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앙아시아복식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중앙아시아($1{\sim}7C$) 복식을 응용한 디자인 상품 개발 (Apparel Design Inspired by Central Asian Costume($1{\sim}7C$))

  • 윤지원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4호
    • /
    • pp.593-60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Central Asian costumes($1{\sim}7C$) and develop new design items and suggest new brand launching. Korean apparel industry has been suffering from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caused by the sagging economy and too many apparel companies. Due to the several years of recession, clothing consumption decreased and foreign brand's market share got bigger. As a result, managing a company became difficult and it is time for Korean apparel industry to enter the global market. We need a brand with new image and design that has big potential of purchasing power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furthermore in global market. But even nearby Chinese market already became very competitive. One way of approaching Chinese fashion market is to find something special, for example, their historical background. Central Asian culture and costumes, a part of China, has both Eastern and Western culture. No other apparel industry had interest in the Central Asian costumes yet. Therefore, through their costume, a fresh design idea can be suggested.

  • PDF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제 민족 샤만복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iberia and Central Asia Shaman's Costume)

  • 이자연
    • 복식
    • /
    • 제36권
    • /
    • pp.167-181
    • /
    • 1998
  • This paper is the result of research about what imply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hamna's costume in Siberia and Central Asia by using plates, medias and exhibitions in JNME. The rese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earcher define the shamanism as incantation, religious phenomenon centering arround shaman who communicate with the existence of preternatualness by possession or trance. 2) Siberia and Central Asia's shamans are comunicated with the existence of preter naturalness by trance. 3) In Siberia and Central Asia, the shaman's costumes is presented in a shaman ritual are caps, jakets, ornaments, stick and shoes. They symbolize spiritual world, stupendous shaman and powerful animal. 4) A significant symbolic meaning of shaman's costumes is that they change shaman to the existence of preternatualness.

  • PDF

백제 복식 유형별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yle of Costume Types of Baekje)

  • 채금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8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he styles of Baekje costumes by examining costume types and styles based on the research of old books and a comparative study o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Baekje art relics in Central As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records of old books, relic materials (Yangjikgongdo, Mural paintings of Takamatsuzuka Tumulus, Cheonsuguk Mandarasujang, Shosoin relics, and Haniwas), we can see that ancient Japanese costumes were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Baekje costumes. 2.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cords of relic materials of Baekje and Central Asia show that there were vigorous interchanges between the East and West. 3. Baekje costumes showed a great diversity in styles because they were based on Buyeo costume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vigorous overseas trade. 4. Baekje's upper garments are summarized as Boksam and Po for men and Yu, Banbi and Euisapo for women. Boksam and Yu styles varied as tunics and overlapped jackets with straight and round collars. Two types of sleeves coexisted. The sleeves of Hansung Baekje period were a diagonal lined style that was wide on the armhole and narrow on the wrist. The sleeves of Sabi Baekje period were a reversed diagonal lined style that is narrow on the armhole and wide on the wrist. Pants styles were summarized as Gon, Gunggo and Daegugo. There were not enough relics and references for the Baekje costumes; however, this study widen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various styles of Baekje costumes through inferences from available data.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궁전 벽화에 나타난 삼국시대복식연구 (A Study on the Dress of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From the Wall Painting of Afrasiab's Palace in Samarkand)

  • 이상은;김애련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3-199
    • /
    • 2006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nationality of two envoys by examining their dresses and appearances depicted on the wall painting of Afrasiab's Palace in Samarkand with the concentration on the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three states and the countries in Central Asia.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three states and the countries in Central Asia are examined with the concentration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what are related to the dresse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re examined with the concentration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wall painting of Goguryeo tomb. The followings results were identified. The dresses of envoys were comprised of Jowugwan, the soft hat shaped like a peaked hat, the upper garment reaching a hip line with Jikryeong Gyoim and Tongsu, narrow trousers, black belt with a hook, front-pointed shoes and big sword with a round ring. The items of dressing are very similar to those during the Goguryeo period as observed on the wall paintings and excavated articles from the tombs from the Goguryeo period and literature. The next examination is estimated that Goguryeo had the official relationship with the countries in Central Asia before the invasion of Tang in mid-7 century when the wall painting, in our estimation, was produced, and to this end, Goguryeo sent the envoys to those countries. The envoys on the wall painting were estimated to be from Goguryeo as discussed above.

