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즐거운 독서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즐거운 책읽기 방해하는 어린이 독서지도서들

  • 오춘식
    • 출판저널
    • /
    • 통권224호
    • /
    • pp.7-7
    • /
    • 1997
  • 90년대 초반부터 독서생활의 실천을 강조하며 어린이 독서지침서나 이론서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논술에 짜맞춘 수업용 지도서들은 교육보다 상혼에 기대 있고, 어린이 독서교육의 진지한 고민보다는 오히려 즐거운 책읽기를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 PDF

애독 장려를 위한 공공도서관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4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Promoting Children's Love of Reading through Vacation Reading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Four Public Libraries in Seoul)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95-214
    • /
    • 2014
  • 본 논문은 독서습관 형성과 독서의 생활화라는 목적을 추구하는 공공도서관을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의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전통적인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하나인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전반을 검토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방향제시를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 소속 4개의 도서관으로부터 2013년 겨울과 여름독서교실 자료를 수집하여 (1) 독서교실의 목적, (2) 독서교실기간, 대상, 모집방법 및 수료인원, (3) 독서교실 담당강사, (4) 독서교실 프로그램 내용구성, (5) 독서교실 선정도서, (6) 독서교실 수료증과 보상에 관한 사항들을 검토분석 하였다. 마지막으로 즐거운 독서관련 선행연구 분석에서 도출된 요소를 적용하여 애독을 장려하는 즐거운 독서를 위한 방학독서교실프로그램 실태를 토론 및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확대 운영을 통한 어린이 애독문화 확대를 제안하였고 향후 애독 장려관점의 공공도서관의 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독서 태도와 읽기 성취도 분석이 시사하는 학교도서관 독서 교육의 방향 - 중학교를 중심으로 - (Reading Education at School Libraries: New Consider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Reading and their Reading Achievements)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9-269
    • /
    • 2012
  • 급격하게 감소하는 중학생들의 독서를 증진시킬 수 있는 학교도서관의 독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PISA 2009의 읽기 영역 중 독서 태도와 읽기 성적의 상관관계, 국민독서실태조사 결과, 그리고 독서 태도와 독서 동기 관련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학생들의 읽기 성적은 높지만 독서 태도는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즐거움을 위한 독서가 읽기 성취도와 강한 정적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즐거운 독서를 증진시키 위해서 장서가 풍부한 학교도서관, 스스로 선택한 책을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독서 시간이 보장되어야 하며, 독서를 다른 교육적 목적의 수단으로 강요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의 성별, 읽기 능력, 독서에 대한 정의적 인지적 태도, 독서 경험과 독서량, 독서 자료의 유형, 독서 시간 등의 특성에 따라 학생들을 범주화하여 차별화된 독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PR페이지 - 주한영국문화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국제 세미나

  • 주한영국문화원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4호
    • /
    • pp.95-95
    • /
    • 2013
  • 주한영국문화원(원장 롤란드 데이비스)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는 지난 3월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에 걸쳐 독서에 익숙지 않은 독자들이 어떻게 스스로 즐겁게 책을 읽을 수 있을지에 대한 경험과 의견을 나누는 한-영 독자개발 국제 세미나 '즐거운 책 읽기: 리딩 바이러스'를 대학로 예술가의 집에서 개최했다.

  • PDF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 연구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cit Knowledge of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05-33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에 관한 암묵적 지식을 확인하고 독서태도를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획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5개의 초등학교에서 사서교사와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과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평가하는 기준과 특성을 학생의 능력, 성격 및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학생들은 독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즐거운 감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독서능력이 하인 그룹의 학생들은 다른 그룹의 학생들보다 독서가 학업적 목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독서를 보다 부정적인 정서로 표현하였다. 학생들은 또래집단과 교사, 가족구성원을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책의 주제 및 내용과 더불어 책 자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교사들은 독서태도를 책에 대한 태도와 그 책을 읽는 태도를 포괄한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독서환경과 관심, 습관, 책, 경험 등을 독서태도의 영향요인으로 언급하였다.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for Young Adult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 이경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청소년 프로그램 기본 모형을 개발, 적용, 평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국내 외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현황조사, 면담조사 등을 통하여 SWO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과 함께 하는 북 콘서트", "나의 꿈 나의 미래", "영화로 보는 책읽기", "즐거운 학습", "작가와 함께 하는 1박 2일 독서캠프" 등을 청소년 프로그램 기본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g Aloud on the Reading Attitude and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주현;박경희;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
    • /
    • 2015
  •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3~5학년 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7개의 시 도, 10개의 초등학교에서 10개의 모둠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참여 학교의 특정 학년의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주1회, 60분씩, 총13회에 걸쳐 모둠별로 선정한 5권의 책을 읽어주었고 그 효과를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태도의 하위 영역인 인지, 행동, 정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와 같은 즐거운 독서 경험을 제공하는 독서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