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ducing Technique and the Transition of Wan(Bowl) of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 in Seoul·Gyeonggi Area -

한성백제기(漢城百濟期) 완(盌)의 제작기법(製作技法)과 그 변천(變遷) - 서울경기권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 Han, Ji S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2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Wan is a tableware in which boiled rice or soup, side dish are put, and it is a representative model which shows the development of personal tableware. From the establishing period of Hanseong Baekje, the form of wan which is Jung-do Style(中島式) Plain Pottery of previous period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succeeded to, but wan is produced and used as a wan baked in the kiln, which is far development of the producing technique including hardness and clay. By and large, the size of $0.3{\sim}0.4{\ell}$ was the majority and the production technique of wan which used carefully selected soft quality clay are largely confirmed to be two methods which are, first, basic method by which on a clay tablet on the rotating table, clay band is accumulated and moulding is finished, and second, the new method which had the same basic moulding as that of basic method but in the last stage takes wan off the rotating table and reverse it to trim the bottom and remove the angle of flat bottom. The former, basic production method is the classical production method since wan of Jung-do Style Plain Pottery and wan was produced and used for all periods of Hanseong Baekj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is the production method obtained through form imitation of China made porcelain flowed into through interchange between Baekje and China, and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chronogram material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and used after middle of 4th century. Therefore it can be known that the Baekje people's demand for China made articles was big and imitation pottery was produced and used with Baekje pottery. In addition, bowl with outward mouth are confirmed in multiple number in Lakrang(樂浪) pottery wan and it is assumed that wan was the form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완(?)은 밥이나 국 반찬 등을 담는 배식기로, 음식문화에 있어서 개인식기의 발달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종이다. 대개 $0.3{\sim}0.4{\ell}$가 다수를 이루며 연질(軟質)소성의 정선된 태토를 사용한 완의 제작은 크게 회전판 위에 원형의 점토판을 놓고 그 위로 점토띠를 쌓아올려 성형을 마무리하는 기본 방식(I)과 기본 성형은 동일하나 최후 단계에서 회전판에서 완을 떼어내어 도치시켜 저부를 정면하여 평저의 각을 없애는 새로운 방식(II) 두 가지가 확인된다. 전자는 동체-저부 경계면의 각이 살아있는 특징을 공유하면서도 다수의 점토띠로 제작해 심도가 깊게 제작한 경우(Ia)와 2조의 점토띠로 제작하고 구순이 뾰족하게 제작한 것(Ib)의 두 가지로 다시 나뉜다. 후자는 동체-저부경계면의 각을 없앤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바닥에 점토를 덧대어 나선형으로 마무리하는 것(IIa)과 바닥에서 동체부까지 한 번에 깎기나, 물손질로 마감하는 것(IIb)의 두 가지로 나뉜다. Ib식과 II식은 중국자기 완(천발형)의 형태적 영향하에 제작된다. 연판문 청자완의 도입 이후에는 굽이 있거나 없더라도 내면이 둥글고 오목한 잔(盞)형태의 완이 새롭게 제작 사용되어진다. 이렇듯 백제완은 중국제 청자완의 모방형태가 다수 확인되고 있는데 백제인들의 중국제 물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컸음을 보여준다. 중국 출토 기년명 자료와의 비교, 공반유물의 나열 등을 통해 볼 때 각 제작기법은 I식에서 II식으로 다시 연판문 청자완의 영향하에 오목한 잔(盞)형태로의 변천 양상이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