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성수

검색결과 1,606건 처리시간 0.029초

환경요인이 $Fe^0$에 의한 TNT의 환원 반응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he Reduction Rate of TNT by $Fe^0$)

  • 배범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7
    • /
    • 2000
  • 환원상태의 0가 금속 철($Fe^0$)에 의한 TNT의 환원반응율에 환경조건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조내의 초기 용존산소, HEPES완충액 및 전자전달체 Vitamin $B_{12}$의 농도를 변화하며 비반응상수를 측정하였다. 0가 금속 철에 의한 TNT의 환원은 모든 경우에서 유사 1차반응으로 측정되었으며, TNT의 환원시, 용액내 초기 용존산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비반응상수는 초기용존산소의 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지 않았으며 용존산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반응속도의 감소율은 감소하였다. HEPES 완충액을 사용하여 TNT환원의 비반응상수를 측정한 결과, HEPES 2.0mM용액을 사용하여 중성 부근의 pH를 유지하였을 경우 비반응속도가 5.8배 이상 증가하여 반응율은 수용액의 pH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응 속도의 증진을 위하여 전자 전달체(electron carrier or mediator) vitamin $B_{12}$를 첨가한 실험결과, vitamin $B_{12}$의 농도 8.0 $mu\textrm{g}$/L 에서 14.6배의 비반응상수의 증가가 관측되었다. 따라서, 0가 금속 철로 충진된 반응벽체를 사용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공법에서 Vitamin $B_{12}$의 첨가는 매우 유용한 처리효율 증진방안이 될 수 있다.

  • PDF

In vivo와 in vitro 에서 양극산화 처리한 타이타늄 시편의 상대적인 생체적합성 평가 (Relative Biocompatibility Evaluation of Anodized Titanium Specimens in vivo and in vitro)

  • 이유미;이은정;염동선;김도순;이성태;김병일;조현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2-309
    • /
    • 2006
  • 처리하지 않은 타이타늄과 양극 산화 처리한 타이타늄 시편의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편을 마우스의 복부 피하 조직에 이식하고 2주 동안 생존시켰다. 그 시편에 대한 복부 피하 결합조직의 반응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시편 주위를 둘러싸는 섬유성 결합조직 막이 관찰되었으며 이 막은 섬유모세포, 섬유세포 및 기타 세포로서 중성호성백혈구, 대식세포, 거대다핵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시편을 둘러싸는 이 막에 새로이 형성된 혈관이 존재하기도 하였다. 임플란트와 접하는 섬유성 막에 거대다핵세포가 관찰되었다. 섬유성 막에 있는 세포 종류와 막의 두께를 조사하였다. 막에 있는 대부분의 세포는 섬유모세포와 섬유세포이었다. 양극 산화 처리를 하지 않은 타이타늄 시편에 비해 산화 처리를 한 시편을 둘러싸는 섬유성 막의 평균 두께가 더 얇았다. 또한 타이타늄 시편의 생체적합성을 세포 배양법으로 조사하였다. 산화 처리를 한 시편 위에서 배양한 MG-63 세포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런 결과들은 in vivo 와 in vitro 실험에서 산화 처리를 한 타이타늄 시편이 생체적합성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I) Captafol의 수용성, 가수분해, 증기압, 옥탄올/물 분배계수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 (I) Water Solubility, Hydrolysis, Vapor Pressure, and n-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Captafol)

