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전통복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한 후의 현대적 의미 (Modem Meaning of Han Chinese Clothing(韓服))

  • 호위;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9-109
    • /
    • 2009
  • 한 후란 중국의 전통 복장을 말하는 것이다. 한 장 (漢裝) 이라고도 하며 고대 복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ilk robe라고도 한다. 한 후는 한 나라 이후 명나라까지 만주가 정복하기 전인 1644년까지 입혀졌던 중국의 전통복장이다. 최근 중국에서도 전통복장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으로 대표되는 치파오는 만주족의 한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간소화시킨 복식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의복은 만주족에 의해 사양길을 가기 전 고대 한 조의 복식이 중국전통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 후 스타일은 벨트를 매며 여밈이 있고 좁은 소매 혹은 넓은 소매가 특징이다. 한 족이 한 나라, 상 왕조, 송나라, 당나라때 입었던 한 후가 중국의 복식을 대표하는 복식이며 주나라의 쉔의는 튜닉과 스타일의 결합으로서 아직도 상류그룹이 입고 있다. 당나라에서는 동방의 문화와 혼합되어 화려하거나 사치스럽게 수정되었고 만주가 침범하여 한 후는 더 이상 전통복으로 입히지 못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를 볼 때 역사적으로는 베트남에서 기모노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을 볼 수 있고 한 후를 통해 중국전통 복식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는 전통의 새로운 자각과 세계화 현대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치파오로 규정된 중국복식에 반해 전통 한 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활용은 세계화와 오리엔탈이미지에 녹아 있는 한 후 디자인 디테일을 통해 현대적 모색을 활용하고 있다. 충분한 시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대적 노력이 앞으로의 중국이미지의 재고를 가져올 것이다.

  • PDF

국내유통 복분자와 토종복분자의 영양성분학적 차이점과 Ellagic acid 함량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sion of Nutrients Content and Ellagic Acid Content Between Distribution Bokbunja and Korean Native Bokbunja)

  • 정성희;한민우;서지호;유혜영;이기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20
  • 국내 복분자는 서양에서 유래한 서양복분자(Rubus occidentalis)와 국내 자생종을 개량한 토종복분자(Rubus coreauns)가 혼용되고 있으며, 전통 한방약재로서 미숙과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분자의 영양성분적인 특성과 주요성분인 ellagic acid 함량을 비교하였다. 토종복분자는 광양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를 수집하였으며, 외래종 서양복분자는 고창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나머지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과 중국산 복분자를 경동약령시장과 금산약령시장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영양성분으로는 조지방, 조단백질 그리고 탄수화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유리당, 지방산, 유리 아미노산 17종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토종복분자는 1.90 %, 서양복분자는 3.03 % 이였으며, 중국산 유통품은 2.28 %, 기타 국내산 유통품의 경우 2.89 %으로 중국산복분자의 조지방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의 경우 70.28~71.85 %로 복분자간의 함량에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유리당의 경우에는 토종복분자의 경우 glucose가 19.03 mg/g, fructose 16.29 mg/g이 측정되었고 고창 서양복분자의 경우 glucose가 16.29 mg/g, fructose 12.76 mg/g이 측정되어 유리당의 총 함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토종복분자의 경우 glucose의 함량이 조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복분자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결과 고창 서양복분자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19.49 mg/g 으로 광양 토종복분자의 7.69 mg/g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ic acid (12.19 mg/g), oleic acid (1.88 mg/g)와 linolenic acid (5.43 mg/g) 함량이 높았다. 복분자의 아미노산의 함량은 광양 토종복분자의 경우 4.50 mg/g, 고창 서양복분자의 경우 5.05 mg/g으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미노산 17종 성분 중 asparagine(0.65~0.84 mg/g), arginine(0.51~1.00 mg/g)과 threonine(0.99~1.63 mg/g)의 함량이 높았다. 지표성분으로 ellagic acid의 함량은 광양 토종복분자의 경우 2.56 mg/g, 고창의 서양복분자의 경우 3.16 mg/g으로 측정되어 서양복분자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복분자의 ellagic acid의 경우 2.99 mg/g, 기타 국내산 유통 복분자의 경우 2.83 mg/g으로 광양 토종복분자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토종 및 서양 복분자를 원료로 하는 기능성식품에 대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외전통보드게임의 비교 및 개선방안 -중국 장기게임을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the Traditional Boardgames and Their Improvement scheme - Focused on Chinese Chess Game)

