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소규모 건설공사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기계설비공사 분리발주 현황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8 s.205
    • /
    • pp.28-37
    • /
    • 2007
  •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지난 1989년 협회 창립 이후 설비건설업계의 영역확대를 위해 분리발주를 숙원사업 중 하나로 정하고 그 동안 관계기관에 건의하는 등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우리협회의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대한주택공사를 비롯한 정보통신부, 교육인적자원부 등 주요 발주처 및 발주기관에서 분리발주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들어 기계설비공사는 단순한 기계설비에서 벗어나 쓰레기이송설비, 지열냉난방시스템 등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시공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업역에 대한 확고한 규정이 없어서 설비•일반•전문건설업자간 치열한 밥그릇 싸움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이러한 신규분야가 우리 설비건설영역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 5월 17일 공포된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안)에는 2개 공종 이상의 소규모 단순복합공사는 전문건설업자에게 원도급을 허용하는 조항이 들어있다. 이로써 오는 2009년 7월 1일부터는 소규모 단순복합공사의 경우 전문건설업자도 전문면허를 복수로 취득하여 원도급 공사 참여 가능하게 됐으며, 분리발주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본지는 앞으로 분리발주 확대를 위한 각오를 새롭게 다지기 위해 대한설비건설협회의 분리발주를 추진 과정 및 분리발주된 공사현황(10억원 이상, 2002년부터)을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Priority Safety Management Items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 중점 안전관리 항목에 관한 연구)

  • Jang, Yun-Ra;Go, Seong-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1 no.4
    • /
    • pp.38-49
    • /
    • 2020
  • As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ing, people are getting higher interest and higher expectation for safety. However, the accident rate at the construction site is still high. Therefore, it is urgent to secure the safety at the construction work.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sites are directly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possibility of accident occurrence is increased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lways variable processes, the diversity of manpower input, the increase in vulnerable class, and the danger of construction equipment..Particularly, the disasters occurring at the small- or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budget ≤ 12 billion KRW) account for 88.9% of the total disasters at construction sites (73.4% for casualty). It was due to the lack of management caused by the absence of supervisors and insufficient safety measures. Moreover, it is difficult for the small- or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to apply basic safety measures such a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facility installation by themselves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because they don't have sufficient safety organizations. It is because they have relatively less safety personnel and poorer technology system than large-sized construction site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accidents in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prevent accidents at the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key risk items causing accidents frequently by analyzing the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identifying problems associated with safety management, and to secure the safety at the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A Study on Safety Inspection Model for Small Scale Construction Field (중.소규모 건설현장 안전점검 모델 연구)

  • 안병수;양광모;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9-174
    • /
    • 2001
  • IMF이후 건설 물량은 감소하고 있는 경향이나 재해율은 그다지 감소하지 않고 있고 여전히 중대재해는 계속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건설업체에서는 안전관리에 대한비용을 더욱 아끼려 하고 있어 비용절감을 위해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비용이나 안전활동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규모 건설현장 안전점검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현행 안전점검의 실태조사를 위하여 안전점검의 관계담당자인 전국의 노동부 지방노동관서 근로감독관, 한국산업안전의 각 지역본부 및 지도원 기술직원, 안전점검대상 건설현장 관계자에게 각각 설문 조사지를 배부하여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또한 노동부의 최근 년도인 1999년, 2000년도의 재해발생통계 및 안전점검실적 자료, 대한건설협회의 최근 년도별 건설공사 수주금액, 공사규모별 현황 및 외국의 건설현장 안전점검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조사 등 수집된 자료분석 및 각종 참고문헌 연구를 통하여 안전점검의 대상현장을 선정하는 기준과 위반사항에 대한 행정 및 사법조치 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효율적인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The Deduction of the Success Factor in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디자인 빌드(Design Build) 방식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중.소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Lee, Chi-Joo;Kim, Sang-Ki;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5
    • /
    • pp.182-190
    • /
    • 2007
  •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have grown i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peration field. Also, soft field is vulnerable area, and there are not enough delivery systems, therefore, a capac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expansion and productivity is insufficient. Furthermore,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are losing their areas, because the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numerous know-how and ample funds are competitive.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more larger and complicated, the design build methods might be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could have more competitive.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success factor in minor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focusing on instance $company^{\circ}{\phi}s$ case and survey, and critical success factor deduction and importance degree analysis of this factor using AHP analysis. In addition, this paper gives fundamental data how to manage the construction project effectively for minor construction $companies^{\circ}{\phi}s$ expansion in near future.

Application Plan of Flooding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by Site Type of Excavation Work (굴착공사현장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Wang, Jeong Ah;Park, Jong Pyo;Lee, Woo Jin;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9-379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돌발 홍수 및 태풍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고, 이에 따른 수재해 피해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건설 현장 중 굴착공사 현장에서의 침수로 인한 사고는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굴착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침수 대응 예측 시스템 및 구체적인 침수 예경보 체계, 기준, 매뉴얼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현장의 수재해 예방을 위한 침수 예·경보 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공사현장 규모에 따라 적용하는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이분화하여 소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A, 대규모 공사현장에는 Track B 침수 예·경보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소규모 공사현장의 특성상 전체 공사비가 작고 운영되는 장비와 인력이 제한적이므로 침수 예·경보에 필요한 비용과 인력 투입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대피가 필요한 전체 인원이 대규모 현장에 비해서는 적기 때문에 비교적 신속하고 원활한 대피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시스템별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예·경보 기준을 제시하였다. Track A에서는 강우법에 의한 최소한의 경보시스템으로 필요한 안전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Track B에서는 현장인원 대부분이 성인 남성임을 고려하여, 성인 남성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수심(H)과 유속(V)의 곱을 척도로 하는 한계 H·V곡선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경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건설안전 리포트 - 삼성건설 '전농7구역 재개발' 현장

