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금속분포

Search Result 43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사격장 주변 해양퇴적물내의 중금속 분포와 해양 생물체의 생흡수도에 관한 예비 고찰

  • 정현석;윤성택;최병영;정명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62-262
    • /
    • 2002
  • 2001년 12월과 2002년 1월에 걸쳐 조간대 환경에 위치하는 어느 해양사격장 중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표층(<5 cm) 해양퇴적물(총22개소)과 해양생물체(굴; 총10개소)를 샘플링하고, Pb, Cu, Cd, Zn를 위시한 중금속원소의 공간적 농도 분포와 생흡수도(bioavailability)를 분석 고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 연구 결과를 간단히 소개한다. 해양퇴적물에 대한 전함량 분석, 0.1N HCl에 의한 부분 분석 및 BCR법에 의한 연속추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 Cu, Cd, Zn을 위시한 중금속은 대체적으로 점오염원인 사격장으로 갈수록 전함량 및 부분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사격장 주변에서 가장 중요한 오염물질로 알려져 있는 Pb는 오염원 주변에서만 높은 함량을 보여주어, 해양 환경 하에서 이동도( 및 생흡수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u, Cd, Zn의 경우에는 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퇴적물 내의 부화(enrichment)가 인지되어 연구지역의 갯벌 환경에 의미있는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생물체(굴) 역시 Pb에 대해서는 낮은 흡수도(-값의 생농축계수)를 나타낸 반면, Cu, Cd, Zn에 대해서는 의미있는 생흡수도를 나타내었다. BCR 연속추출법에 의한 퇴적물 중금속의 존재형태 해석 결과를 보면, fraction 1(F1; exchangeable+acidic phase) 및 fraction 2(F2; reducible phase)의 기여도가 지배적이고, 또한 오염원으로 갈수록 그 기여도는 점차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특이하게도 유기물과의 친화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Cu 역시 F1과 F2에 대하여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오염원으로부터의 Cu의 확산을 지시하였다. 외국에 비하여, 그동안 국내에서는 사격장 주변의 자연환경변화에 관하여 연구된 결과가 거의 전무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와 유사한 사격장 주변 환경에서의 중금속 분포와 거동 특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모니터링(즉, 체계적인 환경지구화학적 조사ㆍ연구)이 시급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Leaching of Heavy Metal and Formation of Acid Mine Drainage from Coal Mine Tailings (석탄폐석(石炭廢石)으로부터 산성광산배수(酸性鑛山排水)의 생성과 중금속(重金屬)의 용출(溶出) 특성(特性))

  • Lee, Gye-Seung;Song, Young-Jun
    • Resources Recycling
    • /
    • v.19 no.2
    • /
    • pp.54-62
    • /
    • 2010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recycling of coal mine tailings, the characteristics of coal mine tailings, the formation of AMD from the tailings and the leaching of heavy metal from the tailings were studied. The samples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nd content of heavy metal of the tailing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ime, temperature, content of pyrite, sulfide minerals on the formation of AMD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leaching tests, the KS method, TCLP method and column test were used. From the investigated data, we can see that the coal mine tailings can be used as aggregate for filling used gallery. We can also see that the formation of AMD from coal mine tailings can be prevented by mixing 4% or more limestone with it.

Characteristics of Metal Distribution in the Sediment in Kyeonggi Bay, Korea (경기만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

  • Lee, Jong-Hyeon;Yi, Jung-Suk;Kim, Bum-Su;Lee, Chang-Bok;Koh, Chul-Hwa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3 no.3
    • /
    • pp.103-111
    • /
    • 1998
  • This paper reports the sediment geochemistry and its relation to the grain size distribution in Kyeonggi Bay, Korea.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0 stations during the cruise crossing the bay in December 1995. Variables investigated were the sediment grain size, organic carbon content, and concentrations of AI, Fe, Mn, V, Co, Ni, Cr, Zn and Cu in the sediment. We followed the change in these variables by comparing the data obtained from this region in 1981. Distribution pattern of sediment grain size was modified from that in 1981 in some places. Near the Shihwa Dike which was completed in 1994, sediment had got finer grained. Sediment facies changed from fine to mixed facies near Youngjong Island where the tidal flat has been reclaimed for airport construction.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metals in the sediment were mostly dependent upon the sediment grain size, but an exception was found in the harbor area. The sediment in the Incheon North Harbor showed higher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and metals such as Ni, Cr, Zn and Cu.