  • 이현흠;이완복;경병표;이동열;유석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669-677
    • /
    • 2013
  • 중국전통보드게임은 중화민족의 전통적인 놀이문화로써 수천 년에 달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게임 룰에 변화가 없고 고정적이어서 지금까지 주요 선호 층이 중 노년층에 집중되어 있다. 수십 년 전에 개량 중국장기가 출시되었는데 장기판, 장기 쪽, 게임 룰에 변화를 시도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중국 전통 장기게임들에 대해 조사해 보았으며, 개량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중국장기의 게임의 재미요소를 증진시키고자 만들어 졌었던 변형된 장기게임들에 대해 고찬하였으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0세기 전반기 중국 여성복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in Chinese Women's Clothing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조영란;이금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4호
    • /
    • pp.661-68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change in the Chinese women's clothing according to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both century As for the research method, both literature and visual data are review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ep of transition in clothing by period followed beginning stage, adopted stage, early developed stage, fully developed stage, and static stage. fully developed stage showed a perfect compromise while being applied to Chinese costume with being introduced a three-dimensional cutting method of western clothing even to the constitution as well as to the appearance. Design elements from western clothing are as follows. The transition of silhouette is box silhouette, trapeze silhouette, shift silhouette, and fitted silhouette. In detail and trimming, tailored, band, convertible, shirts collar and zigzag, scallop, camisole neckline and puff, cap sleeve and flounced, bell shaped cuffs and western button, zipper, etc. are adopted. Finally, the Chinese modern style are formed by accepting and transforming the western clothing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 PDF

중국 조선족 전통복식의 변화연구 (I) - 일상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lteration of traditional costume of Korean Chinese (I) - Focused on the daily wear -)

  • 임혜순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78
    • /
    • 2020
  • Korean Chinese, immigrants to China, have developed their ow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of the Korean Chinese and to provide data for posterity. The research methods are literature research, survey research, and analysi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hanges over generations, the top of women's Hanbok has changed in length as has the jeogori (jacket), the git (collar), and the gooreum (breast-tie). The width of the git, dong-jeong (thin white cloth-covered paper collar of Hanbok), the sleeve, and gooreum have also changed. The git and the barae (the curve part of the sleeve) have changed from straight patterns to curves. The skirt had changed in wrinkles arrangement, length, and silhouette. The men's Hanbok jeogori and sleeves were lengthened; the pants became wider and were lengthened, and the collar also became curved. The vest has not changed and the du-ru-ma-gi (coat) that once disappeared is being worn again; the bae-ja (vest) and magoja (over-jacket) are worn frequently in modern times. The garments mainly used natural fiber until the development of synthetic fibers, but the treand has been the use of luxurious natural fibers in modern times. The initial color pattern was achromatic, but that changed with the appearance of synthetic fibers, and nowadays it is mainly the garmetnt can display a variety of colors. In addition, hairstyles and shoes have been eveolved from traditional to modern styles.

한국 전통가구 양식디자인의 도교(道敎)적 요소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aoist Elements in South Korean Traditional Furniture)

  • 소양;김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32-344
    • /
    • 2019
  •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한국과 중국은 오랜 문화교류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기간의 교류를 통해 중국의 전통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한반도 선조들의 일상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중국의 전통문화 중 하나인 도교는 한반도의 삼국시대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도교가 한반도에 녹아들고 발전하면서 한반도만의 특징을 지닌 도교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고, 한반도 선조들의 전통적인 이념 및 문화적 생활의 일부가 되었다. 한반도의 가구발달 과정에서 도교의 음양오행설, 풍수지리설 등 도참설(圖讖說)은 한반도 전통가구의 용도, 조형, 재질, 문양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왕조 후기는 한반도 수공업 발전의 전성기였다. 이 시기에는 가구류가 증가하여 도교적 특성이 뚜렷하고, 모양이 아름답고, 디자인이 우수하고, 용도가 다른 가구들이 많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가구의 조형, 재질, 문양, 도장, 디자인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도교사상이 한국의 전통가구의 형태와 문양의 발전에 영향을 준 주요 요소 중의 하나임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가지 자연물이나 동식물을 가구 디자인의 문양으로 활용한 것은 가족들이 화(禍)를 피하고 하늘로부터 복(福)을 받기를 기원하는 도교의 기복(祈福)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선과 중국의 "보천가" 연구 (A Study on the "Bocheonga" of Joseon and China)

  • 김상혁;양홍진;이용복;안영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375-402
    • /
    • 2009
  • 한국의 전통 천문학은 과거 중국의 영향을 받아 여러 면에서 중국과 비슷하지만 별자리 모양이나 별이름 등에서 중국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규장각에 보관중인 조선 초기의 보천가와 중국 수대(隋代, $581{\sim}618$) 왕희명(王希明)이 저술한 보친가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두 보천가에 그려진 천문도 별자리 모양과 연결선 그리고 본문 설명에 대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두 책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별자리 설명의 여러 부분에서 전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서적의 구성에서 서문과 삼원 별자리, 은하수 설명은 확연한 차이를 보여 준다. 둘째, 보천가에 그려진 전반적 별자리 그림은 비슷하지만 별자리의 연결선과 별의 개수가 여러 곳에서 다르게 그려져 있다. 셋째, 조선의 보천가는 중국 왕희명 보천가와 달리 별자리 설명에서 별의 색깔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두 나라 보천가의 차이점과 조선 보친가의 고유한 특징을 찾아 논문에 정리하였다. 조선 보천가와 중국 보천가의 여러 차이점은 우리 고유의 천문지식과 체계가 고려시대 이전부터 꾸준히 전해져 왔음을 짐작케 한다.

