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증발율

Search Result 36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hange of Deposition Rate and Vapor Distribution of Al Coatings Prepared by Vacuum Evaporation and Arc-induced Ion Plating (증착방법에 따른 Al 피막의 증착율 및 증기분포 연구)

  • Jeong, Jae-In;Yang, Ji-Hun;Lee, Gyeong-Hwang;Park, Jong-Won;Park, Yeong-Hui;Heo, Gy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10a
    • /
    • pp.119-120
    • /
    • 2009
  • 진공증착 및 이온플레이팅 방법을 이용하여 냉간 압연된 강판상에 알루미늄 피막을 형성시킨 후, 증발율 및 증기분포 변화를 측정하고 각 증착방법에서의 증발율에 따른 증기분포 변화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이온플레이팅은 증발원 근처에 이온화전극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고전류 아크 방전을 유도하여 $10^{-4}$ Torr 이하에서도 기존의 이온플레이팅에 비해 높은 이온화율을 얻을 수 있는 아크방전 유도형 이온플레이팅 (Arc-induced Ion Plating; AIIP) 방법을 이용하였다. 전자빔을 이용하면서 알루미나 크루시블을 사용하여 알루미늄을 증발시킬 경우 분당 $2.0{\mu}m$ 이상의 높은 증발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온플레이팅의 경우 이온화된 증기의 상호작용에 따른 산란 효과로 증발율이 다소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cos^n\phi$로 이루어지는 증기분포의 결정인자(n)의 값이 진공증착의 경우는 1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AIIP의 경우는 2 또는 그보다 더 큰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이온플레이팅의 경우 불활성 가스의 존재 여부와 이온화율 또는 기판 바이어스 전압의 효과가 다른 조건에 비해 증기분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알루미늄의 증발 및 증착 방법과 박막의 특성 비교

  • Jeong, Jae-In;Yang, Ji-Hun;Park, Hye-Seon;Jeong, Jae-Hun;Song, Mi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50-150
    • /
    • 2012
  • 진공증착을 이용하여 제조된 알루미늄 박막은 증착 조건에 따라 그 특성이 현저히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진공도와 증착율에 따라 비저항과 반사율, 표면 색상 등이 크게 달라지며 이에 따라 적절한 증발원 및 증착 방법의 선택이 박막의 특성을 좌우하게 된다. 알루미늄은 융점이 낮은 반면 증기화되는 온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는 대부분의 내화물 금속과 반응하기 때문에 저항가열 증발원을 이용하여 증발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물질중의 하나이다. 또한 전자빔으로 증발시킬 경우에는 열전도도가 커서 수냉 도가니를 통해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효과적인 증발을 위해서는 고전력을 투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스퍼터링 증발원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을 증착하면 낮은 증착율로 인해 반사율과 같은 제반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알루미늄 박막의 제조를 위한 최적의 증발원과 증착 방법을 소개하고 증착 조건과 박막 특성의 상관성 자료를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저항가열 및 전자빔 증발원 그리고 스퍼터링을 이용한 증발 실험 결과를 소개하고 증발원에 따른 알루미늄 박막의 특성 변화 그리고 제반 증착 조건이 박막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였다.

  • PDF

MEO 공정 폐액에서의 질산 회수 및 재생

  • 김영민;최왕규;송기찬;이근우;박상윤;문제권;오원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539-544
    • /
    • 1998
  • MEO 공정에서 발생하는 질산폐액으로 부터 고농도 질산을 회수하기 위한 증발및 증류 공정특성을 연구하였다. 증발율이 20 이상인 경우 질산회수가 최대가 되는 특정 염농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증발율이 25인 경우 증발공정에서 발생한 묽은 질산용액을 12 M의 고농도 질산용액으로 농축하기 위한 증류탑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증류탑은 효을이 70%인 9개의 단으로 구성되고, 환류비 0.25, 재비기 열량 2.7 kW, 응축기 열량 0.4 kW의 운전조건을 도출하였다.

