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규모 하도

Search Result 1,22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udy on Response of River Geomorphology due to Human-Induced Disturbance (인위적 교란에 의한 하도지형의 응답에 관한 연구)

  • Kim, Ki-Heung;Jung, Hea-Rey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11-1015
    • /
    • 2010
  • 하천의 이용과 관리적 측면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하도의 직선화, 홍수량의 변화, 하상굴착, 하폭의 확대 축소 및 횡단구조물 등은 중규모 스케일의 하천지형을 인위적으로 교란시키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위적 교란은 하천생태계의 기반인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므로 하도지형의 응답방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유역의 지형은 여러 가지 스케일의 지형단위가 조직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대(大) 중(中) 소(小)의 3가지 스케일 지형단위로서 계(系, system)를 계층화하고, 작은 계층의 계(系)에서는 큰 계층의 계(系)를 고정적인 경계조건으로 하여, 그 내부의 여러 가지 특징이나 변화를 규정하는 주요 인자를 이용하여 분석해야 한다. 또한 대(大) 스케일은 유역스케일의 지형스케일이며, 하도의 수계망이나 하도종단형 형상 등이다. 중(中) 스케일은 segment에서 reach 스케일의 지형이며 사행형상, 하천 폭 등이다. 소(小)스케일은 수심의 10배 정도이하의 지형스케일이며, 소규모 하상파 등의 미지형(微地形)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과 황강을 대상하천으로 유량 조절과 유사공급이 차단되는 댐하류 및 골재채취와 같은 인위적 교란요인에 의한 중규모(segment scale) 하도지형의 변화와 응답방향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량 및 유사공급량의 변동의 크기에 따라 전체적인 하상저하와 더불어 사주와 소가 소멸되면서 여울과 소가 사라지는 현상이 동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하상의 평탄화에 의하여 저수로의 폭이 넓어져 복열사주가 발달하면서 수심 및 유속의 다양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Daytime PBL Heating Process and Heating Rate by Meso-Scale Circulation (중규모 순환에 의한 대기경계층 가열과정과 주간 가열율 산정에 관한 연구)

  • 이화운;정우식;김동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2
    • /
    • 2003
  • 복잡한 지형에서 국지적인 순환에 의한 에너지 교환은 기상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종관장이 영향이 약하고 양호한 기상조건 하에서 대기 경계층내에서의 온도와 바람장은 국지적인 순환에 영향을 받는다(Kawamura,1979; Kuwagata et al.,1990; Winston et al.,1992). 즉 이러한 기상 조건 하에서는 중규모 순환에 의해 에너지의 수송효과가 크고 각기 수송된 에너지에 의해서 지역별로 대기 경계층내의 가열율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중략)

  • PDF

국내 육계 사업 실태 및 발전 방향

  • 전승기;장경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07-109
    • /
    • 2001
  •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broiler farmers and analysed in this study to find out ways to respond to the open international chicken trades-chicken marketing plan and market price control. Broiler farm production and management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number of chicken produced per farm was related to systematic and strategic level of farming such as chicken housing, technical problems, and cost of production.

  • PDF

Ground Resistance Measurement of Large Scale Grounding Mesh and Field Test (대규모접지망의 활선상태 접지저항 측정 및 현장실증)

