한 예들에서는 성인결핵 환자에의 노출력, 임상 양상, 흉부 방사선 소견, 5 투베르쿨린 단위로 시행한 망토우 반응 결과 및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 질환의 형태는 단독 폐결핵으로 나타난 경우가 12례로 가장 많았고, 뇌막염이 동반된 폐결핵 5례, 폐결핵과 림프절염 3례, 뇌막염 3례 및 속립 결핵 6례 등이었다. 환아들의 평균 나이는 7개월이었다. 감염원을 찾을 수 있었던 경우가 19례였으며, 이 중 환아에서 결핵이 의심되어 주변 어른을 검사한 결과 결핵이 발견된 경우가 7례였다. 처음 방문시 증상이 있었던 경우가 27례였으며 주소는 호흡기 증상이 12례, 중추신경계 증상이 10례였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 가래 외에도 빈호흡, 천명 등의 호흡 곤란 증상이 7례에서 있었다. 폐 청진상 수포음이 6례, 천명이 7례, 호흡음의 감소가 9례에서 있었고, 간비종대가 흔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상 이상이 26례에서 있었고 이 중 폐문부 림프절을 동반한 폐실질의 병변을 보였던 경우가 18례로 가장 많았다. 국소적 또는 전반적인 기종성 변화가 7례에서 있었다. 결 론 : 영아들은 결핵 진단시 증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폐결핵의 발병시 천명, 기종성 변화, 호흡음 감소 등의 기관지 폐쇄의 징후가 흔하며 호흡 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진단 및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성인 결핵 환자 발생시 노출된 영아에 대한 예방 요법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하며, 영아에서 결핵이 의심될 때 감염원을 찾음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