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년기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지역 중년기 여성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기호도 및 영양소 섭취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구 및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Urban Middle-Aged Women)

  • 장현숙;권정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7-233
    • /
    • 1995
  • This nutritio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8 to March 10, 1994,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nutritional attitude,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urban middle-aged women living in Daegu and Pohang district.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164 urban middle-aged women living in Daegu and Pohang Area. The completely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nutritional attitude, food preference and nutrient intakes of urban middle-aged wome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had a high level of perceived knowledge (82.9%), that is the knowledge that each subject believed she had, but the accuracy of the knowledge was only 66.1%. The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was 8.26 out of possible 15 points, and food habit score was 5.50 out of 10 points. Most of the subjects belonged to 'Fair' or 'Good' food habit group,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good. With increasing age, the percentage of perceived knowledge, accuracy,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 were getting lower. But food habit score and nutritional attitude score were getting higher at 40's women than 30's women.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food habit score was low (r=0.0748). Th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attitude score and food habit score was low, too (r=-0.0653). Food preferences for kimchi, potato, cooked rice, beef, noodle, cabbage and milk were high. Average calorie and protein intake of the subjects were $1967.4{\pm}27.8\;Kcal$, $75.8{\pm}1.4\;g$ respectivel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ratio on energy composition was 63.3%:15.5%:21.2%.

  • PDF

중년기의 비타민ㆍ무기질 보충제 사용량과 건강관련 생활습관 조사 (Supplement Dose and Health-Related Life Styl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r among Korean Middle-Aged)

  • 김윤정;문주애;민혜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3-314
    • /
    • 2004
  • We studied daily micronutrient intake from vitamin-mineral supplements, health-related life style, clinical case of diseases and food frequency of the Korean middle-aged (40-59 yr, n = 404)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non-user (n = 270) and user (n = 134)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Rate of supplement use of the middle-aged was 33.2%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 level (p = 0.0084) and family income (p = 0.0476) of user and nonuser. Smoking habit (p = 0.0844) and drinking frequency (p = 0.0606) tended to be lower in a supplement user than a non-user. The medical history of a c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sers (67.9%) than in non-users (44.4%) (p = 0.001), which suggests that medical history is one of the important motivations of supplement use. Supplement users had the medical history of digestive disease (34.1%), anemia (11.0%) and hypertension (9.9%) in order. Vitamin C was the most frequently supplemented nutrient (81.3%) among vitamin-mineral supplement, and the next orders were vitamins E (73.1%), B$_2$(68.7%) and B$_{6}$ (60.4%). Mean intakes of vitamin B$_1$, iron, selenium, vitamin E, and vitamin C from supplement was 4,260%, 4,030%, 1,660% and 1,330% of RDA, respectively. The supplement users tended to consume most food items including milk & milk products (p < 0.01), rice (p < 0.01), grains (p < 0.05) and cookies (p < 0.01) less frequently than non-users. Conclusively, nutrient intake of vitamin B$_1$, iron, selenium, vitamin E, and vitamin C from supplement was excessively high compared to RDA. We suggest that the toxic effect of excessive supplementation should he informed to supplement user and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optimal supplement dose.e.

중년기의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 실태 조사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3호
    • /
    • pp.236-252
    • /
    • 1994
  • This surve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age in the middle-aged. Eight hundred seventy two persons of middle age were chosen from various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in Korea. In this study, those factors affecting vitamin/mineral supplements consumption, and usage patterns were examined. In addition, vitamin and mineral intakes through supplements were calculated, and then compared with RDA. As a result, vitamin/mineral supplements were taken by 40.8% of subjects. The higher the age,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and socioeconomic status were,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supplements consumption was. City-dewellers used them more often than rural-dewellers. And vitamin/mineral supplements were taken frequently in subjects who perceived their health as poor, and concerned much about health. Illness and climacteric symptoms were also related with elevated usage. However,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habit did not affect supplements consumption. Users mostly received information about supplements from TV/radio/newspapers, of family/friends. One of the mainly cited reasons for taking supplements, next to ' to give energy', was 'to be healthier'. The four most favored supplements, in ranking order, were vitamin B-complex, vitamin E, vitamin A and Ca. Most vitamin and mineral intakes through supplements were much greater than RDA except Ca. Especially, vitamin B1 intake was the highest as 49.6$\pm$34.9 times of RDA. In conclusion,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ed by the middle-aged in Korea was as high as those of western countries. Supplements consumption seemed to be related with affluence, poor health status, and high level of health consiousness. And supplements tended to be taken for health promotion irrespective of scientific background. Most vitamin and mineral intakes by supplements were exceeded RDA, and their intake ranges were very wide. Thus some subjects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potential harms of megadose.