  • Shin, Dong-Hyuk;Ryu, Hyuk;Choi, Yun-Chong;Jung, Jae-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5b
    • /
    • pp.198-202
    • /
    • 2004
  • 변전소와 같은 대규모의 전력설비 뿐만 아니라 통실설비에서도 낙뢰의 침입시와 스위치의 동작시 과전압이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와 설비의 보호라는 측면에서 접지계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부족하다. 그러나 운전중에는 설비의 누설전류와 불평형전류에 의해 형성된 대지전위의 영향으로 운전중인 전력설비를 대상으로 기존의 접지저항측정방식으로 접지저항 측정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접지저항 측정방식과 측정법이 동일하면서도 설비가 운전중인 경우에도 접지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방법과 측정 장치를 소개한다. 본 방법은 운전중인 전력설비에서 이미 형성된 대지전위성분을 분석하고 이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독립적인 주파수를 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실증을 위하여 대규모 접지망인 변전소를 대상으로 하여 건설 후 운전전과 운전후의 접지저항 측정을 시도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실증시험결과 대규모접지망의 경우에도 설비가 운휴중인 경우의 접지저항간과 운용중인 경우의 접지저항값이 일치함을 실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과 장치의 경우 운전중인 대규모 접지망의 접지저항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s of Damage Impact due to VCE in Liquid Hydrogen Charging Station (액화수소 충전스테이션에서 VCE로 인한 피해영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Suji;Chon, Young Woo;Lee, Ik Mo;Hwang, Yo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5
    • /
    • pp.56-63
    • /
    • 2017
  • Hydrogen charging station was invested and supported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VCE in the charging station handling liquefied hydrogen was calculated, and the human and material damage was estimated through the Probit model. In addition The optimal height of vent stack for low temperature hydrogen was set. The damage range is 8.24m in small scale, 14.10m in medium scale, and 22.38m in large scale based on interest overpressure 6.9kPa. In case of death due to pulmonary hemorrhage, 50m of the small and medium scale and 100m of the large scale were injured. Structural damage was 200m in small scale, 300m in medium scale and 500m in large scale. The optimum height of the vent stack is 4.7 m in small scale, 8.8 m in medium scale and 16.9 m in large scale.

A study on prediction of heavy rainfall due to cloud cluster associated with meso-low (중규모 저기압과 연관된 구름무리에 의한 호우의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Yun Kyu;Lee,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1-331
    • /
    • 2017
  • 2011 년부터 2014 년까지 4 년간의 여름철에 한반도에 비교적 많은 강수를 남긴 23 개의 중규모 저기압-구름무리 집중호우 사례를 선정하여, 이들 사례에서의 중규모 저기압 발생과 이동 그리고 그것에 동반된 강수계에 의한 강수 발생을 수치예측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WRF 모델을 이용하여 12 km와 4 km 수평격자 크기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사례에 대해 중규모 저기압이 발생한 시점을 초기 시각으로 하여 수치적분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 결과와 AWS 강수량 관측 자료를 $0.1^{\circ}{\times}0.1^{\circ}$ 격자에 각각 내삽한 후 비교하였다. 12 km 격자 실험에서는 25 mm/12h 문턱값에 대해 23개의 사례 중 9개 (39 %)만이 0.3이 넘는 성공임계지수(TS)를 나타냈고, 50 mm/12h 문턱값에 대해서는 17개 사례 중 7개 (41 %)의 사례에서 0.3이 넘는 TS가 나타났다. 4 km 실험에서는 25 mm/12h 문턱값에 대해 23개의 사례 중 10개 (43 %) 사례에서 0.3이 넘는 TS 값이 나타났고, 50 mm/12h 문턱값에 대해서는 17개 사례 중 7개 (41 %)로 나타나 WRF 모델의 수평격자 크기와 관계없이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중규모 저기압이 진행하는 경로에 따라 예측 능력에 차이가 나타났다. 23개 사례를 중규모 저기압 발생지점으로부터의 이동경로에 따라 준 직선 경로 사례 그룹, 곡선형 경로 사례 그룹, 정체사례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 대해 예측 능력을 조사한 결과, 직전 경로 사례들에 대한 4km 격자 모델 예측은 55 %의 사례에서 0.3보다 큰 TS값을 보여, 30 %의 사례에서 0.3 이상의 TS 값을 보인 곡선형 경로 사례들에 대한 예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 PDF