  • 김정한;이성규;김용화;김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71-75
    • /
    • 1997
  •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captafol의 수용성, 가수분해, 증기압, 분배계수를 표준 측정기법 인 미국 EPA와 OECD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수용성은 $25^{\circ}C$ 조건에서 2.24 ppm이었으며, 가수분해에 의한 반감기는 $25^{\circ}C$에서 77.8시간(pH 3.0), 6.54시간(pH 7.0), 0.72시간(p班 8.0)으로 나타나 알칼리 조건에서 불안정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산성조건에서의 반감기는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 알칼리 조건에서의 반감기는 $40^{\circ}C$에서 매우 짧았다. 가수분해 실험의 표준 대조물질인 diazinon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가수분해 실험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Captafol은 상온에서 증기압 ($8.27{\times}10^{-9}\;torr,\;20^{\circ}C$)이 높지 않으므로 휘발에 의하여 대기환경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으리라 예상되었고, log P=6.94-(4401.6/T)라는 관계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Captafol은 옥탄올/물 분배계수치가 높아(Kow=1,523) 먹이연쇄를 통한 생물농축의 가능성이 예상되나 가수분해가 빠르기 때문에 비록 captafol이 수계에 노출된다고 하여도 분해가 빠르게 일어나 어류 생체내에 농축되어 인체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체질량지수(BMI)와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의 융합을 통한 인천지역 중년 여성의 비만 검사연구 (A Study on Obesity-related F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Body Mass Index (BMI) and Fat-CT in Middle-aged Women Living in Incheon)

  • 이배원;송재철;하헌영;심상효;심재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9-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비만 정책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014년 4월부터~11월까지 인천지역의 N 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건강한 중장년 여성들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1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신체계측, 체성분검사, 복부 지방분포는 복부지방단층촬영(Fat-CT)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골밀도는 정량적전산화 단층촬영(Q-C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부지방단층촬영 결과 '피하지방' 76명(39%), '내장지방'은 119명(61%)이었으며, 체질량지수(BMI)는 '저체중($18.5kg/m^2$)'은 13명(6.7%), '과체중($25kg/m^2$이상)'은 60명(30.8%), 평균값은 $23.5{\pm}4.11kg/m^2$이었다. 그리고 허리둘레, 확장기혈압, 수축기혈압, 중성지방에서 유의수준 5%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나이가 들수록 근육감소가 복부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를 상쇄시킨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비만에 대한 차후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김치분리균주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발효생식 제조에서의 위생미생물 살균효과 (Effects of Fermentation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Powdered Raw Grains and Vegetables Raw Grains and Vegetables Using Lactobacillus sp. Isolated from Kimchi)

