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금속 분석

검색결과 1,277건 처리시간 0.029초

제주도 고산에서의 $PM_{2.5}$ 중 중금속성분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mponents in $PM_{2.5}$ at Gosan in Jeju-do ; March in 2002)

  • 문광주;한진석;공부주;홍유덕;김정은;김영준;최덕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5-146
    • /
    • 2002
  • 대기중의 유해 에어로솔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과학적인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2002년 3월 29일부터 4월 11일까지 제주도 서쪽 끝에 위치한 고산사이트에서 Filter Pack을 사용한 PM$_{2.5}$ 에어로솔의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제주도 고산지역 대기 중 PM$_{2.5}$ 중 중금속 성분을 측정하여, 오염물질의 배출원 추정 및 장거리 이동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중략)(중략)

  • PDF

구봉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nd cyanide in tailings, soils, and stream sediments around Gubong disused mine)

  •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47
    • /
    • 1999
  • 구봉광산의 광미와 주변 밭과 논의 토양 및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분포 및 오염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광미 중의 As, Cd, Cu, Hg, Pb, Zn및 CN ̄의 평균농도는 각각 6.93$\times$$10^{3}$, 56.9, 209, 5.03, 3.25$\times$$10^{3}$, 1.89$\times$$10^{3}$, 21mg/kg이었고 Kloke가 제안한 허용기준치를 이용하여 계산한 오염지수는 42~95이었으며 pH는 약알칼리성이었다. 광산과 인접한 밭 토양 중의 중금속과 시안 함량은 논 토양보다 높았다. 하상퇴적물 중의 중금속과 시안 함량은 광미 중의 분석치정도로 많이 검출되었다.

  • PDF

중금속분석용 폐수표준물질 제조 및 실험실간 비교평가 (Preparation of wastewater-based reference materials for heavy metal analysis and interlaboratory study)

  • 김영희;송기봉;신선경;이정섭;정기택;홍은진;박진주;유석민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295-303
    • /
    • 2010
  • 폐수 시료를 이용한 중금속분석용 수질표준물질을 제조하여, 납, 카드뮴, 크롬, 구리, 아연, 망간, 철 등 중금속 7 종에 대해 인증분석 및 불확도 등을 평가하고, 24 개 환경측정분석기관을 대상으로 실험실간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폐수표준물질의 인증값 및 확장불확도는 KS A ISO 가이드 35(2005)에 의해 도출하였으며, 균질성에 기인한 표준불확도는 특성값의 0.43~2.67%로 나타났다. 환경측정분석기관간 비교실험에서 모든 항목의 비교실험 결과값이 정규분포를 따랐으며, 로버스트 평균값과 폐수표준물질의 인증값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로버스트 평균값이 인증값보다 낮게 나타났다.

플라이애쉬와 굴패각을 이용한 중금속 이온의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on Fly Ash. and Oyster Shell)

  • Kwon, Yong-Sam;Lee, Ki-Ho;Park, Jun-Boum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29-6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산업부산물인 굴패각과 플라이애쉬를 활용한 흡착제를 개발하여 중금속 이온의 제거 기작을 평가하였다. 1차적으로 연구된 중금속 이온은 카드뮴, 납, 구리이며,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흡착특성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현장 적용성을 모사하기 위해 점성토와 화강풍화토에 대한 흡착실험도 함께 수행하여 각각의 흡착특성을 비교ㆍ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등온흡착식으로 분석하여본 결과 굴패각의 경우 카드뮴, 납, 구리이온의 용액 내 제거율이 해성점토나 화강풍화토를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우수하므로 흡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키토산 분자량 변화에 따른 수중의 $Pb^{2+}$ 제거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이승원;김동석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97-302
    • /
    • 2003
  • 고압증기멸균을 통해서 변형된 키토산을 FT-IR로 분석해 봤을 때, 기존의 키토산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수가 있었고 분자량을 변화 시킨 키토산을 기존의 키토산과 납 흡착실험을 통해서 제거능 비교해 볼 때 15 min > 30 min > 10 min > 5min > 60 min > 0 min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시간별로 autoclaving처리하여 분자량을 변화시킨 키토산의 제거율이 높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15 min 동안 autoclaving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 것으로 알 수가 있었다. 중금속 제거 전후의 키토산을 SAM과 TEM을 통해서 관찰해 보았다. SAM의 경우 autoclaving처리하지 않은 키토산의 표면보다는 autoclaving처리한 키토산의 표면에 보다 많은 기공이 생겨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로 인해서 납 중금속이 보다 많이 흡착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TEM의 결과로 봤을 때 높은 고압과 온도에 의해서 키토산 고유의 물결무늬가 사라졌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납 중금속이 내부에는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외부에 흡착이 이루어 진 것을 볼 수가 있었다.