  • 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2
    • /
    • pp.12-14
    • /
    • 2012
  • 낡은 중 소규모 주택이 복잡하게 밀집돼 있어 난개발지역, 낙후지역 둥의 풀지 않은 별칭이 붙어 있던 서울 동대문구 전농 답십리 일대에 최근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뉴타운 사업을 둥에 업고 신흥 주거지로 거듭나기 위한 재개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인 것. 이에 따라 일대 곳곳에서 각종공사가 이뤄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건설)이 시공 중에 있는 '전농7구역 재개발현장'은 세간의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철저한 안전관리' 때문이다. 현장의 임직원들은 전농동을 '서울 동북권의 신주거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신념으로 시공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공사의 품질과 신뢰성을 좌우하는 '안전'에 있어서 만큼은 조금의 빈틈도 허용하지 않는다. 안전으로 전농동의 화려한 미래를 열어가고 있는 현장을 찾았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echnical Guidance Fee for Preventing Accidents at Small-Medium Construction Sites (중·소규모 건설현장 재해예방 기술지도 대가 개선에 관한 연구)

  • Lim, Se-Jong;Shin, Seung-Hyeon;Won, Jeong-Hun;Yoon, Yo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5
    • /
    • pp.469-481
    • /
    • 2021
  • Under Korean law, small-to-medium-sized construction projects with budgets of more than 100 million won and less than 12 billion won must receive technical guidance by a visiting technician belonging to a specialized institut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technical guidance fee to prevent the potential inadequacy of technical guidance when the responsibility providing the technical guidance fee is changed from a contractor to a client. The method simplified the construction works which should receive technical guidance into four sectio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mount. For each section, the number of instances of technical guidance per day provided by the visiting technician and the minimum technical grade of the visiting technician were limited, and the guideline for estimating engineering services fees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fee per instance of technical guid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a technical guidance fee guideline since it well reflects the current fee distribution and K2B analysis results.

A Study on the Problem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Cost Saving Policy in the Public Educational Facilities Projects (공공교육시설 건설공사비 절감방안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Ock Jong-Ho;Han Seung-Hye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1 s.5
    • /
    • pp.98-106
    • /
    • 2001
  •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s implemented the Construction Cost Saving Policy since 1998. The National Universities and Regional Education Committee have been required to follow the details of the Policy in constructing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ir jurisdiction. While the Policy has positive effect on construction cost saving of the entities, it has been criticiz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because of its negative impact on project quality, education quality, trust in the public sector construction business, and solvent operation of the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build th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entities. The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pitfalls of the Policy and suggesting more reasonable approaches that can satisfy both the governmental entities and the private companies.

  • PDF

바람에 의한 장대 Tower 구조물의 진동제어 방법 - 감쇠장치를 이용한 -

  • 변윤주;윤태양;송재준
    • Journal of KSNVE
    • /
    • v.3 no.4
    • /
    • pp.293-299
    • /
    • 1993
  • 최근 토목, 건축재료 및 시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컴퓨터를 이용한 해석 기법의 개발, 경제규모의 확대, 주변환경과의 조화 및 미적감가의 끊임없는 추구는 구조물의 장대화, 연성화, 다양화는 물론 구조감쇠율의 감소 등을 가져옴으로서 바람에 의한 동적 거동의 영향이 증대되어 이에 대한 검토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최근들어 활발히 계획, 공사중인 여러 현수교, 사장교 구조물 중 시공단계로서의 독립 tower, 발전소의 장대 굴뚝, 고층건물, 전망 tower, 공항 관제 탑 등이 좋은 예이다. 따라서 이들 구조물의 설계과정에서 제안된 여러형태의 진동 제어 방법중 수동 감쇠장치에 대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감쇠장치는 직접 외부에 부착 하는 강제 감쇠장치와 소량의 질량, 스프링과 감쇠장치들을 조합하여 부착하는 수동 감쇠장치가 있다. 수동감쇠장치는 소규모로서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 없으며 외관의 변화가 거의 없고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러종류의 수동감쇠장치, 즉 TMD, IMD 그리고 TSD에 대한 개략적인 이론과 그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실험적 검증 및 실측결과 각 장치가 바람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현상을 억제하는데 매우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었고 또한 크기가 소규모일 뿐 아니라 유지보수가 거의 없으며 비용도 저렴하여 국내 건설 또는 건설예정인 유사구조물에도 많은 적용이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a Demolition Construction Risk Assessment Manual (해체공사 위험성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Hyung, Sung-Han;Jang, Won-Jun;Lee, Moon-Bae;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3-94
    • /
    • 2023
  • 해체공사는 작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이루어지며, 해체공사 현장에 투입되는 근로자는 일용직 근로자가 대부분으로 안전사고의 비율이 높다. 사업장 위험성 평가에 관한 지침에는 위험성 평가시 근로자를 참여토록 하고 있으나 해체현장의 특성상 근로자가 참여한다고 하여도 위험요소를 파악할 역량이 부족할 따름이다. 또한 기존의 해체공사 안전관리 매뉴얼은 구조안전성 확보를 위한 매뉴얼로 해체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매뉴얼은 없는 실정으로,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의 해체 및 철거공사의 사고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해체 및 철거 사고시 발생한 주요 위험요소를 도출하여 작업 공종별로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손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해체 현장 규모에 따라 대규모 현장은 빈도·강도법, 중·소규모 현장은 체크리스트법을 활용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구성하였다.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관리카드를 만들어 해체공사 완료시까지 관리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