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재실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미국 자동차보험에 있어서 무과실보험의 중재에 관한 고찰 - 미국 뉴욕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No-Fault Arbitration in U.S.'s Automobile Insurance - Focus on the Case of New York State -)

  • 김지호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2권1호
    • /
    • pp.89-110
    • /
    • 2012
  • No-fault automobile insurance system is a statutory scheme to provide automobile accident victims with compensation for certain expenses arising from personal injuries occurring in car accidents. New York State has enacted No-Fault Law to ensure that the injured in automobile accidents be paid rapidly by their own insurance company for medical expenses, lost earnings regardless of fault, replacing common law system of reparation for personal injuries under tort law. Its primary purpose is to facilitate compensation without the need to exhaust time-consuming litigation over establishing the existence of fault and the extent of damages. No-Fault Law allows arbitration as a method for settling the no-fault insurance disputes. No-fault arbitration, however, differs in a significant way from general arbitration system. First, No-Fault Law provides the parties with the option to submit any dispute involving no-fault automobile insurance to arbitration. Second, no-fault arbitration attempts to speed its procedure incorporating various methods. Third, the parties are required to seek review of arbitral awards by master arbitrator prior to seeking court's review. Fourth, the parties have right to bring de novo action in court if master arbitrator's award exceeds $5,000. Given the current state of law in Korea, it may not be easy to introduce no-fault arbitration system into Korea in the context of automobile insurance disputes settlement as its law has a long-established reparation system based on tort liability and no-fault arbitration system has its own features that differ from general arbitration system. Nonetheless, it could be suggested that no-fault arbitration be introduced in other fields which require speedy dispute resolution and a third party's decision to settle the disputes. The optional right of submitting disputes to arbitration as provided by No-Fault Law of New York State may offer a ground to supprot the effectiveness of an optional arbitration agreement.

  • PDF

일 도시 초·중등 학생의 보건실 이용률과 건강문제 및 보건교사의 간호수행도 (Utilization of School Health Room and Health Problem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Nursing Performanc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a City)

  • 김진희;소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80-19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성별 및 소재지별 보건실 이용률 및 건강문제의 연도별 변화를 파악하고, 학생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교사가 제공하였던 간호중재수행 빈도 및 난이도를 분석함에 있다. 자료분석은 경력 3년 이상의 보건교사 59명이 응답한 조사지였다. 분석결과, 연도별 재적 총학생수는 매년 감소한 반면에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보건실 이용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00% 정도 상위를 보였다. 초등학교 도심지역 여학생들의 보건실 이용률이 가장 높았으며 중등학교 도심지역 남학생들이 가장 낮았다. 남학생은 피부 피하계, 근골격계, 소화기계 건강문제 순으로, 여학생은 피부 피하계, 소화기계, 근골격계 건강문제 순으로 이용률을 보였다. 도심지역이 변두리 농촌형보다특정 건강문제에서 보건실 이용률이 높았다. 간호중재수행은 자기건강관리교육과 상담 영역에서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자해, 발작, 순환기계 건강문제에서 난이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보건실 이용률은 점차 증가하여 보건교사의 업무는 가중되었으며, 특별하고 위급한 건강문제를 보건실에서 전문적이고 효과적으로 응급처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질 있는 보건교사의 인력확충과 표준화된 업무지침이 요청되며 나아가 전문가적 역량을 강화하는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 어용숙;이내영;이지원;차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39-2646
    • /
    • 2015
  •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 간호사의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불안, 혈압, 맥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 검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수행하였다. 대조군 25명은 기존의 간호중재를 받았고 실험군 25명은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자궁적출술 환자이다. 불안(p=.002), 이완기혈압(p=.012), 수축기 혈압(p=.045)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맥박수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수술 전 지지간호중재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NIC간호중재분류체계를 이용한 수술실 핵심간호중재분석 (Analysis of Core Interventions of Operating Room using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 이윤영;박광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61-372
    • /
    • 2002
  • Purpose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to analysis of cor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Operating Room nurses. Method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rbitrarily selected nurses(n=104) working in Operating Room.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15 days from July, 15, 2002 to July, 30. 2002. The instrument for study was 486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developed by McClosky & Bulechek(2000) and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 486 nursing interventions, 57 nursing interventions were selected by more than half of 47 professional nurses group of Operating Room. 57 nursing interventions were used as a secondary questionnaire. In the secondary questionnaire, labels and definitions of all 57 interventions were listed. The collected data were self reported by Operating Room nurses.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program. Result : In 57 nursing interventions, the 'Behavior' domai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ore interventions of Operating Room were performed several times a day by more than 50% of Operating Room nurses. Core interventions of Operating Room were 16 Core interventions, 7 classes, 5 domains. In the core interventions, the 'Physiological:Complex' domai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ore interventions of Operating Room were Surgical Preperation, Infection Control:Intraoperative, Surgical Precautions, Fall Prevention, Documentation, Surgical Assistance, Environmental Management:Safety, Skin Surveillance, Physical Restraint, Pressure Ulcer Prevention, Environmental Management:Comfort, Infection Protection, Presence, Emotional Support, Specimen Management, Shift Report. Conclusion : Core interventions of Operating Room have implications for nursing care practice, nursing education, nursing research, and nursing information system in Operating Room.