  • PDF

중금속 스트레스에 대한 수생식물 5종의 엽록소형광 반응

  • 오순자;진국림;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59-161
    • /
    • 2008
  • 중금속에 대한 식물의 내성여부와 중금속 스트레스하에서 식물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좀개구리밥, 생이가래, 은행이끼, 수련, 부들 등 5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카드뮴(Cd$^{2+}$)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시간별로 식물의 광합성효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좀개구리밥는 카드뮴에 가장 민감하게, 생이가래와 은행이끼 등은 조금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수련 등은 다른 식물종에 비해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좀개구리밥은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수록 정상적인 O-J-I-P 곡선에서 J, I, P의 값이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반응 중심이 손상을 입거나 어떤 원인에 의해서 불활성됨으로써 광합성 효율 즉 Fv/Fm의 감소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 PDF

진곡광산 광미와 주변 토양의 오염조사 (Analysis of mine tailings, field soils, and paddy soils around Jingok abandoned mine)

  •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5-183
    • /
    • 1999
  • 진곡광산의 광미와 주변 밭과 논의 토양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오염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광미 중의 As, Cd, Cu, Hg, Pb, Zn및 CN ̄의 평균농도는 각각 3.94$\times$$10^3$, 14.3, 266, 6,13, 4.07$\times$$10^3$, 2.51$\times$$10^3$, 1.19mg/kg이었고 Kloke가 제안한 허용기준치를 이용한 오염지수는 32~58 이었으며 pH 는 약산성이었다. 토양오염공정시험법에 의한 중금속 농도는 광미와 인접한 일부 토양만을 제외하고는 토양환경보전법의 농경지 우려기준이하였다.

  • PDF

온산공단(溫山工團) 주변 농작물(農作物)의 중금속(重金屬) 농도조사 (A Survey o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Crop Materials Grown near Onsan Industrial Complex)

  • 이서래;송기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47
    • /
    • 1986
  • 온산(溫山)공업단지 조성(造成)에 따른 농작물(農作物)의 오염(汚染)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78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 주변 농경지에서 재배된 농작물(農作物)(수도, 보리, 대두, 채소, 과일)중의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금속 함량은 농작물의 종류, 부위, 재배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일정한 경향은 찾아 볼 수 없었다. 분석한 농작물 시료의 평균치(平均値)를 보면(풍건물(風乾物)기준) As 0.23 ppm, Cd 0.46 ppm, Cu 4.88 ppm, Hg 0.09 ppm, Pb 3.86 ppm, Zn 41.3 ppm으로서 이 지역에 대한 자연함유량(自然含有量) 기준(基準)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비소 및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 분야에서의 X선 흡수분광법(XAS) 활용 (Application of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 in the Field of Stabilization of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 임정은;문덕현;김권래;옥용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1호
    • /
    • pp.65-74
    • /
    • 2015
  • X선 흡수분광법(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을 이용하는 X선 흡수미세구조(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XAFS)의 분석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XAFS 분석을 위한 토양 시료의 준비에서부터 XAFS 측정 후 X선 흡수 끝머리 부근 미세구조(X-ray absorption near edge structure, XANES) 및 광범위 X선 흡수 미세구조(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EXAFS) 데이터를 추출하여 연구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특히 토양환경 분야에서 XANES 및 EXAFS 분석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에 대해 비소(As) 및 중금속 주요 원소(Cd, Cu, Ni, Pb, Zn)별로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토양환경 분야에서 XAFS의 응용은 납(Pb)의 화학종 규명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연구들은 오염토양 내 중금속 화학종의 규명을 통해 중금속의 유입 원인 등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개량제 처리, 식물정화)을 적용한 후, 안정화된 중금속 화학종을 XANES 및 EXAFS 분석을 통해 규명하여 정화 방법들의 효율성과 안정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경남 일광 폐광 부근 토양에 함유된 중금속의 깊이별 분포와 거동 (Depth profiles and the behavior of heavy metal atoms contained in the soil around a Il-Kwang disused mine in Kyung Nam)

  • 정종학;송현정;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0권2호
    • /
    • pp.105-113
    • /
    • 1997
  • 본 실험은 경남 일광 지역의 한 폐광의 토양에 함유된 중금속의 함량을 연구한 것이다. 세 지점을 선택하여, 각 지점마다 30cm씩 210 또는 240cm까지 굴착하였다. 각 시료는 풍건한 후 왕수분 해법으로 추출한 다음, 유도결합쌍 플라즈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으로 정량분석하였다. Zn, Pb, Cr, Cd, Cu, Mn 및 Fe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Pb, Cd 및 Zn의 함유량의 최대값은 $(4.6{\pm}0.1){\times}10^3$, 9.4(${\pm}3.6$) 및 $(2.7{\pm}0.1){\times}10^2{\mu}g/g$으로 각각 나타났다. 1번 지역의 평균 pH값은 3.2, 2번 지역은 2.6, 그리고 3번 지역은 2.8로 나타났다. 그 값들은 4.9로 나타난 표준 시료 토양의 pH값에 비해 현저히 낮다. 각 시료 채취 지점에서, 중금속의 최대값은 30cm부터 60cm 깊이 사이에서 관찰되었다. Zn, Cd, Pb 및 Cu의 깊이에 따른 중금속 함량들은 분포된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Fe, Cu 및 Mn은 앞의 중금속들과는 분포된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