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형 승용차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Prediction of Change on the Body Style Proportion of the Future Passenger Cars (향후의 승용차 차체 스타일 비례의 변화 예측)

  • Koo, Sa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2
    • /
    • pp.25-32
    • /
    • 2000
  • The body proportion of a passenger car has been changed by the demand of consumer and the market. Now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a passenger car become to have the importance as the passenger space and this proportion has been changed as the new models have been developed. It didn't seems to had a unified direction or strategy in the dimensions of the domestic passenger cars on the early models, but they had a specific changes in dimensions on the later models. The proportion of the wheelbase and greenhouse can be calculated into as about 58% and 57% on the compact and sub-compact passenger cars while it is about 56% on mid-size sedan type passenger cars for thier 3-box structure body concept. The overrall pro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is bigger on the compact and the sub-compact passenger cars than the mid-size passenger cars as the calculation show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the compact passenger cars would become larger, which is closed to 60%. And this trend would be appear on the mid-size passenger cars.

  • PDF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내수용 승용차 내부 설계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연구

  • 신원경;정성재;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22
    • /
    • 1997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승용차의 운전석과 운전석 주변 제어장치간의 규 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한국인의 신체에 적합한 승용차 내부설계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한국인 인체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갖추어야 할 편안한 자세를 3차원 인체 모델링 도구인 SAFEWORK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환경과의 관계를 고정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와 기능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삼차원으로 모델링한 다음 현재 국 내에 판매중인 소형, 준중형, 중형승용차 3종류의 규격차를 적용한 시트를 SAFEWORK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로 만들어진 마네킨을 설계된 각각의 시트에 앉혀 시트의 규격과, 운전석 주변의 제어장치간의 규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석에서 accelerator pedal까지의 거리와 volume control 까지의 거리, 운전석의 깊이와 뒷좌석 폭 등 연구대상이 된 3종류의 내수용 승용차의 주요 규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한국 성인의 인체 측정 데이터에 적합한 시트와 주변 제어장치간의 설계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rush FE Analysis of Front Side Assembly of Passenger Cars for Identifying the Roles of Major Parts Influencing on Collapse Mode with Reverse Engineering (승용차 프론트 사이드 조립체 부품의 역할과 붕괴모드에 관한 역설계적 유한요소 충돌해석)

  • Kim, Yong-Woo;Kim, Jeong-Ho;Jeong, Kyung-Sh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4
    • /
    • pp.33-40
    • /
    • 2007
  • Crashworthiness design is of special interest in automotive industry and in the transportation safety field to ensure the vehicle structural integrity and more importantly the occupant safety in the event of the crash. Front side assembl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ergy absorbing components in relating to the crashworthiness design of vehicl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front side assembl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auto-makers and size of vehicles. Thus, it is not easy to grab an insight on designer's intention when you glance at a new front side member without experiences. In this paper, we have performed the explicit nonlinear dynamic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front side assembly of passenger cars to identify the mechanical roles of major parts in relation to collapse modes from the viewpoint of reverse engineering. To do this, we have performed crash FE analysis for the two different assemblies of small car and heavy passenger car and have compared dynamic behaviors of the two.

A Study on Demand Forecasting of Export Goods Based on Vector Autoregressive Model : Subject to Each Small Passenger Vehicles Quarterly Exported to USA (VAR모형을 이용한 수출상품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소형 승용차 모델별 분기별 대미수출을 중심으로)

  • Cho, Jung-Hyeo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3
    • /
    • pp.73-9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a short-term ex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reflecting individual passenger vehicle brands and market characteristics by using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s that are based on multivariate time-series model. The short-term ex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was created by discerning theoretical pot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short-term export demand of individual passenger vehicle brands. Quarterly short-term ex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two Korean small vehicle brands (Accent and Avante) were created by using VAR model. Predictive value at t+1 quarter calculated with the forecasting models for each passenger vehicle brand and the actual amount of sale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by altering subject period by one quarter. As a result, RMSE % of Accent and Avante was 4.3% and 20.0% respectively. They amount to 3.9 days for Accent and 18.4 days for Avante when calculated per daily sales amount. This shows that the short-term export demand forecasting model of this research is highly usable in terms of prediction and consistency.