  • 김동호;송현파;변명우;차보숙;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5-769
    • /
    • 2002
  • 김치로부터 분리 된 Lactobacillus sp.를 starter로 한 생식의 발효과정 에서 위생미생물의 살균 및 일반품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생식분말 현탁액의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각각 2.3$\times$$10^3$ cfu/mL, 8.6$\times$$10^3$ cfu/mL으로 분포하여 위생미 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컸다 발효생식 에 starter로 접종한 Lactobucillus sp.는 발효초기 1.1 $\times$ $10^3$ cfu/mL에서 발효 48시간 이후 107 cfu/mL수준으로 증식하였으며 coliform group과 SS agar분리 미생물은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발효 48시간 이후에는 거의 사멸되었고 60시간 이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생식의 pH는 발효초기 6.8에서 발효 48시간 후 PH 4.0 이하로 낮아졌고 산도는 발효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발효 48시간이 경과한 발효생식 현탁액, 2% lactic acid수용액, 그리고 pH 7.3으로 중화시킨 발효생식 현탁액을 E. coli sp.와 Salmonella sp.에 처리한 결과 발효생식의 현탁액을 처리한 시험구의 살균효과(D value≒6 min)가 lactic acid 처리구(D value≒6 min) 및 중성 pH의 발효생식 현탁액(1) value ≒120 min)에 비하여 높아 김치 분리균주 Lactobacillus sp.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살균작용이 lactic acid를 비롯한 유기산과 복합자용에 의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Streptozotocin-유발당뇨쥐에서 함초첨가 식이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방미애;김현아;조영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40-846
    • /
    • 2002
  • 염생 식물인 함초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S.D.계 백서에 당뇨를 유도시킨 후 5% 함초 분말 식이로 5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지질ㆍ혈당농도와 주요장기의 당 대사 및 항산화 효소의 활성 변화활성을 측정하여 함초의 섭취가 당질ㆍ지질대사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당뇨군에서 함초의 섭취는 식이효율을 증가시켜, 당뇨에 의해 나타나는 체중감소현상을 억제하여 당뇨의 증세를 완화시켰다. 또한 함초의 섭취는 혈당강하효과 및 혈청 총 지질과 중성지방 저하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함초의 섭취는 당뇨쥐의 섭취는 당뇨쥐의 지질상승억제 및 혈당 저하 효과로 항당뇨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당뇨합병증의 발생기전을 항산화효소와 관련시켜 연구하고자, 간과 시장의 항산화관련 인자를 측정한 결과, 당뇨에 의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 GR의 활성도는 함초 당뇨군(DH)의 간조직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신장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함초 섭취가 고혈당 및 고지혈증을 억제하고 당뇨로 인한 항산화 효소 활성변화를 정상으로 회복시킴을 밝혀 함초를 활용한 건강식품개발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흰쥐를 대상으로 한 양파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 of Onion Wine on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주연;서윤정;박중협;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67-4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하여 양파주의 섭취가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ieber-DeCarli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 대조군 표준식이의 탄수화물 대신에 에탄올로 열량을 대체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 에탄올로 열량을 대체한 식이에 양파주를 추가로 공급받는 동물군을 양파주군으로 설정하여 6주 동안 공급하였다. Lieber-DeCarli 식이공급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째 혈액 채취 직후 적출하였다. 양파주 농축액의 섭취로 인해 혈액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에탄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혈액의 ALT, AST, ALP 농도 모두 에탄올군에 비해 양파주군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 조직의 총지질과 콜레스테롤의 농도 모두 양파주의 공급으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주요 지방산 비교에서도 대부분의 지방산이 에탄올군에 비해 양파주군에서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양파주의 공급이 간 조직의 지방산 축적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양파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한 혈중 지질 수준과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간 조직 지방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렇게 개선된 지표들을 바탕으로 양파주의 섭취는 간 조직 보호 효과와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ZnO 기반 박막트랜지스터의 기계적 안정성 확보에 관한 연구 (Study on Design of ZnO-Based Thin-Film Transistors With Optimal Mechanical Stability)

  • 이덕규;박경애;안종현;이내응;김윤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호
    • /
    • pp.17-22
    • /
    • 2011
  • 실험을 통해 구현한 ZnO 기반의 투명 박막트랜지스터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고 안정성에 대한 확보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FEM (Finite Element Method)을 이용하여 소자를 구성하는 브릿지 와 패드 부분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소자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설계된 브릿지 부분의 웨이브 패턴을 구현한 결과 실험 값 대비 최대 진폭의 크기가 오차 0.5%로 실험값과 유사한 신뢰성 있는 결과 값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브릿지와 패드 사이에 나타나는 압축 응력을 확인하였으며, 압축 응력 값을 패드에 적용하여 그 변형 정도를 분석하였다. 기계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소자를 설계하기 위해 $SiO_2$ 절연층위의 ITO 전극과 ZnO 활성 층의 위치 및 크기를 예측 하였으며, SU-8 코팅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중성 역학 층 (Neutral Mechanical Plane)의 위치와 구조적 타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황토 첨가 사료가 조피볼락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Yellow Loess on Serum Constituents in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동수;조영철;최옥수;이영재;김해섭;배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6-291
    • /
    • 2000
  • 고품질의 수산양식식품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조피볼락의 사료에 황토5%∼ 15%의 농도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한 후 혈청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황토의 화학 적 조성을 분석한 결과 SiO2 49.80%, Al2O3 27.50%, FeO3 8.33%, CaO 0.09%, MgO 0.64%, K2O 1.62%, Na2O 0.12%, P2O5 0.20%, MnO 0.03%를 함유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지는 zeolite의 화학 적 조성과 유사한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혈청중의 총단백질과 알부민 함량 은 대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혈청중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 조구에 비하여 황토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황토첨가농도가 10%까지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중의 빌리루빈 함량은 15%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혈청중의 헤모글로빈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7.5%,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5%, 12.5%, 15% 첨가구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