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TEST ANXIETY INVENTORY

우리나라 학생들의 시험불안 진단을 위한 도구 개발 과정

  • Kim, Moon-Joo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Ewha Womans University)
  • 김문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 Published : 1991.12.31

Abstract

Spielbergers Test Anxiety Inventory(TAI) is a self-report scale which can measure the cognitive(Worry) and affective(Emotionality) components of test anxiety separately. After having administered it to 756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concluded that some of the items of TAI were not relevant for Koreans as they were. They have been revis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s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Korean students. The Korean Form of TAI(TAI-K) consists of 25 items for primary school- and 35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Cronbach's ${\alpha}$ of the TAI-K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proved(${\alpha}=.90,$ r=.78 for primary school students ; ${\alpha}=.94,$ r=.85 for high school students). General Anxie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to prove its validity. test Anxiety correlates with general anxiety positively. while it correlates with self-esteem negatively.

지금까지 시험불안을 진단하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동원되어 왔는데, 그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자기보고에 의한 방법이다. Spielberger의 Test Anxiety Inventory(TAI)는 시험불안의 정서적, 인지적인 측면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로서, 이를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실시한 결과 그들의 시험불안 요인을 설명하기에 이 TAI 문항만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을 개인별로 면담한 자료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검사문항을 추가시켜 문항분석을 통해서 25문항으로 이루어진 국민학생용과 35문항으로 된 중, 고등학생용을 완성하여 TAI-K라 정하였다. 이 TAI-K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와$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국민학생용 : ${\alpha}=.90,$ 검사-재검사 신뢰도 : r=.78 ; 중, 고등학생용 : ${\alpha}=.94,$ r=.85), 타당도검증은 일반불안 척도들과 Self-esteem Scale, 성격요인 검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시험불안은 일반불안과 정적상관이 높으며, Self-esteem과 부적상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