  • PDF

A Study of Impact Factors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for Decision of Barrier Type (소형차도로 방호울타리 형식선정을 위한 충돌계수 및 방호울타리 높이선정 연구)

  • Choi, Hyun-Ho;Kim, Ki-Hwan;Lee, Eui-Joon;Yi, Sang-K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D
    • /
    • pp.605-613
    • /
    • 2010
  • In this study, Impact factors are represented and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of safety barrier is sugges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pplying problems of existed standard of general car road. For this, traffic accidents analysis is performed and based on the analysis, impact vehicle weight, impact Angle, crash velocity, and barrier height are investigated. For the decision of impact angle, analysis is carried out by comparison of RISER and 2-lines expressway accidents data. Through this, higher-impact angle is suggested. Vehicle weight data of sub-compact car, small vehicle, medium and large vehicle, SUV, small truck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ccident accumulation rate, regression analysis of vehicle weight impact and impact velocity is performed. Also, based on the cumulative rate of vehicle weight on expressways near Seoul, barrier height of compact car road is calculated. It is no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cision of barrier type.

Analysis About How Human Foot Move During Driving Condition (중형승용차 운전 중 발거동 분석)

  • Park, Bo-Hyun;Jung, Hee-Seok;Lee, Sung-Hwa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 /
    • v.38 no.1
    • /
    • pp.41-45
    • /
    • 2012
  • Until now, most studies of foot moving or driving posture have been performed under laboratory driving conditions.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things between actual driving conditions and laboratory driving conditions because, in laboratory conditions, it is hard to consider vehicle's noise, vibration and people's psychology state while driving. Thus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actual driving conditions. And while driving test, we recorded driver's foots with 2 cameras to investigate foots(left and right) heel point and how human foots move to control the three pedals : accel, brake and footrest.. Through driving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osition of driver's heel point isn't related to stature and tends to be generalized.

중형승용차의 진동, 소음 및 충격 시험평가

  • 고병식
    • Journal of KSNVE
    • /
    • v.8 no.1
    • /
    • pp.8-12
    • /
    • 1998
  • 차량을 개발함에 있어 인간의 감성적인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가 진동 소음 및 충격 분야라 할 수 있겠다. 소비자들이 차량에 탑승하였을때 가장 민감하게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감성지수를 만족하기 위한 노력이 각 자동차의 기술연구소, 학계및 국가연구소에서 심도있게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연구되는 active noise control 및 active suspension control등도 이 분야에 속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신기술들이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상용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 관계로 산업계에서는 현재의 진동소음저감기술을 좀더 단시간에 차량개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더욱 큰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현재 자동차업체에서 수행하는 진동, 소음및 충격시험평가에 대해서만 국한하여 기술하고자한다.urce)을 찾아 직접 그 원인을 차단 및 치유하는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방법을 이용하고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를 차량의 개발 단계에서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및 여러가지 개선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를 통한 진동소음 문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Change Rate of Vehicle Fuel Consumption for Road Roughness (도로 평탄성 변화에 따른 차량 연료소모량 변화율)

  • Ko, Kwang-Ho;Yoo, In-Kyoon;Lee, Soo-Hyung;Kim, Je-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45.1-45.1
    • /
    • 2010
  • 포장도로의 노화로 인해 도로 표면의 평탄성이 높아지면 차량 주행 시 연료소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중형/대형의 3개 승용차량에 대해 3가지 평탄도의 도로에서 40~100km/h 의 정속주행 연료소모량을 측정하여 도로 평탄성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었다. 시험결과, 평탄성 증가에 따라 연료소모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평탄성에 대한 l차 직선방정식으로 연료소모량을 표현할 수 있었다. 평탄성 1m/km 증가 시 연료소모량은 약 80mL/100km 정도의 비율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본 시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 노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증가의 정도를 추정하여 다양한 도로 복구 작업 등에 이용하여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예방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the Critical Accelerations for Fuel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When Starting a Passenger car (출발가속주행시 연료소모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임계가속도 추정)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01-202
    • /
    • 2015
  • 과거 연료소모량과 오염물질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주로 속도변수를 이용하였으나, 속도의 변화에 따른 연료소모량 및 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를 올바르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받는 것이 가속도이다. 이처럼 가속도 변수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여전히 연료소모량이나 오염물질 배출량과 관련하여 급가속을 판단할 만한 기준이 모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료소모 및 $CO_2$ 배출량을 증가시켜 급가속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가속도 임계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속도 임계치 및 모형추정을 위해 LPG 중형 승용차량에 장착한 차량 정보 저장장치로부터 가속 주행실험시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가속의 특성상 동일한 가속도라 할지라도 정지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가속도에 대한 연료소모량, $CO_2$ 배출량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정지상태에서 가속시 관성을 극복하기 위한 동력이 요구되는 속도의 범위를 확인하고 이중 출발 가속주행시 임계가속도를 도출하였다. 가속 주행실험 결과 연료소모 및 $CO_2$ 배출 증가량이 급격히 증가되는 임계가속도를 도출하기 위해 CART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정지 상태에서 가속하는 경우 $2.598m/s^2$, 의 가속도가 연료 및 $CO_2$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키는 임계 가속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