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독 경향성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대한 소외감의 영향에서 스트레스를 통한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lien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 이성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심리적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 지각의 매개 역할과 마음챙김의 조절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Hayes의 PROCESS Macro 4.0의 모델 7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충청남도의 대학생 217명이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할 때, 소외감은 스트레스 반응을 매개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준다. 이때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추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외감이 스트레스 반응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과정을 밝혔다는 점과, 마음챙김이 스트레스 반응 완화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낮출 수 있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이다. 향후 스마트폰 중독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모형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성인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 자기대상화 및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elfie Addiction Pronenes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Self-objectification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 김재희;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207-220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들의 내현적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 및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성인여성 286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3.78세(SD=4.34)였다. 분석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대상화, 자기제시동기는 각각 셀카 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대상화, 자기제시동기는 셀카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예언변인이었으며, 이 세 가지 변인들은 셀카 중독경향성의 변량을 25.7% 설명하였다. 특히 셀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명력은 자기제시동기가 가장 높았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자기대상화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제시동기 또한 내현적 자기애와 셀카 중독경향성 사이에서 부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는 셀카 중독경향성의 개념을 정의 내리고 이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심리적 변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초등학생(初等學生)의 인터넷 게임중독(中毒)과 자아통제(自我統制), 충동성(衝動性)과의 관계(關係)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elf Control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우정례;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황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51-754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인터넷 사용 문화를 장려하고, 과도한 인터넷 사용 방지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11월 9일에서 11월 30일까지 익산시내 3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5, 6학년 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상자의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정상' 483명(54.3%), '중독초기' 363명(40.8%), '중독중증' 43명(4.8%)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이용장소(p<0.05),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점수가 낮으며, 자아통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충동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충동성 점수가 낮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음을 의미한다(p<0.01). 자아통제와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으며, 자아통제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서로 반대 개념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성별(p<0.01), 학교성적(p<0.01),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 자아통제(p<0.01), 충동성(p<0.01)이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주요활동이 비학습관련인 경우, 평일 이용시간이 1시간이상 이용할수록, 주말 이용시간이 2시간이상 많이 이용할수록,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낮게, 충동성 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높게, 충동성 정도는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상반된 개념으로 자아통제 정도가 높을수록 충동성은 낮아지고 자아통제 정도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 차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9-150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SNS 중독 경향성이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대학 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전라남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6일부터 5월 20일까지 자기 기입식 설문지로 설문 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3.0 program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OVA,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SNS 중독 경향성 평균점수는 2.16±0.54점 (범위:1-5점) 이었다. 대학 생활 적응 평균점수는 3.13±0.39점 (범위:1-5점) 이었다. 대학 생활 적응에 SNS 중독 경향성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대학 생활 적응의 하위영역 중 '대학에 대한 애착'에 SNS 중독 경향성이 부적 영향을 미쳤다. SNS 중독 경향성은 대학 생활 적응에 27%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SNS 중독 경향성이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SNS 중독 경향성을 치료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하며,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SNS 중독 경향성 기준점을 파악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조소연;정주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5-140
    • /
    • 2017
  •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 김윤성;이지민;박은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89-196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486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경향성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온라인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SNS 중독경향성, 거부민감성,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지지는 남자집단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거부민감성으로 인한 SNS 중독경향성이 남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한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녀 집단에서 SNS 중독경향성을 확인하는데 거부민감성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 Esteem and Adult Attachment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 권예진;김다빈;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7-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자아존중감 및 성인애착 중 불안정 애착(애착불안, 애착 회피)이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30명을 오프라인과 온라인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그 중 유효한 271명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7.4%가 SNS를 사용하고 있었고, 주로 사용하는 SNS는 '페이스북(82.3%)'이었다. 일별 SNS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2시간 미만(24.7%)'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여성이 남성보다 SNS중독경향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애착의 불안정 애착 중에 애착불안와 애착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SNS 중독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불안정 애착 중 애착불안만이 중독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대학생의 신분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 위험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권명진;김지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5-4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 정구철;문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46-15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mily Strength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 강우정;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19-33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8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살펴보면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별, 가족과의 연락 빈도,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 가족건강성 중 질적 유대감, 자아탄력성 중 통제성이 유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