  • PDF

Study on the deposition rate and vapor distribution of Al films prepared by vacuum evaporation and arc-induced ion plating (증착방법에 따른 Al 피막의 증착율 및 증기분포에 관한 연구)

  • 정재인;정우철;손영호;이득진;박성렬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9 no.3
    • /
    • pp.207-215
    • /
    • 2000
  • Al films on cold-rolled steel sheet have been prepared by vacuum evaporation and arc-induced ion plating, respectively, and the evaporation rate and vapor distribution (thickness distribution over the substrate) have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deposition conditions. The arc-induced ion plating (AIIP) method have been employed, which makes use of arc-like discharge current induced by ionization electrode located near the evaporation source. The AIIP takes advantage of high ionization rate compared with conventional ion plating, and can be carried out at low pressure of less than $10^{-4}$ torr. Very high evaporation rate of more than 2.0 mu\textrm{m}$/min could be achieved for Al evaporation using alumina liner by electron beam evaporation. The geometry factor n for the $cos^{n/\phi}$ vapor distribution, which affects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films at the substrate turned out to be around 1 for vacuum evaporation, while it features around 2 or higher for ion plating. For the ion plated films, it has been found that the ionization condition and substrate bias are the main parameters to affect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films.

  • PDF

Effects of Evaporation on the Weathering Rat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Iranian Heavy Crude Oil (이란산 원유의 증발에 따른 풍화율 및 화학적 성상 변화)

  • Kim, Beom;Kim, Gi-Beum;Sim, Won-Joon;Yim, Un-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3
    • /
    • pp.238-246
    • /
    • 2012
  • Once oil is spilled into marine environment, it experiences various weathering processes among which evaporation is the most dominant process in the initial stage of weathering.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evapor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illed oil using standardized laboratory experiments. Laboratory evaporation process was successfully reproduced using controlled rotary evaporation method. In case of Iranian Heavy crude (IHC), evaporation rate after 48 hours was $29.3{\pm}0.4%$ (n=40, p<0.001). Evaporation was simulated using ADIOS2 weathering model and the result was in agreement with laboratory experiment.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of petroleum hydrocarbons including alkane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biomarkers by evaporation rate were also analyzed. As oil evaporated, low molecular weight alkanes and PAHs decreased, while biomakers showed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Among biomarkers, $17{\alpha}(H)$, $21{\beta}(H)$-hopane was used for calculation of weathering rates, which matched with evaporative mass losses. Weathering rate calculation using hopane showed that stranded oils of weathering stage I (28.9%) and mesocosm oil weathering experiment till 5 days (26.5%) were mainly affected by evaporation process.

An Analysis of Changes in Pan Evaporation and Climate Values Related to Actual Evaporation (증발량 관련 기후인자와 팬증발량의 변화 분석)

  • Jeong, Dae-Il;Kang, Jae-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17-129
    • /
    • 2009
  • Evaporation over the world is expected to increase owing to increase in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However, pan evaporation around the world has decreased in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in 18 meteorological gauging stations in Korean peninsula, investigates the changes in pan evaporation and climat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which can affect evaporation processes; the changes in these variables have been recorded between 1960 and 2007. At most gauging stations, pan evapor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ownward trends. Th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also show downward trends. On the other hand,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how upward tren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ownward trend in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correspond to that of the downward trend in pan evaporation. Scatter plots imply that pan evaporation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while i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ecipitation. At the Gangneung gauging station, the open water evaporation estimated using the Penman equation does not show the significant downward trend shown by pan evapor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an evaporation is not a good indicator of potential or open water evaporations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ir long-term variability. Finally, this study explain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an and actual evaporations. Decreases in the pan evaporation can act as an evidence for the ever-increasing actual evaporation.