  • PDF

시베리아·중앙아시아와 한국 중부지방 무속복식의 비교연구 (A Study of Comparing Shamans' Costumes of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 이자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87-393
    • /
    • 2005
  • This study compares shamans' costumes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It also investigates the meaning of shamanism and shamans,the relationship of Korean shamanism to shamanism, and the genealogy of Korean shamanis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f the research, literature reviews, field studies, and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lics are mostly used.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Through the comparison of shamans' costumes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this research finds out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stumes. Both Korean shamans and Siberian and Central Asian shamans wore shaman's costumes and used utensils like bells or mirrors when they perform a religious service. On their costumes, they both used an element which stands for birds. However, they were different in terms of the materials or styles of the costumes, of the function of the costumes, and of the decorating with ornaments. The differences in the materials or styles of the costumes, different functions of the costumes, and using ornaments or not can be viewed as a general phenomenon, which is resulted from different environments. The soul's departing the body or the possession or a mixed method can be considered as mere variations due to regional or cultural differenc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stumes of shamans of Korea with those of Siberia and Central Asia, the shamans of Korea and Siberia and Central Asia share the same origin. And the genealogy of Korean shamans can be said to be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shamanism.

복식과 무기의 갖춤 상황에서의 무예연구 (A Study on martial arts when Equipped with Weapons, Clothes and Other Accessories)

  • 황호영;최재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413-421
    • /
    • 2013
  • 현재 한반도에 터를 잡고 사는 우리는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과거 선조들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북방지역까지 넓게 퍼져 살았다. 평상시는 여러 나라들과 서로 교역을 하였지만 사이가 좋지 않을 때에는 전쟁을 치르면서 많은 나라들이 등장하고 사라져갔다. 이러한 역사 속에 다양한 문화가 이루어져 왔고 그 중에 전통무예도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무예는 조선 후기 화약무기의 발달과 일본의 식민지, 6.25전쟁을 겪으면서 그 명맥이 거의 단절 되었다. 다행이 사서와, 무예서의 기록과 유물이 뒷받침 되어 우리가 전통무예를 연구 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조선후기 편찬된 무예서인 무예도보통지는 조선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기예를 소홀히 했던 것을 반성하고 조선과 중국, 일본의 기예를 수용하여 엮은 책으로 상세한 설명과 그림, 복식과 무기제원까지 기록 되어 있어 무예연구에 있어 가치가 있다. 그러나 무예도보통지를 근간으로 하는 무예단체나 개인의 기예가 다르며 어느 단체들은 가짓수를 가지고 논쟁 하고 있어 문제이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발맞추어 스마트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수많은 교육용 앱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학교 수업 내용에 대한 앱은 전무한 현실에서 교수자가 직접 앱을 개발하여 학교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스마트폰의 최대 장점인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학교 수업 내용을 학습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학습 환경을 만드는데 있다.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 안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43-270
    • /
    • 2007
  •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라사국립애이미탑십박물관(俄羅斯國立艾爾米塔什博物館)·서북민족대학(西北民族大學)·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편(編)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 2018 (『러시아 소장 쿠차 예술품』) (The State Hermitage Museum·Northwest University for Nationalities·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Kuche Art Relics Collected in Russia Shanghai Chinese Classics Publishing House, 2018)

