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도식토기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화성 발안리 유적출토 원삼국 및 백제 토기의 정량분석과 고고과학적 해석 (Archaeometric Interpre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ottery from Proto-Three Kingdom to Baekje Kingdom Period of the Balanri Site in Hwaseong, Korea)

  • 한이현;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1-125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화성 발안리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과 백제 토기의 용도와 제작기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각 주거지에서 수습한 토기시료는 중도식 무문토기와 타날문 토기 및 백제토기로서 정련상태와 비짐물질의 첨가 등 광물학적 특성에 따라 형태가 구분되며 사용용도가 달라진다. 중도식 무문토기와 장란형토기는 대부분 황갈색을 띠며 취사용기로 사용되었고, 타날문 토기는 회청색을 띠며 저장용기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도식 무문토기와 백제토기는 $900{\sim}940^{\circ}C$의 소성을 거쳤고 타날문 토기는 $900{\sim}1,100^{\circ}C$ 정도의 소성을 거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기의 소성조건은 용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모든 토기들은 유사한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을 갖는 것으로 보아 모두 같은 기원의 태토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기의 형식분류론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 영동지역 출토「중도식」토기편년과 관련하여 - (New Perspectives in Pottery Typology of Korean Archaeology - Related to the Typology of Chungdo-Type Pottery from the Youngdong Region -)

  • 이준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87-104
    • /
    • 2003
  • The Chungdo-type Pottery Culture, distributed through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chronologically located in the very former stage of the advent of ancient states. It has two different traditions of pottery manufacturing technique which are totally different in choosing raw materials, shaping, fixing and firing. It seems that two different traditions had been selectively applied by pottery type. In order to understand this peculiar cultural aspect, the pottery typology needs to be different from those applied to cultures where pottery was made and used under the single manufacturing tradition.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new pottery typology which best fits for the understanding the chronology of the Chungdo-Type Pottery Culture. For this purpose, I examined existing typologies, recognized their problems, and then build a new typology.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former typologies misinterpreted the relative frequencies of each pottery type as different function or region. In this article, I propose the new pottery typology as building a primary classification within each function and region, and then synthesizing all of primary classifications. This new typology eliminates the factors of function and region in understanding the chronology of the Chungdo-Type Pottery Culture, and assorts the regional distinction by comparing pottery types in each region.

한성백제기(漢城百濟期) 완(盌)의 제작기법(製作技法)과 그 변천(變遷) - 서울경기권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Producing Technique and the Transition of Wan(Bowl) of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 in Seoul·Gyeonggi Area -)

  • 한지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86-111
    • /
    • 2011
  • 완(?)은 밥이나 국 반찬 등을 담는 배식기로, 음식문화에 있어서 개인식기의 발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종이다. 대개 $0.3{\sim}0.4{\ell}$가 다수를 이루며 연질(軟質)소성의 정선된 태토를 사용한 완의 제작은 크게 회전판 위에 원형의 점토판을 놓고 그 위로 점토띠를 쌓아올려 성형을 마무리하는 기본 방식(I)과 기본 성형은 동일하나 최후 단계에서 회전판에서 완을 떼어내어 도치시켜 저부를 정면하여 평저의 각을 없애는 새로운 방식(II) 두 가지가 확인된다. 전자는 동체-저부 경계면의 각이 살아있는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다수의 점토띠로 제작해 심도가 깊게 제작한 경우(Ia)와 2조의 점토띠로 제작하고 구순이 뾰족하게 제작한 것(Ib)의 두 가지로 다시 나뉜다. 후자는 동체-저부경계면의 각을 없앤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바닥에 점토를 덧대어 나선형으로 마무리하는 것(IIa)과 바닥에서 동체부까지 한 번에 깎기나, 물손질로 마감하는 것(IIb)의 두 가지로 나뉜다. Ib식과 II식은 중국자기 완(천발형)의 형태적 영향하에 제작된다. 연판문 청자완의 도입 이후에는 굽이 있거나 없더라도 내면이 둥글고 오목한 잔(盞)형태의 완이 새롭게 제작 사용되어진다. 이렇듯 백제완은 중국제 청자완의 모방형태가 다수 확인되고 있는데 백제인들의 중국제 물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컸음을 보여준다. 중국 출토 기년명 자료와의 비교, 공반유물의 나열 등을 통해 볼 때 각 제작기법은 I식에서 II식으로 다시 연판문 청자완의 영향하에 오목한 잔(盞)형태로의 변천 양상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