  • PDF

지리산권 중재실형 정자의 건축특성 및 지역성 (A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of the Joongjaesil-type pavilion in the Jirisan Mountain area)

  • 손희경;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1호
    • /
    • pp.29-39
    • /
    • 2022
  • The remaining Joongjaesil(中齋室)-type pavili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showed more complex characteristics than those in the western part. The front number of kan(間) had two, three, and four kan (間) types, but the number of kan on the side was consistent with two regardless of the number of kan on the front. The pavillion is classified into 'central type', 'towards the backward type', and 'expanded by backwards ty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Joongjaesil. Joongjaesil's size, which characterizes the characteristics of Joongjaesil-type Pavilion, is related to the building's front number of kan. Front number of kan. When this space was increased by one space to four spaces, Joongjaesil must have two spaces. The pavilion with four bays in fron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concentrated in Sancheong and Jinju, the eastern part of the Jirisan Mountain area. In the eastern region, many high pavilions remain,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pavilion was insignificant, but the flat shape and public construction showed strong locality.

Perioperative Nursing Data Set(PNDS)를 이용한 수술실 간호중재 분석 (Identification of Nursing Interventions in the Operating Room using the Perioperative Nursing Data Set(PNDS))

  • 김경희;조복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1-370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operating room nurses using the Perioperative Nursing Data Set (PND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8 operating room nurses, from August 1 to October 25, 2002 using the PNDS developed by the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translated into Korean. Nurses working in 2 university hospitals in Gwang-ju and 2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There were 15 of 127 nursing interventions which the operating room nurses indicated were important and which they performed at least once a day. Conclusion: The operating room nurses consider interventions to prevent physical injury and patient centered care to be very important, but the performance rate for patient centered care was low.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in education courses for patient centered care to be more strongly emphasized.

  • PDF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 정종희;강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91-298
    • /
    • 2013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와 C도에 소재한 2개 상급종합병원과 5개 종합병원의 수술실 간호사 124명이었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3.64(0.45)점, 피로 점수는 3.46(0.60)점이었다.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병원 종류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 정도는 병원 종류, 근무배경,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는 업무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r=0.47, p=<.001). 그러므로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피로의 관련성을 파악한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향후 수술실 간호사를 위한 업무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이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and Holding and Nei-Guan Acupressure on Anxiety and Pain under Local Anesthetic Patients during Surgery)

  • 박선희;장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78-388
    • /
    • 2014
  • 연구목적은 국소마취 환자의 수술시 불안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잡아주기, 내관지압의 간호중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기간은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H대학교 병원에서 국소마취를 통해 외래수술을 시행한 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대조군 사전사후 시차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군1, 실험군2, 대조군 각 26명이었으며 외래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1은 손잡아주기, 실험군2는 내관지압 간호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 군 간의 사전 동질성은 검증되었으며 간호중재 후 불안, 간호중재 후 통증이 실험군1, 실험군2에서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수술시 불안과 통증감소의 효과를 나타낸 손잡아주기와 내관지압의 효과가 시간과 경제적 측면에서 수술실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료분쟁조정 신청절차에서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小考)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27조를 중심으로 -

  • 백경희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435-464
    • /
    • 2013
  • 의료민사소송은 그동안 의료행위가 지니고 있는 전문성, 밀실성, 폐쇄성 등의 여러 가지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소송이 장기화되고 경제적 비용이 상당하게 소모되었다. 또한 법원의 판결이 이루어지더라도 당사자들이 이를 신뢰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신속성과 공정성에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때문에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의 의료분쟁조정 및 중재 절차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의료분쟁조정법 제27조 제8항에서 피신청인이 14일 동안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경우 거부의사로 간주되고, 이 경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장이 각하결정을 하여야 한다고 규율함으로써, 조정의 개시 조차 순탄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의료분쟁의 최근 현황을 확인해 본 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의 신청에 관한 조문인 제27조에 대한 입법안을 비교 점검한 후 다른 ADR 관련 법률이나 민사소송법상의 조문과 비교하여 불합리한 점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동조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13. 4. 8.부터 시행이 되고 있는 불가항력적 산과 사고에 대한 무과실보상제도와 관련하여 동조가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홈게이트웨이 시장의 진화 전망 분석 (The Analysis and Prospects of Home Gateway Industry)

  • 구영덕;박용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74-276
    • /
    • 2004
  • 홈네트워크를 구현해 가정에 서비스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가정내의 홈네트워크 환경, 서비스를 가정까지 전달해주는 외부의 네트워크 환경,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및 콘텐츠의 제공 둥이 필요하다. 다양한 통신망의 변혁 속에서 홈네트워크는 이용자가 직접 통신망에 접속하여 각종 통신망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보인프라의 최종단으로 위치하고, 사람의 순환계에 있어서 실핏줄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며, 홈게이트웨이는 이를 투명하게 전달, 중재하는 핵심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홈게이트웨이 기능의 변화, 시장 전개 시나리오와 서비스 발전에 따른 홈게이트웨이의 진화 전망을 통하여 홈게이트웨이 업체의 주도권 전망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