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중국역사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raditional Aesthetics of Dunhuang Frescoes Visualized in Chinese Animation - Focusing on -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구현된 둔황벽화의 전통 예술성 - <하충국, 2013>를 중심어로 -)

  • Yao, Zong-bin;Hwang, Min-sik;Lee,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1-62
    • /
    • 2017
  • 둔황 벽화는 4세기부터 14세기에 거쳐 제작된 중국전통 회화 예술의 한 종류이다. 본 논문은 둔황 벽화의 예술성이 애니메이션에서 어떻게 연출되며 중국의 전통 문화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 전개는 첫째, 둔황 벽화와 중국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론적 고찰, 둘째, 둔황벽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하충국, 2013>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하여 둔황 벽화의 예술적 특성이 전통 애니메이션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대의 예술성과 문화가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제작되며, 중국의 문화역사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적 기능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PDF

Evaluation Research on the Protection and Regeneration of the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of Pingjiang Road, Suzhou, China (중국 쑤저우 평강로 도시역사문화거리 보존 및 재생사업 평가연구)

  • Geng, Li;Yoon, Ji-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561-580
    • /
    • 2021
  • This study analys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at Pinggang Road in the city of Suzhou, by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e area, and uses the following ways to investigate its development, re-organization, and current state. This paper comprehensively compares, collates and investigates 4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in Insadong and Samcheong-dong in South Korea, and South Luogu Lane in China. From initial research and analysis, this paper gathers the cultural, economic, and societal perspectives as non-physical measures, and spatial structure, road structure, and building maintenance as physical factor framework.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provide an evaluation model for the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s by presenting the viewpoint of complex development of non-physical and physical elements in Pyeonggang-ro.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optimization and specific research on insufficient areas, such as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programs and signature systems for visitors,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network platforms by combining on-site surveys. Basic data should be provided for reference on the street.

Comparative study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in Chinese and Korean subway's (한.중 지하철 내 시각정보디자인에 관한 연구)

  • Feng, Wen;Song, M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1-174
    • /
    • 2009
  • 본 소고의 목적은 중국과 한국의 지하철 역사 내에 있는 시각정보디자인의 양식 및 감성의 비교연구이다. 한국의 마찬가지로 중국 사회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지하공간의 중요성이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지하교통의 아내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지하 공간에서 시각적 정보 디자인 성패의 가장 큰 평가기준은 바로 그 디자인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의 강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철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일부 지하철 내부의 시각적 정보들은 사람들의 출입 등에 편의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지하철 역사내 시각정보시스템의 통일된 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적 특성도 부가되어야만 한다. 때문에 시각적 정보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를 어떻게 높일가? 하는 문제는 모든 지하공간의 시각정보디자인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구 부산의 서면 지하철 역과 베이징 서지문 지하철 역 내부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색채 조형 문자 등 시각 디자인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관련요소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항 하에서 두 곳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공통점과 감성의 다른 점 및 어떤 디자인이 대중들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인지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

동북 조선족 인구 분포 특성에 관한 역사 지리적 고찰

  • 심혜숙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40-41
    • /
    • 1992
  • 본문은 동북 3성의 지리, 역사, 연구 상황을 개술하고 착중하여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시기를 4개기로 나누어 그 분포 특징을 밝혔다. 4개의 시기는 (1) 함풍-동치년 시기 (2) 광서년 시기 (3) 선통-민국년 (4) 위만 시기이다. 매시기마다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역사 지리적 배경을 천명했고 당시 조선족의 이주 노선과 분포특징을 귀납하였다. (1) 조선족이 동북에 이주하여 온 노선은 모두 20개 노선이 있었다. 그중 이주 수량이 많은 노선으로는 종성-개산툰-용정 노선, 남양-도문 노선, 만포-집안 노선이다. (2) 압록강 유역의 중간진에서 중국 림강에 들어온 이주민이 가장 일찍 했다면 두만강 유역은 10-20년 더 높다. (3) 동북 3성 조선족 인구밀도는 두만강과 압록강에 가까울수록 크고, 멀수록 작다. (4) 압록강, 두만강 유역에는 평안도와 함경도의 이주민이 많고, 두 유역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조선 남부의 이주민이 많다. (5) 동복 3성 조선족은 산지보다 평원에 많이 분포되었는데 동북의 수전개발에 커다란 공헌이 있다. (6) 중국 조선족에 97.1%가 동북에 집중되나, 그중에서도 길림성에 1,811,946명으로서 전국 조선족 총수의 65.8%를 차지하고, 흑룡강성에 452,398명으로서 25.2%를 차지하며, 요넝성은 230,378명으로서 9.0%를 차지하고 있다.(1990년 통계) (7) 도시에 있는 조선족은 모두가 잡거하고 농촌에서는 잡거구도 있지만 대부분은 순 조선족 부락을 이루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ubject Headings Related to Korea and Japan in the Chinese Classified Thesaurus ("중국분류주제사표(中國分類主題詞表)"의 한.일 관련 주제명에 대한 비교 분석)

