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핵교육과정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미국의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f Engineering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 김명랑;박혜영;장선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5-19
    • /
    • 2007
  • 공과대학은 다른 인문, 사회 계열과는 달리 교양교육과정이 전공과정과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outcomes)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공과대학에서는 공학교육인증(ABEEK) 시행에 따라 그 기준에 부합하는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상의 문제에 많은 혼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우수한 공과대학으로 꼽히고 있는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메사추세스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로즈헐맨공과대학(Rose-hulman Institute of technology)과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와 미시간대학교(Michigan University-Ann Arbor) 그리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와 캔자스주립대학교(kansas state University)의 교양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 구성에 시사점을 찾기 위해 구현방식과 학문적 영역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지리 교과의 통합교육적 접근방안 - 초등 사회과 학습 내용 조직을 중심으로 - (A New Integrative Approach to Geography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 with respect to Replacement of Geographical Contents in the Elementary-leveled Learning -)

  • 강경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1-66
    • /
    • 2001
  •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은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교 급별로 다양한 유형의 통합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사회과는 교육과정의 개발에 있어 사회과학의 내용을 완전하게 단원 속에서 통합한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설득력 있는 통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여러 분야의 내용이 한 단원 속에서 혼합됨으로써 지리학습의 내용이 지리학적 지식의 구조를 반영할 수 없었고, 지리적 관점을 흐려 놓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전한 통합은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서, 통합의 의미를 실제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리교육의 통합적 접근방안을 모형화하였다. 지리교육의 통합적 접근방안은 통합된 지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생찰 세계를 이해하도록 하는 인식의 틀을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방안에 의하면 지리교육의 중핵개념은 자연환경, 인간과 환경, 공간구조이며, 이에 대한 학습과정에서 인접 관련 학문분야와 관련을 맺도록 되어 있다.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이 방안이 검토되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초등 교사들이 이를 구체화하여 적용할 것을 권한다.

  • PDF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 (Change in General Education - Based on the Harvard Reports on General Education -)

  • 정철민;유재봉
    • 비교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89-210
    • /
    • 2016
  •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대학교육에서 뿐만 아니라 교양교육에 있어서도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도록 만들고 있다. 이 글은 오늘날 대학의 화두가 되고 있는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변화의 방향이나 정당성 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일련의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교양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한다.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들은 교양교육의 이상으로서의 자유교육 아이디어를 단순하게 적용하기 보다는 현대의 시대적 사회적 맥락에서 재해석 내지 재검토 하고 있다. 이 점은 오늘날 교양교육이 직면한 위기, 즉 교양교육과 전공교육 혹은 직업교육과의 관계를 재정립하거나 사회 변화상의 반영 방안 마련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한다.

수학의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 김동원;박경미;박미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99-118
    • /
    • 2015
  • 최근 수학교육에서는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익히는 것을 넘어서서 수학을 실행하기(doing mathematics) 그리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수학과 각론 모두 핵심역량의 강조, 정의적 성취의 신장을 중핵적인 개념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간략히 살펴보고,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학교급, 교직 경력, 학교의 소재지, 학교의 유형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네 가지 경향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각 요소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대체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길수록,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직 경력이 짧을수록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도시 교사가 읍면지역 교사보다 핵심역량과 정의적 측면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중학교 교사들은 소재지에 따라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특성화고 교사는 다른 유형 학교의 교사들보다 일부 핵심역량 요소들의 중요성을 낮게 평가하고 있으나,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