중국 중산복의 변천 및 현대패션에의 적용사례 고찰 (A Review on the Transition and Application of Modern Fashion of Chinese Mao Suit)

  • 기초;백정현;배수정
    • 복식
    • /
    • 제67권3호
    • /
    • pp.31-4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Mao suit which is important position in the modern costume history of China and to provide a source of design inspir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review, changes of Mao suit in each age we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ocuments, Chinese costume and cultural history, prior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resources. The case analysis was qualitatively done focusing on the silhouette, color and detail of clothes i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1912 to 2000. The case analysis of the Mao suit applied to the contemporary fashion was made on the applications centered around 'London Collection', 'New York Collection', 'Paris Collection', 'Milan Collection' and 'Chinese Fashion Week' from 2008 to 2015. The results found that Mao suit changed into many different forms after Sun Wen designed it for the first time in 1912.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Phase 1(1912~1927), Phase 2(1928~1965), Phase 3(1966~1977), and Phase 4(1978~2000) with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s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Mao suit.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fashion collections using Mao suit from 2008 to 2015 showed an increased application of Mao suit to the western collection in New York, Paris and London in 2008 due to the impact of Beijing Olympics. However, from 2009 onwards, the frequency of the utilization of Mao suit was higher in the Chinese Fashion Week and the New York Collection. This cause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designers who inspired from Mao suit in the New York Collection are American Chinese.

모에화 게임 벽람항로에 나타난 섹시즘 - 여성 캐릭터 노출도 및 의상에 나타난 국가별 고정관념 (Sexism in Moetic Game Azur Lane - Female Character Exposure and Nationality Stereotype in Character's Attire)

  • 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235
    • /
    • 2019
  • 일본풍의 중국 모에화 게임들이 최근 수년 간 한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다. 소녀 전선 등에서 시작된 이런 움직임은 2018년 벽람항로로 이어졌다. 함선 의인화 게임인 벽람항로 등은 여성 캐릭터의 선정적인 일러스트가 특징이며 소녀 전선 등의 과도한 노출과 선정성은 등급 재분류 제재를 받기도 했다. 벽람항로는 상당수의 청소년 남성 사용자층을 갖고 있어 여성 캐릭터의 과도한 선정성은 유해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벽람항로 게임에 나타난 300여 종의 여성 캐릭터 스킨을 분석하여 여기에 나타난 섹시즘이 단순히 특정 부위의 노출 뿐 아니라 캐릭터의 소속 국가별로 의상이 정형화 되어 있음을 밝힌다. 즉, 중국과 일본은 기모노나 치파오 같은 전통 의상이 중심이고 영국은 제복과 메이드복의 비중이 상당하고, 독일은 제복을 주로 착용하게 함으로써 해당 국가 여성의 성적 오브젝트화와 고정관념을 조성할 수 있다. 또 이런 기본 스킨이 수영복으로 유료 전환되면 상당한 노출이 이루어져 선정성을 특히 강조한다는 점에서 19금 게임이라 해도 이런 과도한 섹시즘은 여성에 대한 부정적 성 대상화 우려가 있다.

  • PDF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lothing Design as a Cultural Korean Wave Product -Focusing on the Production Work)

  • 변미연;백민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85-7493
    • /
    • 2015
  • 한류의 활성화에 따라 한류 관광객을 위한 문화 상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상품들은 연예인 캐릭터의 생활용품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용성이 가미된 의류제품의 문화상품은 현저히 그 수가 적다. 특히 아동복과 관련된 문화상품은 거의 개발되지 않았으며, 소수의 상품은 기본 티셔츠에 그래픽 또는 전통한복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들의 소비 패턴과 한류 문화상품을 적용시켜 볼 때, 한류 문화 상품으로써의 아동복이 개발 된다면 한류의 활성화 및 국내 패션시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류 문화상품으로써의 아동복 디자인을 개발하여 실증적인 연구 결과물을 제시하고자 하며 다음의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한류 문화상품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 시점의 한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함이며 둘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실물작품을 제작하여 한류 문화 상품 시장에 실증적 자료로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으로는 선행연구 리뷰 및 질적 연구를 위한 일대일 심층 면접, 시장조사와 작품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최종 연구결과물인 4벌의 작품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만족할 수 있는 한류 문화상품 아동복을 실증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시장 및 문화상품 시장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중국 소비자 니즈 분석을 위한 참고자료로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