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등학교

검색결과 1,051건 처리시간 0.028초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 황혜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5-264
    • /
    • 2015
  • 본 연구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고, 이용주체의 특성에 따른 학교 급에 따른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시설 및 환경, 장서 및 자료, 프로그램, 기타사항, 학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방향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지향점 설정 및 학교도서관 운영 전반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중등학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동일 학교급내 학년별 차이에 대한 규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중등학교에서 공개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방안 (An Activity Methods of the Open Source Software Educa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 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02-905
    • /
    • 2007
  • 정부에서는 공개 소프트웨어 보급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공개 소프트웨어 시범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정보화 사업 평가 항목에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 여부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잠재적인 공개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인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공개 소프트웨어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등학교에서 정보 컴퓨터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공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고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중등학교에서 공개소프트웨어 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분석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윤옥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45-146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지도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중등학교 현직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구글을 통하여 설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직업 진로 지도 인식은 전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학교급 간 측정동일성 검정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chool Vitality Scale Across The Level of School)

  • 이재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1-48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활력 진단도구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인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급간 측정동일성을 검정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초등학교 교원 3,156명, 중등학교 교원 4,41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활력 진단도구는 초등학교급과 중등학교급 간에 첫째, 구조회귀모델의 요인구조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델의 요인부하량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경로계수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조공분산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조잔차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개발된 학교활력 진단도구를 중등학교에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별 학교의 학교활력 수준을 진단하고 학교 경영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다.

학교평가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 (The Effective Functions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in view of School Evaluation)

  • 이경재;문윤근;김창용;류해수;김영권;배재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82-6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학교평가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교육정보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도입되어 있는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였다. 이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학교평가에 대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학교평가 자료를 쉽게 추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학교평가 항목을 토대로 현재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분석하여 학교평가의 지원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으로 학교평가를 지원하기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하는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 PDF

바람직한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설계 (Another Design for the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Elementary and High Schools)

  • 이경재;문윤근;김창용;배재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694-69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전략적 경영정보시스템의 구축 방법론에 입각하여, 현재 교육부 주관 하에 보급되고 있는 '초.중등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분석하고 재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초.중등학교의 내적 외적 환경, 교육의 비전과 목표, 주요 성공요인, 주요 업무상관도, 핵심 업무프로세스 등을 분석하여, 현재 보급 중인 시스템의 학교 적합도를 가늠하였다.

  • PDF

무용교원자격 및 교과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중등학교 정교사 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Qualification for Dance Teacher and Subject System: Focused on Cases of Acquiring Certificat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 홍애령;김지영;박재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2호
    • /
    • pp.363-372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교원자격 취득 및 교과 운영에 관한 제도와 현황을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무용을 가르치는 교원의 유형별 교원자격과 교과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교무용교육이 교육과정 개정과 예술강사 지원사업 시행을 계기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한 가운데,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이 신설되었고, 최근 중등학교 정교사 2급(무용) 자격자가 배출되고 있어 무용교원자격 전반에 관한 주목이 요청된다. 무용교사로서 중등교원자격을 취득하는 예비 교사들이 배출되는 시점을 맞아 기존의 중등학교 정교사 2급(체육) 자격과 문화예술교육사 2급(무용) 자격취득 제도와 방법을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해 중등교원자격 및 문화예술교육사 취득자 6명의 사례를 통해 주요 현안과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학교의 정교사로서 무용교원자격의 제도, 취득경로, 방법, 교과 제도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 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7-9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성 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57명, 중학교 교사 55명, 고등학교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학교급에 따른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성별, 지역별, 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 점수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보다 높았다. 또한 창의성을 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교 교사에 비해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 . 중등학교 과학 실험수업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 양일호;김석민;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5-241
    • /
    • 2007
  • 이 연구는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을 사용하여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실험수업의 유형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실험수업 유형 분류틀의 타당도는 4.23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100차시, 중등학교에서 30차시의 실험수업이 분석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실험수업들의 유형을 분석결과, 분석자간 일치도는 0.91이었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발견실험수업과 확인실험수업이 주요 수업 유형임이, 중등학교에서는 확인실험수업과 발견실험수업이 주요 수업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 대부분 실험절차가 교사나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에게 주어지고 있었다. 실험의 접근방식은 초등에서는 귀납적인 형태가 많았고, 중등에서는 연역적인 형태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