  • Moon, Ji-Hyun;Kim, Jeong-Hye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2 no.3
    • /
    • pp.331-350
    • /
    • 2011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after extracting the subject titles related to Korea and Japan from the second version of Chinese Classified Thesaurus, the number of titl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ubject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otal number of Korea-related titles including proper nouns was 215, which is limited in comparison to that of Japan, in terms of the number and diversity of the subjects. Particularly, the CCT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current state of Korea as it uses the word 'Josun' to denote Korea and calls Korean War 'Josun War' as well as only recording it in North Korean history. Meanwhile, Japan-related subject titles include many that show the complicated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China, such as Manchurian Incident and Japan-China War.

The Historical Origins and Modern Insights of the Chinese Arbitration System (중국 중재제도의 역사적 연원과 현대적 시사점)

  • Xiao Xiao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33 no.4
    • /
    • pp.37-67
    • /
    • 2023
  • Arbitration is a just and efficient method for resolving economic disputes. It adapts to the need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s an important institution in today's society. Around the world, a tradition of resolving disputes through arbitration spontaneously developed in ancient times and gradually evolved into a legal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jurisprudence starting from the Middle Ages. In China, formal legislation on arbitration began in the modern era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period. However, the origins of arbitration as a method for resolving disputes can be traced back to ancient times, during the Qin and Han dynasties. The most significant modern arbitration legislation in China is the "Arbitration Law" enacted in 1995, which drew on the experiences of foreign arbitration laws. Despite this, there are still many areas in arbitration legislation that require improvement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Currently, revisions to the Arbitration Law are underway, and historical experiences may offer valuable insights, assisting in better integrating the Arbitration Law with Chinese society. This article primarily focuses on the role and impact of the imported modern commercial arbitration system in China and how it can be harmonized with China's legal culture in the future.

Japanese and Chinese Journalists' Views on Anti-Korean Wave (일본과 중국 언론인들의 반한류 인식)

  • Kim, Eunjune;Kim, Su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802-813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and Chinese journalist's views on anti-Korean wave, who are the public and authoritative discourse producers in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In so doing,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take place and are diffused. According to the findings, anti-Korean wave in north-east Asia is affected by anti-Korea sentiments that have been induced from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 as well as cultural conflicts. In specific, the anti-Korea sentiments found in both Japan and China are geopolitical particularity and historical relations function to frame their cultural receptions of Korean pop culture. In other words,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in both countries do not stem directly from local audiences' either discontents or apathy on Korean pop contents. However, while Japanese anti-Korean wave seems to be mere expressions of anti-Korea sentiments, Chinese sentiments of anti-Korean wave are triggered and transferred by, or articulated with their anti-Korea sentiments.

A Study on the Animation Education in Jinling University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1912-1949) (중화민국 시기의 애니메이션 교육 고찰 연구 (1912-1949) - 금릉(金陵)대학을 중심으로 -)

  • Gong, Nian;Lee, Dong-hun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
    • v.62
    • /
    • pp.96-104
    • /
    • 2018
  • Jinling University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1912-1949) is the most representative academic institution in film education and filmscience, film production, film distribution and many other aspects. Although Jinling University had not yet formed an independent animation discipline, the opening of its animation curriculum,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practice and production of animation have played an important histor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and are the beginning of China's animation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Jinling University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reviews the forms of animation education. At the same time, macroscopical education and microcosmic education concepts are used to analyze the social context of the Republic of China of discipline construction and external education concept at that time. It sketches the historical clues of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education in Jinling University in the Republic of China,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ying animation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China in theory.

