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6.802

Japanese and Chinese Journalists' Views on Anti-Korean Wave  

Kim, Eunjune (대전보건대학교 교양과)
Kim, Sujeong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Japanese and Chinese journalist's views on anti-Korean wave, who are the public and authoritative discourse producers in Japan and China, respectively. In so doing,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take place and are diffused. According to the findings, anti-Korean wave in north-east Asia is affected by anti-Korea sentiments that have been induced from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 as well as cultural conflicts. In specific, the anti-Korea sentiments found in both Japan and China are geopolitical particularity and historical relations function to frame their cultural receptions of Korean pop culture. In other words, the phenomena of anti-Korean wave in both countries do not stem directly from local audiences' either discontents or apathy on Korean pop contents. However, while Japanese anti-Korean wave seems to be mere expressions of anti-Korea sentiments, Chinese sentiments of anti-Korean wave are triggered and transferred by, or articulated with their anti-Korea sentiments.
Keywords
Korean Wave; Anti-Korean Wave; Japanese Anti-Korean Wave; Chinese Anti-Korean Wave; Journalis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윤경우, "중국의 한류수용 양상: 선택적 수용, 저항 그리고 변용 및 주변화," 중소연구, 제32권, 제4호, pp.99-132, 2009.
2 유세경, 이경숙,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별은 내가슴에', '진정고백', '동변일출서변우' 비교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230-267, 2001.
3 유세경,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판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997년부터 1999년까지의 해외 판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209-255, 2000.
4 D. Shim,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Media, Culture & Society, Vol.28, No.1, pp.25-44, 2006.   DOI
5 김수정, 양은경, "동아시아 대중문화물의 수용과 혼종성의 이해,"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1호, pp.115-136, 2006.
6 류웅재, "한국 문화연구의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모색: 한류의 혼종성 논의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6권, 제4호, pp.2-27, 2008.
7 村上和弘, インターネットの中のツシマ: '嫌韓' 現象をめぐって. 石田佐恵子.木村幹..山中千恵編著, ポ スト韓流のメディア社會學, pp.181-182. 京都: ミネルウァ書房, 2007.
8 정수영, "만화 혐한류(マンガ嫌韓流)의 이야기 분석을 통해 본 일본 내 혐한류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제58권, pp.187-215, 2010.
9 황낙건, "일본과 중국 내 반(反)한류 현상에 대한 고찰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류비즈니스연구, 제1권, pp.211-233, 2014.
10 한영균, "일본 내 '혐한류' 현상의 실체," 일본문화연구, 제48권, pp.433-456, 2013.
11 박수옥, "일본의 혐한류와 미디어내셔널리즘:2ch와 일본 4대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47호, pp.120-147, 2009.
12 김미선, 유세경, "일본 시청자의 한국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44-54, 2014.
13 유보전, "한류의 경쟁력과 한계분석: 중국내 한류의 전파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제43권, pp.319-343, 2014.
14 허진, 원춘잉, 류샤오화, "중국 네티즌들의 반한 정서와 인터넷 민족주의: 텐야논단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제17권, 제4호, pp.227-256, 2013.
15 김은희, "중국의 시선에서 한류(韓流)를 논하다," 담론 201, 제15권, 제4호, pp.235-255, 2012.
16 김익기, 장원호, "중국에서의 한류와 반한류: 문화접변에서 혼종화로," 지역사회학, 제14권, 제2호, pp.175-202, 2013.
17 한은경, 장우성, 이지훈, "반한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6권, 제2호, pp.217-235, 2007.
18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한류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종합 조사연구, 2008.
19 주정민, "한류 콘텐츠에 대한 '반한류' 현상의 원 인과 대응: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연구, 제7권, 제2호, pp.137-160, 2013.
20 정수영, 유세경, "일본과 중국의 주요 일간지에 실린 대중문화 한류 관련 뉴스 분석,"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121-156, 2013.
21 안정아, "중국 80-90后와 외국 대중문화의 선택적 수용: 베이징 사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34-43, 201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