  • PDF

Remediation of Polluted Soil by Plant (유용식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기술 개발)

  • 이상환;이문용;현승훈;윤영만;김정규;임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16-119
    • /
    • 1997
  • 광산지 및 쓰레기매립지의 오염토양을 정화하는데 식물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원도,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는 17곳의 폐광산과 강원도에 분포하는 농촌형 일반 쓰레기매립지 6곳을 대상으로 광산지와 매립지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고, 서식 식물종의 오염 물질 제거 능력과 개척종으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광산지 토양의 경우 산성화가 진행된 곳이 많았고, 중금속함유량도 전국 토양의 평균함유량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나, 매립지의 경우 약알카리성 토양이 많았고, 광산지와 달리 중금속 오염의 우려는 없었다. 오염토양에 서식하는 쑥을 포함한 14종의 식물체중에서 오염토양정화기술에 이용 가능한 유용식물로 Aremisia princeps(쑥), Micanthus sinensis(억새), Oenanthera odorata(달맞이 꽃)등이 중금속의 흡수력과 지상부로의 이행력이 큰 식물종으로 나타나 phytoremediation에 있어서 개척종으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거머리말속 (Zostera Linne, 잘피) 식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 Lee, Sang-Yong;Heo, Seung;Choi, Ch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75-276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해산현화식물인 거머리말속 (Zostera, 잘피)의 거머리말 (Zostsra marina), 애기거머리말 (Z. japonica), 수거머리말(Z. caulescens)과 포기거머리말 (Z. caespitosa)들은 연안의 사질과 사니질에 생육하며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식물의 군집들은 조간대와 조하대에 침수 또는 노출되어 생육하면서 영양염과 중금속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식물체는 유기쇄설물을 먹이연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중금속을 고등 영양단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ediments of Major Reservoirs in South Korea (우리나라 주요 호소의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도에 따른 특성 분석)

  • Yun Sang Jeong;Dae-Seong Lee;Da-Yeong Lee;Ihn-Sil Kwak;Young Seuk Par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2
    • /
    • pp.175-183
    • /
    • 2022
  • In this study, 46 reservoirs in South Korea were characterized based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metal concentrations,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nd hydromorphological factors in each reservoir. Study reservoir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f reservoirs, by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ie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Group 1 had the most severe sediment heavy metal contamination among the groups, whereas Groups 2 and 3 showed low level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Group 4 displayed high value of Ni, and Group 5 showed high contamination of Pb, Cu, Cr, Ni, and Hg. Groups 1 and 5, which had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showed a high density of mines in the catchment of reservoirs.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high in reservoirs with large capacity or the ones located at higher elevation, and also highly related with number of mines in the catchment of reservoir.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sediment heavy metals in reservoirs.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and cyanide in tailings, soils, and stream sediments around Gubong disused mine (구봉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과 시안의 분포)

  • 김선태;윤양희;박제안;심의섭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4 no.1
    • /
    • pp.35-47
    • /
    • 1999
  • Mine tailings, soils. stream sediments around Gubong disused mine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distribution and pollution levels of heavy metals and cyanide. The average contents of As, Cd, Cu. Hg, Pb, Zn, and CN ̄ in mine tailings were 6.93$\times$$10^{3}$, 56.9, 209, 5.03, 3.25$\times$$10^{3}$, 1.89$\times$$10^{3}$, 21mg/kg respectively. The pollution indices that calculated by the tolerance level of Kloke were 42~95 and the pH values were slightly alkaline in mine tailing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and cyanide in field soils near the mine were higher than the paddy soils.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stream sediment were up to that of the tailings, so contamination from the mine tailings were serious.

  • PDF

Heavy metals and PAHs in sediment of Gwangyang Bay (광양만 내만해역에서 저질 중금속 및 PAHs 농도의 분포특성)

  • Cho, Chon-Rae;Park, Jeong-Chae;You, Young-Seok;Cho, Hyeon-Se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11a
    • /
    • pp.83-86
    • /
    • 2007
  • 광양만권 개발에 따른 광양만의 매립과 준설로 인해 광양만의 급격한 지형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어 해양수산부에서는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양만 중앙의 묘도를 중심으로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2005년 겨울부터 2007년 8월까지 총 8차례에 걸친 조사를 통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환경변화에 따른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광양만의 중금속의 경우 농도의 변동양상으로 볼 때 오염원의 증가에 의한 변동보다는 계절적인 영향에 의한 변동양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광양만에서 검출되는 중금속의 농도수준은 As를 제외한 전 항목이 US EPA 의 ERL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층퇴적물 중 PAHs의 분석결과를 비교해 보면 지점별 농도변동양상이 뚜렷하지 않으며, 지점별 농도변화도 미약하다. PAHs 오염원의 추정의 결과 조사시기별 전 지점에서 분석한 결과, 몇 지점에서는 유류기원에 의한 오염의 경향이 보이는 반면 그 외의 대부분의 조사지점에서는 연소기원에 의한 PAHs 물질의 분포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