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합률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7초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SCK Tumor Cells

  • 강만식;정주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05-313
    • /
    • 1989
  • The present investigation aims at inquiring into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SCK tumor cells by comparing the kinetics of cell survival, rate of protein synthesis, and DNA polymeras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heat protector or heat sensitirer. A possible conclusion to be drawn from the present experiment is that there i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cell death and decrease in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but that the loss of DNA polvmerase $\beta$ activity correlates quite well with cell inactivation. Thus, protein degrada-tion and/or abnormal protein synthesis causes cell inactivation innireuv, possibly by altering the cellular environment which in turn affects the DNA polymerase $\beta$ activity. Accordingly,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hanges in the cellular environment and DNA polymerase $\beta$ activity, are needed to set insight into a possible target for the heat inactivation of cells. 본 연구는 열보호제 또는 열증감제의 존재하에서 세포 생존곡선, 단백질 합성률,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변화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SCK 종양세포가 열에 의해서 불활성화될 때의 표적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 추정하건대 열에 의한 세포치사는 단백질 합성률의 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나,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도와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단백질의 분해 또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합성이 세포의 환경을 변화시키고 이것이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간접적으로 세포의 치사를 초래할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의 열불화성화의 표적을 좀더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는 세포의 환경변화와 DNA 중합효소 $\beta$의 활성과의 관계를 추구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한 Methacrylate기질과 Silorane기질 복합레진의 치아 수복 시 중합수축거동 (Polymerization Shrinkage Behavior Measured by Digital Image Correlation for Methacrylate-based and Silorane-based Composites During Dental Restoration)

  • 박정훈;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3호
    • /
    • pp.125-132
    • /
    • 2020
  • 치과용 복합레진 Filtek P90 (3M ESPE, USA)과 Clearfil AP-X (Kuraray, Japan)를 대상으로 디지털 이미지 상관법을 이용하여 광중합 시 발생하는 수축거동을 관찰하고 등가탄성계수를 적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시편표면의 응력분포를 산출하여 수축률분포와 비교하였다. 광조사 중과 광조사 후의 촬영 조건을 달리하여 CCD 카메라를 이용한 시편의 변형사진을 획득하고 디지털 이미지 상관분석을 하였다. DIC 분석 결과 상기의 복합레진 모두에서, 비균일한 수축변형률 분포가 관찰되었으며 링시편 내부의 레진 중심부가 자유로운 유동성으로 레진/링의 계면부보다 큰 수축 변형률이 발생하였다. 레진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반경방향 평균수축률은 감소하였으며, 광조사동안에 발생한 반경방향 평균수축률은 경화시험종료(10 min) 후 발생한 반경방향 평균수축률 값을 기준으로 P90은 33%, AP-X는 57% 수준이었다. P90과 AP-X가 광조사 중의 수축거동이 크게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레진/링의 계면부에 가까운 레진에서는 광조사 후에 인장변형률이 급격히 커져서 계면부가 인장응력을 받아 취약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Acrylamide Photopolymer의 제작 및 홀로그램 기록 특성 (Holographic recordings in acrylamide photopolymer)

  • 경천수;성기영;곽종훈;최옥식;이윤우;이인원;서호형;이일항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37
    • /
    • 1998
  • Acrylamide의 광중합(photopolymerization)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acrylamide photopolymer를 제작하고 홀로그램 형성과정을 설명하였다. MB(methylene blue) 색소에 의한 빛의 흡수 및 표백과정과 TEA(triethanolamine)에 의해 라디칼중합을 하는 acrylamide 중합과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였다. Beer-Lambert의 광화학 표백 모델(photochemical bleaching model)을 이용하여, photopolymer의 흡수곁수와 표백률상수(bleaching rate constant)를 구하였다. 그리고 acrylamide photopolymer의 홀로그램 특성에 기여하는 홑몸체(monomer)의 양과 회절효율과의 관계 및 노출량에 따른 회절효율을 측정하였다. 고분자 결정(polymer crystal)의 grain에 의한 산란효과와 정착(fixing)방법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수종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 및 수축응력의 비교 (COMPARIS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STRAIN STRESS OF SEVERAL COMPOSITE RESINS USING STRAIN GUAGE)