  • PDF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nd Old Adult One-Person Households)

  • 권종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53-167
    • /
    • 2019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중노년 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7차 1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40세 이상의 1인 가구 497명이며, 40-64, 65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중년1인가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은 활동제한여부, 우울, 신체활동실천여부, 평생 흡연량으로 57%의 설명력을 보였다. 남성노년 1인가구는 주관적 건강, 대사증후군, 활동제한여부, 스트레스 인지율로 44.8%, 여성노년 1인가구는 주관적 건강, 활동제한여부, 가구 소득으로 35.9%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따라서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중노년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입안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인지된 내적 외적 보상이 간호사의 직무 열정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on Nurses' Job Enthusiasm)

  • 김재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423-1432
    • /
    • 2021
  • 본 연구는 제5차 근로환경조사(2017) 자료를 사용하여 간호사의 보상과 직무 열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확률표집에 의해 표집된 전국의 간호사 359명이다(청년 간호사 집단 218명, 중년 간호사 집단 141명). 내외적 보상의 직무 열정에 대한 영향은 일반선형모형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전체 간호사집단에서는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합당한 업무인정, 일-삶의 균형의 외적 보상 등이 직무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반면 청년 간호사 집단에서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일-삶의 균형 등이, 중년 간호사 집단에서는 성취감, 자존감, 합당한 업무인정 등이 직무 열정에 영향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사들의 직무 열정을 높여주기 위해 의사결정 참여, 성취감, 자존감, 경력발전 전망, 합당한 업무인정, 일-삶의 균형 등을 포함하는 보상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상체계 구축 시 연령 집단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 -인지치료적 접근- (Solution Method of Hypochondriasis through Focused Distraction)

  • 전요섭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29-239
    • /
    • 2023
  • 이 연구는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문헌연구이다. 건강염려증은 우리말로 건강기우증, 건강불안, 질병공포, 질병불안장애, 건강염려성 신경증, 건강염려성 성격장애, 신체 증상장애 등의 용어로 불리워지나 이 연구에서는 건강염려증으로 명명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염려, 두려움, 불안 더 나아가 공포를 야기하여 가정, 직장 및 사회에서 삶의 질을 저하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건강염려증은 주로 중년기 성인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로서 자기자신에게 집중, 몰두하다가 이에 노출된다. 이 증상은 건강에 대한 지나친 염려로 인해 빈번한 건강검진 등 병원을 전전하면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소비되고,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상담심리, 심리상담 분야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심리적 평안을 회복하도록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강염려증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지 전략 가운데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하여 그 증상 해소를 모색해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집중산만 전략은 일종의 인지적 '회피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지나치게 집중하는 인식, 주의를 회피,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거나 '산만'하게 하는 것으로 건강염려를 약화시키는 것이다.

Effects of Walking Activity Monitoring and Feedback Using Wearable Device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iddle-aged Women

  • Chan-Yang Kim;Woo-Youn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5호
    • /
    • pp.101-11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걷기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중년 여성의 체성분 및 대사증후군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개월간 모바일 연동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였으며, 지원하는 모바일 앱을 통해 자동 전송된 보행 수 및 활동량 정보를 모니터링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체중, 골격근량, 그리고 체지방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대사증후군 지표 변화는 수축기 혈압(p<.05), 공복 혈당(p<.01), 복부둘레(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TC(p<.001)와 LDL-C(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쉽고 편리하게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좌업적인 생활습관을 가진자들의 신체활동량 증가와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볼 수 있다.

중년기 비만여성에 있어서 건강지표를 위한 비만연령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Obesity Age (OA) for Health Index of Middle Aged Obese Women)

  • 이동준;박태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03-140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비만의 발생요인으로 예상되는 요인을 이용하여 비만의 상태를 연령 척도화하여 비만연령(Obesity Age: OA)이라는 연령 추정식을 산출함과 동시에 비만도(비만연령)를 실제의 역연령과 검토하였고 비만연령의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OAS (Obesity Age Score)=$0.106*X_1+0.035*X_2+0.048*X_3+0.041*X_4+0.003*X_5-0.037*X_6-10.66$ (1) ($X_1$: BMI, $X_2$: 체중, $X_3$: 체지방률, $X_4$: 배둘레, $X_5$: 중성지방, $X_6$: $VO_{2max}$) OA (Obesity Age)=7.3*OAS+49.6*(-1) (2) Z=(CA-49.6)(1-0.03) (3) OAc (Obesity Age corrected)=1.03*CA-7.3*OAS+1.47 (4) 그리고 역연령과 추정된 비만연령(Obesity Age corrected: OAc)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며, 총 6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된 비만연령을 통해 비만자 개개인의 비만건강도(상태)를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에는 다른 집단에서의 적용가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타당성을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Aging Anxiety: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정순둘;정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65-38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통합 설문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을 통해 본 모녀관계 경험연구 (Study on the Experience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rough the Process of Admission to Nursing Care Facilities)

  • 서승희;김민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61-172
    • /
    • 2018
  • 본 연구는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을 통해 중년기 여성의 모녀관계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치매어머니가 요양보호시설에 입소한 중년 여성 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Colazz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6개의 하위범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치매어머니가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에서 모녀관계가 극적으로 역전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과정에서 아들보다 딸이 치매어머니의 돌봄과 관리에 주체적인 입장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치매어머니의 요양보호시설 입소 과정에서 급격한 모녀관계 변화, 나아가 가족관계의 전환으로 우울증과 불안, 상실감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수용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요양보호시설 입소가족을 위한 교육 또는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