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고등학생용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인체공학적 초.중.고등 학생용 책상과 의자 개발에 관한 연구: 시제품 평가를 통한 개선안을 중심으로

  • 홍성수;정명철;현수돈;김종수;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04a
    • /
    • pp.331-335
    • /
    • 1997
  • '인체공학적 학생용 책상과 의자 개발(김정용, 1996)'에 관한 연구에서 제작된 1차 시제품을 면밀히 재평가한 결과, 책상 상판의 상하 탄력으로 인한 안전성, 파이프 처리 기술과 높이 조절의 용이성, 한 호수의 의자로 초등 학생부터 고등 학생까지 만족시키지 못하는 신체 적합도 등의 보완점이 제기되었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차 시제품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인체공학적 설계 요소를 유지하면서 재료역 학적인 요소와 파이프 가공 기술 등을 고려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책상의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 하도록 다리를 안쪽으로 이동시켜 상판의 흔들림을 방지하였고, 파이프 사이에 삽입된 PVC와 열쇠 모 양의 조립 구멍, 특수 설계된 나사로 조절이 용이하고 고정성과 안전성이 향상되었으며, 파이프 용접 방식으로 넓은 범위의 신체 특성을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의자는 초등 학생용과 중.고등 학생용으로 나누어 2호로 설계하였고, 좌판의 곡면을 보다 완만하게 디자인하여 Lumbar와 오금 부위의 압박을 최 소화하였다. 이 외에도 좌판 밑부분에 보조 서랍을 두어 수납 공간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등받 이에 손잡이용 구멍을 뚫어 이동 시 편의를 제공하였다. 다양하고 세심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세부 설계를 완성하였고, 개선된 2차 시제품은 신체 적합도가 더욱 향상되고, 기능성과 편이도가 증대되어 초.중.고등 학생용 교구로서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 발달과 학습 의욕 증가 및 중소기업의 이윤 향상 이 기대된다.

  • PDF

Comparison betwee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중·고등학교 과학실험활동의 목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 Cho, Hyunjun;Yang, Il-Ho;Lee, Hyonyo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2
    • /
    • pp.103-12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with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m. For the purpose, the two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 and secondary student. The samples selected in each group were 108 middle school teachers, 109 middle school students, 104 high school teachers, and 110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responses from each group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sponse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cience teachers selected the science process skills as important aim of laboratory activity whereas students selected the ability for creative problem-solving and the central tendency of teachers' responses about certain item-science process skill was relatively higher than students' responses about certain item-the ability for creative problem-solving.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t aims of laboratory activities in science instructions.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ventory of Peer Rel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생용 또래관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Kim, Sung-Geun;Ham, Kyong-Ae;Choi, Hee-Suk;Cheon, Seong-Moon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
    • v.30 no.4
    • /
    • pp.143-15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Inventory of Peer Rel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of all, in Study 1, 113 preliminary test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reviewing of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develop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tudy 2, for the factor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00 students in three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in Busan to develop a final test, and finally 42 questions of them were selected. In Study 3, correlation analysis with another two inventories of peer relation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developed Inventory of Peer Relation. The Inventory of Peer Relatio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aid reliable and valid. We ma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TEST ANXIETY INVENTORY (우리나라 학생들의 시험불안 진단을 위한 도구 개발 과정)

  • Kim, Moon-Jo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2 no.1
    • /
    • pp.32-42
    • /
    • 1991
  • Spielbergers Test Anxiety Inventory(TAI) is a self-report scale which can measure the cognitive(Worry) and affective(Emotionality) components of test anxiety separately. After having administered it to 756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concluded that some of the items of TAI were not relevant for Koreans as they were. They have been revis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s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Korean students. The Korean Form of TAI(TAI-K) consists of 25 items for primary school- and 35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ronbach's ${\alpha}$ of the TAI-K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proved(${\alpha}=.90,$ r=.78 for primary school students ; ${\alpha}=.94,$ r=.85 for high school students). General Anxie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to prove its validity. test Anxiety correlates with general anxiety positively. while it correlates with self-esteem negatively.

  • PDF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에 대한 중${\cdot}$고등학교 급별 적합성 분석

  • Lee, Gang-Seop;Hwang, D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191-19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6년 전에 개발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MCPSAT; 한국교육개발원(김흥원 외, 1997))에 대한 현시점의 적합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검사의 중학교 1-3학년용 A형 1부 검사와 고등학교 1-2학년용 A형 1부 검사를 해당 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도구의 양호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 문항 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 ${\alpha}$)의 계수가 약간 떨어져 있지만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변별도는 점이연 상관 계수가 0에 가까운 문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문항이 학생들의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변별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내적 타당도는 중학교의 경우 관대하게 본다면 수용할 만 하고, 고등학교의 경우 아직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즉, 중학교 문항 1과 문항 4는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였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5를 넘는 문항은 없었다. 고등학교의 문항 4는 문항의 적합도 지수 1.2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Infit과 Outfit 모두 1.2를 상회하지 않았다. 난이도 측면에서 볼 때, 이 검사의 계속 사용은 염려스러운 면이 있다. 즉, 중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쉬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 이것은 현재의 학생들이 이러한 유형의 문항을 많이 접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는 6년 전 보다 조금 더 어려워 졌다고 볼 수 있다. 위의 사항을 종합할 때,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에서 중학생용은 현재의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재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등학생용은 개발 당시의 신뢰도, 난이도, 변별도 등에서 유사하므로 당분간 계속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 PDF