  • 김영광;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6-526
    • /
    • 2004
  • 심미적인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복합레진은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으로 인해 여러 임상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중합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복합레진의 성분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질조성의 변화를 통한 중합수축의 감소를 위해 최근 개발된 복합레진과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을 대상으로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축량 및 수축응력을 측정하고 각 재료의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들을 기존의 복합레진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시편은 각 군당 20개씩 준비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복합레진으로는 Bis-GMA 기질에 TEGDMA와 UDMA를 혼합한 $Denfil^{TM}$(Vericom, 한국) $0.4-0.7{\mu}m$의 필러를 기준으로 나노필러를 첨가한 $Charmfil^{(R)}$(Dentkist, 한국), 기질의 TEGDMA의 상당부분을 UDMA와 Bis-EMA(6)로 대체한 $Filtek^{TM}$ Z250(3M-ESPE, USA), 그리고 나노필러만을 이용한 $Filtek^{TM}$ Supreme(3M-ESPE, USA)를 선정하였으며, 광중합기인 Curing Light 2500(3M, USA)를 이용하여 각각 40초간 광조사하였다. 광조사 후 1초 간격으로 10분간 수축응력과 선 수축률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그래프로 분석하였고, 중합 1분 후와 10분 후의 수축응력과 선 수축률을 통계분석하였다. 또한 만능시험기와 미세경도기를 이용하여 중합 24시간 후 각 군의 압축강도와 미세경도를 측정하여 통계분석하였다. 수축응력 양상을 관찰해 본 결과 각 군에서 모두 중합 초기에 일시적인 재료의 팽창을 나타내었고, 그 후 수축응력이 약 1분간 급격히 증가한 다음 서서히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분 후에서는 각 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10분 후에서는 IV군과 II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5). 1분간 측정한 회귀분석에서는 III군의 기울기가 가장 적었고, II군 I군, IV군의 순이었다. 중합수축률 측정 실험에서는 중합 초기의 일시적 인 팽창과 약 1분간의 급격한 수축 증가를 나타내었고 그 후 서서히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분 후에서는 IV군과 III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10분후에서는 IV군이 I군과 III군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었으며 II군과 III군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1분간 측정한 회귀분석에서는 II군의 기울기가 가장 적었으며, IV군, III군, I군의 순이었다. 압축강도 실험에서는 III군, II군, IV군, I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III군이 IV군과 I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미세경도 실험에서는 모든 군에서 상면에 비해 하면의 미세경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차 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원에 따른 수종의 치면열구전색제로부터 용리되는 모노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ONOMER RELEASE FROM PIT AND FISSURE SEALANTS ACCORDING TO VARIOUS LIGHT SOURCES)

  • 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84-29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복합레진의 중합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광원인 할로겐, 플라즈마, LED를 사용하여 임상에서 사용하는 여러 치면열구전색제들을 중합 시, 이로부터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확인하고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5가지의 광중합형 치면열구전색제를 각각의 광원에 따라 중합한 시편을 제작하여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바로 용리시킨 액을 0시간으로 하고 $37^{\circ}C$ 항온수조에서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준 모노머들의 분리시간은 BPA 2.3분, TEGDMA 3.2분, UDMA 5.6분, Bis-GMA 6.5분, Bis-DMA 10.4분이었다. 2. 모든 치면열구전색제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용리되지 않았다. 3. 저장 12시간까지 대부분의 TEGDMA가 용리되었으며, 이후부터는 그 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4. 최소권장중합 시간인 할로겐 20초, 플라즈마 3초, LED 10초 중합 시 TEGDMA의 용리량은 할로겐, LED, 플라즈마 순으로 적었다. 5. 모든 중합기에서 Pit & Fissure $Sealant^{TM}$의 용리량이 가장 적었으며, 할로겐 중합시 $Helioseal^{(R)}$ F가, 플라즈마 아크중합 시 $Concise^{TM}$가, LED 중합 시 $Teethmate^{(R)}$ F-1이 가장 많은 용리량을 보였다.

  • PDF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co-L-락타이드) 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MethoxyPoly(ethylene glycol)-Poly$(\varepsilon-caprolactone-co-L-lactide)$ Block Copolymers)

  • 현훈;조영호;정성찬;이봉;김문석;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28-34
    • /
    • 2006
  •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PEG)과 카프로락톤(CL)과 L-락타이드(LA)로 구성된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단량체를 다양한 비율로 $Sn(Oct)_2$의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통해 합성하였다.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특성은 $^1H-NMR$, GPC, DSC 그리고 XRD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Sn(Oct)_2$의 존재 하에서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중합 시 중합시간, 온도, 첨가하는 촉매의 양을 달리하면서 중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0\;^{\circ}C$의 중합온도와 첨가하는 촉매의 양은 개시제 대비 1.2배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중합률을 보였다. 또한 합성된 블록공중합체의 수용액상에서의 시간에 따른 생분해 거동은 GPC를 이용한 분자량 분포의 비교를 통해 측정하였다. 합성된 블록공중합체의 생분해 거동을 측정한 결과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L-락타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생분해성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PEG-PCLA 블록공중합체의 $Sn(Oct)_2$의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실시함에 있어 다양한 중합조건에 따른 중합속도를 확인하였으며 MPEG-PCLA 블록공중합체는 PCLA 블록의 PCL 대비 PLA의 함량 비율에 따라 생분해 기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부가중합형실리콘인상재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ddition Silicone Impression Materials)

