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심점 이동

Search Result 603, Processing Time 0.077 seconds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Particle Filter and Difference Image (파티클 필터와 차영상을 이용한 이동 객체 추적)

  • Kim, Hyo Yeon;Kim, Kisang;Choi,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461-146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 HSI 색상 모델 기반으로 하는 파티클 필터를 이용하고, 차영상을 통해 추적하고자 하는 객체의 중심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색상 모델 기반 파티클 필터로 이동 객체를 추적했을 때, 객체의 색 혼합도의 문제로 객체의 중심과 파티클들의 분포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져 추적의 어려움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프레임마다 차영상을 만들어 이동객체의 중심점을 찾고, 파티클 필터로 추적한 중심점과 비교하여 객체의 중심점을 보완해 추적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An HCI using the Indicate-8ar for recognition (지시막대인식을 이용한 HCI)

  • 전미영;류승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532-53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으로 캠을 통해 들어오는 영상에서 특정색 적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연구되어진 방법은 지시막대의 색상을 배경과 분리하고. 분리되어진 영역에서 지시막대의 크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에서 중심점을 찾는다 찾아진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점 이동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도 같이 이동되기 때문에 마우스나, 키보드 자판을 직접 손으로 제어하지 하고 포인터의 좌표 이동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자유로운 자세에서의 발표를 유도하며,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를 제안하였다.

  • PDF

Tracking Algorithm For Golf Swing Using the Information of Pixels and Movements (화소 및 이동 정보를 이용한 골프 스윙 궤도 추적 알고리즘)

  • Lee, Hong, Ro;Hwang, Chi-J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5 s.101
    • /
    • pp.561-56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visual tracking algorithm for the golf swing motion analysi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ixels of video frames and movement of the golf club to solve the problem fixed center point in model based tracking method. The model based tracking method use the polynomial function for trajectory displaying of upswing and downswing. Therefore it is under the hypothesis of the no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so this method is not for the amateurs. we proposed method using the information of pixel and movement, we first detected the mo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of pixel in the frames in golf swing motion. Then we extracted the club head and hand by a properties of club shaft that consist of the parallel line and the moved location of club in up-swing and down-swing. In addition, we can extract the center point of user by tracking center point of the line between center of head and both foots. And we made an experiment with data that movement of center point is big. Finally, we can track the real trajectory of club head, hand and center point by using proposed tracking algorithm.

Correlation analysis for viewpoint of hologram and stereo image (홀로그램과 스테레오 영상의 시점에 대한 상관성 분석)

  • Kim, Woo-Suk;Kim, Dong-Wook;Seo,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02-20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부분 홀로그램의 중심점과 카메라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시점 영상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같은 기준에서의 실험을 위하여, 물체의 실제 크기 및 시점간 거리 등의 파라미터를 조정하였으며, 카메라의 수평이동과 부분 홀로그램의 중심점이 좌, 우로 이동된 결과를 생성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광학계와 생성방법을 통하여 생성된 임의의 시점 영상들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 PDF

Cursor Control by the Finger Motion Using Circular Pattern Vector Algorithm (원형 패턴 벡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손가락 이동에 의한 커서제어)

  • 정향영;신일식;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173-176
    • /
    • 2001
  • 본 논문은 영상 해석 알고리즘의 하나인 원형 패턴 벡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커서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영상에서 손 영역에만 해당하는 최대 원을 여러 개 그린 후 가장 큰 원의 중심점을 무게 중심점으로 사용하였으며, 무게 중심점에서 손의 외곽까지의 거리를 구하여 가리키는 손가락을 찾도록 하였다. 화면상의 커서의 수평 방향은 가리키는 손가락 방향을 이용하여 평면 좌표로 해석하여 제어하였고, 수직 방향은 모니터 중앙 상단에 한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손가락 길이를 이용하여 불연속적으로 상-중-하의 세 영역으로 제어하였다. 수직 방향의 커서이동이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구축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범위를 축소한 후 축소된 범위를 전체 화면으로 확대해 나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지점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 PDF

The Creation of Orthogonal Coordinate and The Extraction of the Singular Point for Fingerprint Matching (지문 정합을 위한 특이점 추출과 직교 좌표 생성)

  • 최진호;나호준;김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314-317
    • /
    • 2003
  • 지문을 이용한 개인 인증 절차는 지문 형태 별로 구분하는 분류(classification) 과정과 본인임을 확인하는 정합(matching)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문의 분류와 정합을 위해서는 기존 연구들이 지문의 특징점 수와 방향성의 흐름 패턴에 의존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향성의 흐름 패턴을 이용한 중심점 추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추출된 중심점 정보는 현재 구현되어진 특징점 추출 정보와 연계해 정합을 위한 기준점으로 활용한다. 기준점을 축으로 생성되어진 직교좌표는 지문 영상의 상ㆍ하, 좌ㆍ우 위치 이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시켜줌으로써 지문 정합의 정확도를 높여준다.