Validation of Kore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한국 초.중.고등학생용 부모애착척도의 타당화 연구)

  • Yoo, Sung-Kung;Park, Seung-Lee;Hwang, Mea-Hyang
    •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 /
    • v.9 no.1
    • /
    • pp.21-3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K-IPA), The first version of K-IPA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tack translation of items of parent attachment from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Armsden & Greenberg, 1986), content validation test with 30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ntent validation test with an expert group. The validation test with 964 students (em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nfirmed all 25 items(each items were asked for mother and father) were appropriate and reliable, K-IPA consists of three different sub-scales, 10 items for trust scale, 9 items for communication scale, and 6 items isolation across all age groups.

  • PDF

인체공학적 학생용 책상과 의자 개발

  • 정명철;현수돈;신기영;홍성수;김종수;김정룡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10a
    • /
    • pp.85-90
    • /
    • 1996
  • 현재 초,중,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책상과 의자는 학생들의 신장 등급에 따라 13호로 제작되 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부적합에 의한 편이도. 안전도에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책상과 의자는 특히 장시간 앉아 있는 성장기 청소년의 신체 발달을 고려하지 않음으로 인해 그 개선책이 시급하다 하겠다. 다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중,고등하교 학생들의 감성적 선호도를 조사하 고, 1992년 표준과학연구소의 부위별 신체 측정 자료를 토대로, 자유 조절형의 인체공학적 책상과 의자 를 설계하였다. 이 인체공학적 설계는 한 호수의 제품으로 색상 4단계, 의자 3단계(조합 12 단계)조절 을 가능하게 했으며, 기존의 교구에서 발생하던 신체 부위 상해, 잘못된 자세로 인한 피로, 디자인적 고 려 부재의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보완하였다. 이 인체공학적 책상과 의자는 표본 집단에서 그 편이도, 안전도, 개인적 선호도를 조사하여, 기존의 교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 저가로 제작 가능한 본 인 체공학적 책상과 의자는 실제초,중,고등학교에서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사료되나, 본격적인 판매에 앞서 완제품에 대한 시장 평가가 요구된다.

  • PDF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 Kim, Bu-M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2
    • /
    • pp.229-259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instrument of mathematical belief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sis results of test using the instrument.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mathematical belief is the cumulative effects of self-assessment and self-concept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achievement experience. Four sub-components of mathematical belief is identified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self-concept,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mathematical belief by reflecting Kore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characters. To develop the appropriate items for the mathematical belief, after reviewing literature thoroughly, first version of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n, to reduce the effect of the gender difference and achievement level difference, Correlation Analysis and 1-way ANOVA was performed. Also, using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instrument was investigated to see whether this can be used for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final ite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consisted 7 items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9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11 items of mathematical self-concept, 10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Instrument of mathematical belief for high school students is consisted 9 items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9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11 items of mathematical self-concept, 11 items of belief of mathematical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bout mathematical belief's sub-factors shown by three groups of mathematics achievement level. Students of higher achievement level showed that the degree of most factors ware the highest excepting stereotype of belief of school mathematics. Also, Male students preferred more positive in mathematics belief than female students.

  • PDF

A survey on the students' discomfort to school desks and chairs (학생용 책상 및 의자에 대한 초,중,고생의 불편도 조사)

  • Kim, Eun-Ha;Park, J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40-143
    • /
    • 2009
  • KS G 2010 규격은 학생용 책상 및 의자에 대한 호수와 치수를 규정하고 있다. JIS 를 참조한 이 규격은 지난 10 여 년 간 사용되어 왔는데, 그간 학생집단의 신체 크기가 크게 성장해 이에 대한 검토와 개정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초,중,고등 학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계획,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책상과 의자에 대한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허리와 엉덩이 등 신체부위에도 불편함으로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규격 개정 방향에 대한 참조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the Battle Robot Fabrication Curriculum Applied by the Robot Club Activities Program (로봇동아리 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배틀 로봇 제작 교육과정 개발)

  • Lim, Ho-Kwon;Shin, Seung-Jung;Ryu, Dae-Hyu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0.04a
    • /
    • pp.340-343
    • /
    • 2010
  •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효율적인 로봇교육을 위하여 로봇에 관심과 흥미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로봇 동아리를 조직하고, 경진대회용 배틀 로봇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로 국내외 경진 대회와 문헌 고찰을 통해 다소 모호한 용어인 배틀 로봇을 정의하고, 에듀테인먼트 로봇으로 구분하였으며,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배틀 로봇 제작이 갖는 교육적 활용가치를 탐색하였다. 둘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로봇 기초'와 '로봇 제작'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분석하였고, 셋째, 배틀 로봇 제작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로봇 동아리를 실험대상으로3라운드에 걸친 실험연구를 통해 공업계 고등학교 로봇 동아리 프로그램 적용에 의한 배틀 로봇 제작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로봇이 미래의 기술로 주목받게 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로봇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지금, 배틀 로봇 제작이 학생들에게 체험 교육의 도구가 될 뿐 만 아니라,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로봇 교과목 및 이와 관련된 전문 교과목의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