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diction of Change on the Body Style Proportion of the Future Passenger Cars

향후의 승용차 차체 스타일 비례의 변화 예측

  • 구상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자동차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0.05.01

Abstract

The body proportion of a passenger car has been changed by the demand of consumer and the market. Now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a passenger car become to have the importance as the passenger space and this proportion has been changed as the new models have been developed. It didn't seems to had a unified direction or strategy in the dimensions of the domestic passenger cars on the early models, but they had a specific changes in dimensions on the later models. The proportion of the wheelbase and greenhouse can be calculated into as about 58% and 57% on the compact and sub-compact passenger cars while it is about 56% on mid-size sedan type passenger cars for thier 3-box structure body concept. The overrall proportion of the interior space is bigger on the compact and the sub-compact passenger cars than the mid-size passenger cars as the calculation show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rior space proportion on the compact passenger cars would become larger, which is closed to 60%. And this trend would be appear on the mid-size passenger cars.

승용차의 차체 비례는 시간의 경과와 시장에서의 승용차 특성 변화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세단형 승용차에서 캐빈의 비례는 승객을 위한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더욱 중요성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캐빈의 비례도 각각의 모델의 컨셉트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국내 승용차의 캐빈 비례는 초기모델에서 통일된 전략이나 방향성을 보이지 않으나, 후기 모델에 가서는 특정한 비례로의 통일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 비례는 3박스 구조로 나뉘어 있는 차체의 소형과 준중형의 세단형 승용차에서는 축간 거리와 그린하우스의 비례가 각각 58%와 57%이며, 중형 승용차에서는 두 비례 모두 56% 정도로 계산되는데, 이것은 실내 공간 비례가 중형승용차보다 소형과 준중형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소형 승용차와 세단형 승용차의 실내공간 비례는 향후에도 증가하여 60%의 비율에 근접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경향은 중형 세단형 승용차에서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