  • 김수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1-235
    • /
    • 2006
  • 본 연구는 부가중합형실리콘인상재의 정밀 인상채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압축변형률, 탄성회복률, 점주도와 젖음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4종류의 인상재 Examixfine(GC), Aquasilultra(Dentsply), Extrude(Kerr), Perfect-F(Handae)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압축변형률은 Extrude가 4.86%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Examixfine이 6.7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Examixfine과 Perfect-F 사이에는 유의한 값의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인상재 그룹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p < 0.001). 2. Extrude의 탄성회복률이 99.83%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Perfect-F가 96.5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Examixfine과 Aquasilultra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다른 인상재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1). 3. 점주도의 측정결과에서 Examixfine이 점주도 값이 45.12mm로 가장 높았고, Perfect-F의 경우 40.28 mm로 가장 낮은 점주도 값을 나타내었다. Examixfine과 Aquasilultra, Extrude와 Perfect-F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001). 4. 젖음성에서는 Aquasilultra가 $47.85^{\circ}$로 가장 접촉각이 작게 나타나 친수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Perfect-F는 접촉각이 $94.89^{\circ}$로 접촉각이 크게 나타나 소수성으로 나타났다. 인상재 종류별로도 각각 유의성이 존재하였다 (p < 0.001). 5. 접촉각은 압축변형률(p < 0.01), 탄성회복률(p < 0.01), 점주도(p < 0.05)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탄성회복률과 점주도 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압축변형률은 접촉각, 탄성회복률과 상관관계가 있었고(p < 0.01), 탄성회복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탄성회복률은 접촉각, 압축변형률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고(p < 0.01), 점주도도 접촉각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5).

  • PDF

측정장치의 compliance 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음력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STRUMENT COMPLIANCE ON THE POLYMERIZATION SHRINKAGE STRESS MEASUREMENTS OF DENTAL RESIN COMPOSITES)

  • 서덕규;민선홍;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2호
    • /
    • pp.145-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측정장치의 compliance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응력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변위센서, cantilever load cell과 부궤환 (negative feedback) 시스템을 적용하여 compliance를 허용하는 것과 허용하지 않는 두 가지 모드로 중합수축응력의 측정이 가능한 stress-strain analyzer를 제작하였다. 한 종의 flowable (Filtek Flow: FF) 복합레진과 두 종의 universal hybrid (Z100: Z1 and Z250: Z2) 복합레진이 사용되었다. Load cell의 끝과 base plate에 고정된 직경 3.0 mm의 금속 막대에 silane을 처리하였다. 1.0 mm의 거리로 고정한 두 개의 금속 막대 사이 에 복합레진을 적용한 후 광중합을 하였다.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과 중합수축응력을 10 분 동안 기록하였고 인장탄성계수도 구하였다. 통계처리는 일원분산분석과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95% 유의수준에서 Tukey's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측정된 중합수축 응력은 재료와 compliance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Compliance를 허용한 모드에서 중합수축응력은 FF: 3.11 (0.13)이 가장 컸으며 Z1: 2.91 (0.10), Z2: 1.94 (0.09) Mpa의 순서였다. 측정장치의 compliance를 허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Z1 17.08 (0.89)이 가장 컸고 FF: 10.11 (0.29), Z2: 9.46 (1.63) MPa의 순이었다. 또한 Z1, Z2, FF의 인장탄성계수는 각각 2.31 (0.18), 2.05 (0.20), 1.41 (0.11) GPa 이었다. 중합수축응력은 compliance mode에서는 복합레진의 수직 중합수축률이 주요 영향 요인이었으며, compliance를 배제한 모드에서는 탄성계수의 효과가 지배적이었다.

2016년에서 2018년의 소아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감염질환의 연령별 발생분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us Disease in Children from 2016 to 2018 According to Age)

  • 최준형;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21-128
    • /
    • 2023
  • 목적: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은 비말감염을 통해 경한 상기도 감염부터 기관지염이나 폐렴까지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이다.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감염의 호발 연령은 통상적으로 학동기로 알려져 있으나 연령이 어려지고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인천의 한 3차 병원에서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마이코플라즈마폐렴 감염 환자의 최근 연령분포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진단된 환자들에서의 검사법에 따른 진단적 유용성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 7월부터 2019년 2월까지 0세에서 18세 사이의 호흡기 감염질환 환자들 중 비인두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 또는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특이 IgM 항체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감염의 진단은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 또는 특이 IgM 항체 양성인 경우로 하였다. 결과: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에 대한 검사를 IgM 또는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총 2,721명이었다. 둘 중의 한 검사라도 시행한 사람 중에 2,197명이 IgM을, 1,144명이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를 하였고 각각 17%, 20%에서 양성이었다. IgM과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를 동시에 검사한 환자는 총 620명이었고 이 중 35%에서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감염이 확인되었고 1세 미만에서 14%, 1-2세 미만에서 13%에서 양성이었다. 나이가 많을수록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 양성률이 두 검사에서 다 높게 나타났다. 3세 이전에 IgM 검사에서, 3세 이후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에서 양성률이 높았다. 두 검사의 일치율은 77.9% (Cohen's kappa 0.402)로 적당한 일치율을 보였다. 결론: 연령이 증가할수록 마이코플라즈마폐렴균의 양성률은 높아졌음을 알았고, 생후 2세 미만의 환자에서 검사법에 따라서 4-14% 정도의 감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합효소연쇄반응검사와 항체 검사의 일치도가 적당한 일치도를 보이고 있어 진단을 위해 처음부터 무분별하게 IgM 항체 검사와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필요성이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