  • PDF

Fast Fingerprint Alignment Method using Local Ridge Direction (지역적 융선의 방향성을 이용한 빠른 지문 정렬 방법)

  • 문성림;김동윤;정석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580-582
    • /
    • 2003
  • 특징점 기반 지문 인식 방법은 지문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포함한 특징점 추출 과정과 추출된 특징점들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정합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징점들의 정합과정을 수행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 Hausdorff 거리 기반 정합 방법은 이동과 회전이 적은 지문의 특징점들에 대해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동과 회전이 많은 지문 영상의 경우 연산이 많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정합을 실행하기 전 지문의 중심점과 지역적인 블럭들의 방향성을 기준으로 정렬을 수행하여 비교되는 지문 특징점간의 회전 오차와 이동 오차를 줄임으로써, 기존의 정합 방법의 불필요한 연산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Hausdorff 거리 기반 정합 방법을 구현하고 그것에 대한 결과와 선정렬을 사용한 후의 정합 결과를 실험, 비교하였다. 이때의 평균 Hausdorff 거리는 Genuine의 경우 0.095가 줄어들었고, Improster의 경우 0.655가 늘어나는 성능 향상을 나타냈다.

  • PDF

Movements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Stance Phase in Free Level Walking of Normal Adults (정상인의 지면수평자보행에 대한 입각기 압력중심의 이동)

  • 김영호;양길태;문무성;박시복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587-592
    • /
    • 1999
  • 압력측정시스템은 입각기동안 동적압력분포를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하중수용기-중간입각기, 말기입각기-전유각기의 전환기들에 대해서는 운동분석시스템을 사용하지않고는 정확한 정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평자유보행 시 압력중심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발을 가진 20-30대 성인남자 78명을 대상으로 동작분석과발바닥 압력측정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결과로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 전환시기의 발바닥 압력중심점은 후족부와 중족부의 경계선에서 앞쪽으로 1.9$\pm$1.5frame(32$\pm$24msec)에 위치하였으며 말기입각기-전유각기 전환시기에는 중족골두 최대 압력점의 앞쪽으로 2.3$\pm$2.0 frame(38$\pm$33msec)에 위치하였다. 정상수평보행에 있어서 최초접지 순간 압력중심은 전방으로 빠르게 이동하다가 바로 급속히 감소하여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의 전환시기에는 작은 속도로 이동하였다. 압력중심의 이동속도는 그 후 다시 서서히 증가하다가 전체 보행주기의 25% 전후에서 서서히 감소하여 비교적 일정하다가 말기입각기-전유각기의 전환시점에서 다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족부질환과 보행특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압력중심의 이동궤적은 매우 유용한 인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압력측정시스템만으로는 정의할 수 없었던 두 전환기인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 말기입각기-전유각기를 결정할 수있게 되었다.

  • PDF

Analysis of the Inter- and Intra-treatment Isocenter Deviations in Pelvic Radiotherapy With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을 이용한 골반부 방사선조사에서 치료간 및 치료중 중심점 위치변동에 관한 분석)

  • Kim Moon Kyung;Kim Dae Yong;Ahn Yong Chan;Huh Seung Jae;Lim Do Hun;Shin Kyung Hwan;Lee Kyu Cha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8 no.2
    • /
    • pp.114-119
    • /
    • 2000
  • Purpose : To evaluate the e지ent and frequency of the inter- and intra-treatment isocenter deviations of the whole pelvis radiation field in using small bowel displacement system (SBDS). Methods and Materials :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302 postero-anterior 232 lateral portal images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from 11 patients who received pelvic radiation therapy (7 with cervix cancer and 4 with rectal cancer). All patients were treated in prone position with SBDS under the lower abdomen. Five metallic fiducial markers were placed on the image detection unit for the recognition of the isocenter and magnification. After aligning the bony landmarks of the EPID images on those of the reference image, the deviations of the isocenter were measured in right-left (RL), cranio-caudal (CC), and PA directions. Results : The mean inter-treatment deviation of the isocenter in each RL, CC, and PA direction was 1.2 mm ($\pm$ 1.6 mm), 1.0 mm ($\pm$3.0 mm), and 0.9 mm ($\pm$4.4 mm), respectively. Inter-treatment isocenter deviations over 5 mm and 10 mm in RL, CC, and PA direction were 2, 12, 24$\%$, and 0, 0, 5$\%$, respectively. Maximal deviation was detected in PA direction, and was 11.5 mm. The mean intratreatment deviation of the isocenter in RL, CC, and PA direction was 0 mm ($\pm$0.9 mm), 0.1 mm ($\pm$ 1.9mm), and 0 mm ($\pm$1.6 mm), respectively. All intra-treatment isocenter deviations over 5 mm in each direction were 0, 1, 1$\pm$, respectively. Conclusions : As the greatest and the most frequent inter-treatment deviation of the isocenter was along the PA direction, it is recommended to put more generous safety margin toward the PA direction on the lateral fields if clinically acceptable in pelvic radiotherapy with SBDD.

  • PDF

Cursor Control by the Finger Moton Using Circular Pattern Vector Algorithm (원형 패턴 벡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손가락 이동에 의한 커서제어)

  • 정향영;신일식;손영선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1 no.6
    • /
    • pp.487-490
    • /
    • 2001
  • In this paper, we realize a system that moves a cursor with a finger using the circular pattern vector algorithm that in one of the image analysis algorithms. To apply this algorithm, we use central point of the biggest circle among the various circles that recognize the image of the hand , and find out the pointing finger by looking for the distance of the outline of the hand from the central point.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ursor on the display is controlled by converting the direction of the pointing finger to the analysis of the plane corrdinate. Because of setting up only one camera of the upper, the middle and the lower discretely. On account of the discrete movement of the cursor of the vertical direction, we move th cursor to the objective, which the user wants. by expanding the local are to the whol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