Theoretical Analysis of the Steady Burning Rate for Homogeneous Solid Propellants with Surface Evaporation (표면 증발을 고려한 AP추진제의 정상 연소율 해석)

  • 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0a
    • /
    • pp.2-2
    • /
    • 1998
  • 고체 추진제의 연소율(burning rate)은 연소의 동적 기동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추진제의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AP계의 고체추진제 표면에서는 발열반응인 분해반응(decomposition) 이외에도 기체로 증발되는 증발되는(evaporation or sublimation)이 존재한다. 증발반응으로 인하여 연소율은 외부압력의 변화에 대하여 반응하게 되며 실험적으로 $r_{b}$= a $p^n$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즉, 연소율(burning rate)은 연소실 압력 P의 n승에 비례하며 여기서 n은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지수이다. 그러나 압력지수 n은 일반적으로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이 측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QSHOD 가정을 사용하여 고체 추진제의 연소 응답함을 해석하기 위해서 추진제의 민감계수(sensitivity parameters)에 관한 관계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계식은 추진제의 정상연소율에 관한 관계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다.

  • PDF

Characteristics of Hollow Cathode Gas Flow Sputtering Source (할로방전 스퍼터링 소스의 특성)

  • Jeong, Jae-In;Yang, Ji-Hun;Kim, Seong-Hwan;Byeon, 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92.2-92.2
    • /
    • 2017
  • 스퍼터링은 이온화된 불활성 기체가 음의 전압이 인가된 타겟에 충돌하여 운동량 전달에 의해 타겟 물질을 떼어내어 기판에 박막을 형성하는 진공증착 기술의 하나이다. 스퍼터링은 초기에 이극 또는 삼극 스퍼터링이 사용되다가 1970년대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이 등장하면서 고속화 및 박막의 특성향상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스퍼터링 기술의 표준으로 자리를 잡았다.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그러나 타겟 효율이 30%내외로 낮고 여전히 다른 증착 기술에 비해 증발율이 낮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증발율을 향상시키고 타겟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HC-GFS(Hollow Cathode - Gas Flow Sputtering) 소스가 연구되어 왔다. GFS란 증기가 발생하는 부분과 증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진공도를 변화시켜 압력차에 의해 증기가 이송되어 증착되는 기술을 의미하며 HC-GFS는 타겟과 타겟 사이에 할로 방전을 발생시켜 이때 발생된 플라즈마로 타겟의 물질을 스퍼터링하고 스퍼터링된 입자를 압력차로 이송하여 기판에 증착하는 기술이다. HC-GSF 소스는 증발율이 향상되고 타겟 효율이 높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가졌으나 아직까지 상용화 실적은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HC-GFS 소스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금속을 증착하여 상용 증발원으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Burning Rate of Solid Propellant Accounting for the Evaporation on the Surface (표면 증발을 고려한 고체추진제의 연소율 해석)

  • 이창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3 no.1
    • /
    • pp.41-47
    • /
    • 1999
  • The burning rate of solid propellant is one of the key parameter associated with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the combustion performances. In the AP propellants, the evaporation on the reacting surface as well as the decomposition of the propellant is of great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overall burning rate. In this study, a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expression for burning rate in the steady state combustion with the energy and species equations in the condensed phase when the radiative heat flux partially contributes to the total heat transfer to the propellant surface.

  • PDF

A Study on the thermal Kinetics for Disposal of Sewage Sludge Using Thermal Wind Drying of One mechanical Power (ONE구동 열풍건조시스템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감량화를 위한 열적거동 연구)

  • Bae, Hae-Ryong;Ha, Sang-A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13 no.2
    • /
    • pp.74-84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thermal kinetics for disposal of sewage sludge using thermal wind drying. The operational parameters varied are the temperature of $130{\sim}170^{\circ}C$ and evaporation velocity WD. Important parameters effect on thermal kinetics for evaporation of water in sewage sludge studied include the drying time, water content of sewage sludge, solids amount of sewage sludge(TS%) by the varied temperature. The saturation point of water evaporation was observed at the drying time of 60 min in conditions of drying temperature $170^{\circ}C$ and drying time of 120 min by drying temperature $130^{\circ}C$ and WD=0.95 m/s. Operation at drying temperature of $170^{\circ}C$ led to higher rate of evaporation than those 130, $150^{\circ}C$ at WD=1.0 m/s and WD=1.0 m/s was higher than WD=0.5 m/s at drying temperature of $130^{\circ}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