중국 "떡"문화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보고

  • Jo, Yeong-Gwang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8.10a
    • /
    • pp.15-29
    • /
    • 2008
  • "떡"을 대표로 하는 중국 밀 문화는 선사시기의 야생 식물 재배는 역사상의 가공과 이용으로부터 현대 사회의 정밀 가공, 더 깊은 가공의 광범위한 이용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의 긴 역사과정을 거쳤다. 그러나 20세기말 이전까지만 해도 밀가루는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위치에 있었다. 하지만 분명해야 할 것은 어떤 종류의 곡물이 한 민족의 주식 원료 구성에서의 높고 낮은 비중이 결코 간단하게 그 사회 의미와 문화가치의 높고 낮음과는 동일시할 수 없다. 중국 사람의 밀 식용 역사가 바로 하나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선진(先秦)시기, 밀의 재배와 식용은 주로 식량 공급이 줄곧 긴장된 상태에 처해있는 각 정권의 "接濟靑黃"(구제식량)하는 전략적 물자였다. 그러나 선진(先秦)시기에서 밀은 경제가치가 아주 높은 곡물은 아니었다. 그 원인은 밀의 무(畝)생산량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종자의 수요량도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묵은 곡식은 다 사용되고 새 곡식이 무르익지 않은 공백기에 있는(청황불접) 시기에 전략적 곡식의 사회와 정치 의미 외에 강한 적응성, 광범위한 분포와 낮은 단가가 또한 밀의 상대적 장점으로 될 수 있다. 밀의 경제와 문화가치는 주로 한대(漢代)이후 차츰 드러났다. 혁명적인 변화는 바로 가루 음식의 섭취와 계속적인 확대이다. 밀을 가루로 내어 식용한 후 차츰 기타 곡물의 편의식품 전통 공간을 대체하였고, 한대(漢代)의 딤섬류 식품 "한구(寒具)(고대에 곡물가루 튀김 음식물 현재의 타래떡 등)"에 사용되는 재료도 거의 밀가루를 사용하였다. 오늘날 중국 사람이 자랑으로 여기는 전통식품인 국수, 만두, 혼돈(餛飩), 포자(包子), 소맥(燒麥), 떡, 찐빵(饅頭), 고(糕) 및 공업화 식품인 과자, 빵, 라면, 햄버거 등은 모두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서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딤섬 종류도 밀가루를 기본 원료로 한 주요 무대이다. 20세기말 이후 밀 소비 인구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였으며 높은 소비량은 밀의 재배 면적 확대와 재배지역 확장을 결정하였다. 밀 소비량은 중국 사람의 주식 원료 소비에서 이미 근근이 벼 뒤를 잇는 지위에 올랐다. 통계 자료에 따르면 1949년 중국 밀 면적은 2,185만 헥타르로, 전국 식량 작물 총 면적의 19.6%, 총 생산량 1,380만 톤으로 전국 식량 작물 총 생산량의 12.2%에 달한다. 1980년에 이르러 면적은 2,884만 헥타르로, 총 생산량은 5,416만 톤에 달하였으며, 각각 식량작물 총면적의 24.8%, 총 생산량의 17.0%를 차지하였다. 1981이후 중국 밀 생산량은 또한, 새로운 발전을 가졌으며, 주로 단위 면적 생산량이 비교적 크게 증가되었고 총 생산량도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1981~1985년과 1976~1980년의 5년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재배 면적은 같았으나(단지 0.2%만 증가), 단위 면적당 생산량 및 총 생산량은 46%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9.2%에 달하여 50년 이래에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시기였다. 비록 지금 중국인의 "배부르게 먹기"문제는 이미 기본적으로 해결되었으나 장기적으로 "배부르게 먹기"의 물질적 보장은 여전히 취약하다. 농사가 가능한 경지면적의 급속한 격감으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압력을 증가되었다. 국가 표준에 따르면 품질이 좋은 밀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과 "탄력이 약한 고품질 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지금 중국 시장의 추세를 보면 밀 품종의 선택에서 주로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선택하는데 즉 글루텐량이 높고 탄력이 강하며 품질이 좋은 전문 용도에 사용되는 밀을 선택한다.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은 주로 빵, 라면, 만두 등 밀가루 탄력을 요구하는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그 중에서 모든 빵은 탄력이 강한 고품질 밀을 사용하고 밀에 대한 품질 요구도 또한 높다. 빵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일부 전문 밀가루 생산 공장에서는 국산 고품질 밀에 수입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만두가루를 가공할 경우도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밀가루의 품질을 높이고 음식을 맛을 증가한다. 일부 품질이 떨어진 밀에 대하여 고품질 밀을 첨가하여 내부의 품질을 개선하고 찐빵이나 기타 밀가루 음식으로 가공한다. 예를 들면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고품질 밀과 봄밀을 섞어 밀가루의 봄밀의 품질을 개선한다. 총괄적으로 밀에 대한 욕구는 계속 장기적으로 벼에 버금가는 위치를 유지할 것이며 고품질 밀에 대한 욕구는 더욱 강한 추세로 발전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