  • 민병훈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226-241
    • /
    • 2020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박물관 3층 맨 우측에는, 세계 유수의 실크로드 미술 컬렉션을 상설전시하는 "중앙아시아실"이 자리 잡고 있다. 20세기 초 실크로드를 학술조사한 러시아의 코즐로프(Pyotr Kozlov), 베레조프스키(Mikhail Berezovsky), 올덴부르그(Sergey Oldenburg) 등에 의해 수집된 고고 미술품 들이다.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방대한 이들 유물은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역별로 분류하여 공개중이며, 이제까지 독일과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한국, 일본 등에서 개최된 특별전시를 통해 그 일부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러시아 실크로드 탐험대의 성과물을 종합적으로 공개한 대형 기획전시 이 2008년에 에르미타주 박물관에서 개최됨으로써, 러시아의 실크로드 관련 유물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번에 간행된 『아장구자예술품(俄藏龜玆藝術品)』(2018)은 중국의 상해고적출판사(上海古籍出版社)가 에르미타주 박물관과 공동으로, 당관 소장 실크로드 유물 가운데 쿠차 지역의 예술품만을 선정하여 출판한 도록이다. 이 도록의 편집과 논고 및 유물 해설은 에르미타주 박물관 동양부(Oriental Department)의 시니어 큐레이터 키라 사모슉(Dr. Kira Samosyuk)이 담당하였다. 키라 박사는 하라호토(Khara-Khoto)와 서역(西域) 미술 전문가로, 그 이름이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중앙아시아 불교미술 연구의 석학이다. 본서에는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쿠차 지역 출토 유물을 망라하여, 중앙아시아 불교미술에 있어서의 쿠차 지역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탐험대가 남긴 현장사진과 스케치 등에 이르기까지 빠짐없이 소개함으로써, 수집 유물 이외의 귀중한 정보도 아울러 제공하고 있다. 키라 사모슉 박사는 본서의 게재 논문 「The Art of the Kuche Buddhist Temples」에서, 러시아의 실크로드 탐험의 개요를 소개하고, 주로 불교시대 쿠차의 역사 전개 과정과 쿠차에 전래된 불교의 양상 그리고 석굴의 벽화 묘사와 그 연대 문제를 논한 후, 벽화의 주제와 소상(塑像), 석굴사원이 예배의 장으로서 어떻게 운용되고 있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키라 박사는 결론으로서, 쿠차 문화는 불교 전파의 역사 가운데 독립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유목세계의 여러 민족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간다라 미술, 헬레니즘, 고대 이란, 중국 문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구축하였음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쿠차 지역에서 형성된 문화는 타림분지뿐만 아니라 돈황(敦煌)과 중원(中原) 지역의 석굴예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으로 문장을 마감하고 있다. 키라 박사의 논고 가운데 주목할 부분은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造成) 연대(年代)에 관한 것이다. 그녀는 이제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벽화의 조성 연대에 관한 견해를 소개하며, 벽화의 인물이 착용하고 있는 갑주(甲冑)의 도상(圖像) 특징 등을 소그드 미술 등 주변 지역에서 출토된 관련 자료와 비교하여, 키질의 조성 연대를 기존의 학설보다 백여 년 이상 소급해야 함을 주장하며, 5세기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쿠차 지역 석굴의 조성 시기의 문제는 석굴의 형식 문제를 비롯하여 불화(佛畫)의 주제(主題)와 양식(樣式), 안료(顔料)의 문제, 복식(服飾)이나 두발(頭髮), 제 장식(裝飾) 요소 등을 학제적(學際的) 연구 방법으로 재조명하고, 그 과정에 나타나는 주변 문화권과의 관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위에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등 과학적 방법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는 수밖에 없다. 에르미타주 박물관에는 제2차세계대전 때 베를린에서 전리품으로 가져온 벽화편이 다수 소장되어 있다. 일반인에게는 물론 학계에서도 그 행방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이들 벽화편이 최근에 보존처리를 마치고 일반에게 상설전시를 통해 소개되고 있다. 본서 출판의 경위를 서술한 서언(序言)에는 이번 간행이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 쿠차 예술품의 제1차 출판이라고 한 점으로 보아, 아마도 보존처리가 끝난 독일 컬렉션을 소개하는 도록의 편집도 예정되어 있는 듯하다. 아울러 투르판과 호탄 지역 문물을 소개하는 도록의 간행도 기대해본다. 현재 쿠차의 석굴사원에서 절취한 벽화편은 러시아와 독일, 한국 등 여러 국가에 분장되어 있다. 이번 도록 출판을 계기로 쿠차 현지의 키질 석굴을 비롯한 제 석굴사원의 잔존벽화를 중심으로,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는 벽화를 함께 소개하여 이들 석굴사원 벽화의 원래 모습을 온전하게 소개하는 종합도록의 간행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동서의 문화가 혼합되어 있고 쿠차 지역 특유의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석굴사원의 벽화류 등을 소개하는 도록에는, 각 유물에 대한 보다 상세한 해설이 요망된다. 그리고 미술사 이외에도 보존과학적 측면에서의 안료 분석 등 학제적 조사연구 성과도 포함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작금의 중국 서부 개발 정책에 따라, 신장 지역의 오아시스에 인구가 과밀 거주함으로써 유발되는 기후변화 등으로 석굴사원의 벽화는 현재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 이러한 난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문화계뿐만 아니라 문화재 보존수복(保存修復)의 첨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이 실크로드 석굴벽화의 보존수복을 위해 공동 노력하고 아울러 관련 인적자원 양성 등을 위해 보존과학센터를 운영하는 등 모두의 중지를 모아야할 때다. 본서는 20세기 초 서구 열강에 의해 추진된 실크로드의 고대 유적 조사 결과 가운데, 러시아 조사대가 쿠차 지역의 석굴사원을 중심으로 거둔 성과를 종합적으로 소개하는 출판물이지만, 향후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의 독일 컬렉션 벽화까지 전부 소개될 경우, 쿠차의 불교미술과 실크로드 연구에 크게 공헌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서는 이제까지 축적되어 온 쿠차 지역에 대한 고고미술 연구의 마지막 퍼즐 조각이자 실크로드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학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서는 에르미타주 박물관의 실크로드 미술 연구의 성과물이자 새로운 편집 체계로서 학적 편의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기획하고 실크로드 미술 연구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키라 사모슉 박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