유동층연소(FBC) 기술의 연구개발 현황

  • 채재우
    • Journal of the KSME
    • /
    • v.23 no.6
    • /
    • pp.412-418
    • /
    • 1983
  • 유동층 연소기술은 선진 각국에서 다투어 개발하고 있는 최첨단 연소기술이나 국내에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979년 KAIST의 직경 10"의 원통형 유동층 연소로 제작을 시초로, 그 후 정부 주도하에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하여 상압 유동층 연소의 대규모 공정개발을 목표로 하여 기초연구를 끝내, 이미 0.1ton/hr의 pilot plant를 건설, 현재 가동중에 있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하여 1984년 10배의 확대(1ton/hr), 1986년에는 상용화 규모인 10ton/hr의 demonstration plant설치를 계획중에 있는데, 이와같이 단계적인 확장 이유는 scale-up에 있어 최적 운전조건을 위한 많은 기술의 축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근자에 와서, 각 대학과 일반업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데, 동양화학(주)에서는 120ton/hr의 열병합 FBC 건설을 핀랜드 기술진과 추진하고 있으며 본 연구실에서도 고유황 벙커C유의 유동층 연소를 위해 banch scale 연소로를 제작하여 연구를 수행중에 있다.에 있다.

  • PDF

A Login Server Architecture for Large Scale Network Game Server (대규모 네트워크 게임을 위한 로그인 서버 구조)

  • 이홍석;윤영미;오삼권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71-74
    • /
    • 2001
  • 본 논문에서 대 규모 네트워크 게임서버는 기능별로 분산화 되어야 하며, 분산되어 있는 여러 서버 중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서버가 장애를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본 논문이 제시한 구조는 로그인 처리만 수행하는 서버로서 네트워크 게임은 물론 로그인 처리를 요구하는 다른 시스템들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업집단(企業集團)의 현황(現況)과 특징(特徵) : 비중(比重)·시장지위(市場地位)·다변화(多邊化)·소유구조(所有構造)

  • Lee, Jae-H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3_4
    • /
    • pp.183-238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집단이 갖는 현황과 특징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았으며, 기업집단을 둘러싼 논쟁 중 중요한 쟁점인 기업집단의 생산구조 및 다변화가 기업집단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30대기업집단이 광공업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동안 변화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 조금 높아지고 있으며, 상위기업집단과 하위기업집단간의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경제력집중 문제가 소수의 상위기업집단의 문제로 압축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30대기업집단 가운데서도 상위집단은 산업규모가 크고 성장속도가 빠른 산업에 중점적으로 진출해 있는 반면, 중 하위집단은 산업규모는 크지만, 성장이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부문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0대기업집단은 다양한 산업 시장에 진출해 있어 다변화가 크게 진전되어 있으며, 개별 상품시장에서도 높은 시장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규모가 큰 시장일수록 기업집단의 참여가 많으며, 규모가 작은 시장에서는 참여 기업집단이 독점적 위치를, 규모가 큰 시장에서는 시장을 분점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실증분석에 의하면 기업 및 기업집단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노동장비율, 노동의 질 등 생산측면의 요인이며, 시장력 및 시장구조, 다변화 등이 기업집단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기업집단의 규모와 기업집단의 성과간에는 특별한 관계가 성립하고 있지 않지만, 개별기업 수준에서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대형화는 촉진시키되 기업집단 계열기업간의 연결관계를 단절하고자 하는 현재의 경제력집중 대책방향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업공개는 기업집단의 소유분산에 기여하는 동시에, 기업의 규모확대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기업공개의 촉진이 경제력집중 대책의 유용한 수단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Examination of Heat Budget Model for Urban Thermal Environment Evaluation (도심지의 열환경 평가를 위한 열수지 모델의 검증)

  • 김상백;염향희;권병혁;김연희;오성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04-505
    • /
    • 2003
  • 국지규모의 기상해석을 위한 기존의 방법은 중규모 모델로부터 down-nesting에 의한 방법으로 모델의 해상도를 향상시켜 기상장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lark and Farley, 1984). 그러나, 이 방법은 단지 물리적인 격자구조만을 향상시킨 것으로 근본적인 모델 내부 구조의 향상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토지 피복이 혼재해 있는 도심지를 대상으로 하는 고해상도의 국지기상 모델에 대하여 계산시간과 정확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지표면 열수지 모델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