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고령자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참여/네트워크 활동의 매개효과 (Accessi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ts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evel: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online social engagement and online network activity)

  • 김수경;신혜리;김영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3-3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과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응답한 중고령자 1,49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정보화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경유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이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을 거쳐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경유한 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접근수준과 삶의 만족도, 온라인 사회참여 활동,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디지털 정보화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Sense of Coherence)

  • 정은희;채철균;문하늬;송나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181-2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거주 중고령자의 물리적 환경과 우울증상의 관계에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시의 각 동주민센터와 노인복지시설 및 중고령층을 위한 교육시설을 방문하거나 이용한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31부의 설문이 회수되었고 주요변수에 대한 무응답 사례를 제외한 309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물리적 환경의 직접 및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고령층의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은 통합성을 매개로 우울증상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안전성, 쾌적성, 접근 편의성, 보행친화성과 같은 근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통합성이 높고, 통합성이 높은 사람은 낮은 우울증상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층의 우울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정년제도와 중고령자 은퇴결정요인 분석 (Mandatory Retirement and the Determinant of Aged Workers' Retirement)

  • 조동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3호
    • /
    • pp.101-12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6차년도 부가조사 50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은퇴결정과 은퇴연령, 그리고 은퇴계획에 대한 결정요인을 개인별 속성과 은퇴직전 주된 일자리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시행되는 정년제도의 유무와 정년제도가 규정하는 정년연령과 은퇴와 관련된 근로자의 의사결정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년제도의 존재 유무보다는 실제로 정년제에서 규정된 은퇴연령의 증가가 근로자의 실제 은퇴시점과 은퇴계획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시행될 정년연장제도가 노동시장에 미칠 효과를 추측해 볼 수 있다.

  • PDF

중고령자 빈둥우리가계의 부채보유여부와 가계 재무상태: 소득과 자산 수준을 고려하여 (The Middle-Old Aged Empty Nest Households' Debts Holding and Financial Status: Considering the Level of Income and Assets)

  • 송현주;윤정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50
    • /
    • 201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analysis the middle-old aged empty nest households' debt holdings and their financial status(emergency fund index, liquidity index, debt burden index) considering the level of income and asse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we made use of the KReIS third beta-version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in all income asset groups there were more non-debts holding houses compared to debt holding houses. Moreover in debts holding houses, compared to other groups high income high assets groups were more. Second, the households that possessed more assets, had more debts. Third, the financial status of the households holding debts were more vulnerable compared to households that had no debts. Moreover, all income asset groups' emergency fund index were low. Households having no debts possessed low real assets and so the liquidity index was higher in holding debts households. In holding debts households, debt burden index was high. And especially these houses suffered from high debt burden when their income and asset were low.

중고령자의 통증과 우울에 관한 연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중심으로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ith Pain: A Latent Profile Analysis)

  • 김연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5-33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the potential layer for pain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based on the seven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2018) data and to identify the degree of depression by potential layer.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8 Aging Research Panel Survey, whose participants included 6,890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and M-plus 8.0 for latent profile analysis. Results: In the study, Type 1 was a "general pain group", Type 2 was the "high back pain group", Type 3 was the "lower body pain group", Type 4 was the "shoulder pain group", and Type 5 was the "pain-free group", which included those who answered that there was no pai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or not alon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difference in income,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ain site type group were confirmed.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ack pain group, lower body pain group, and shoulder pain group compared to the pain-free group. Conclusion: Developing integrative interventions is necessary to reduce depression using the pain coping skills in middle-aged and Elderly.

생애과정 전환기의 생활시간 배분에 관한 연구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ime Allocation in Transition to Old Age -Focusing on the Patterns of Time Allocation among People aged 45 or more-)

  • 박미희;변금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29-52
    • /
    • 2013
  • 본 연구는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연령과 사회구조적 층화에 따른 시간 배분 경향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생활시간배분 경향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유급노동과 더불어 가사활동, 사회참여, 여가시간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생활시간 배분경향이 연령과 사회구조적 층화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고령자의 시간배분 경향은 유급노동시간의 점진적 감소와 가사노동 및 수동적 여가의 증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사회구조적 층화에 따라 상이하게 분화되고 있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무배우자가 유배우자에 비해, 연령증가에 따른 유급노동시간의 감소가 급격히 나타나고 여가시간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가는 비농가에 비해 연령에 따른 노동시간 감소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연령증가에 따라 가사와 돌봄활동을 감소시켰지만, 생산활동시간 총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고령화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고령자를 단일집단으로 간주하는 획일적인 접근을 탈피하고, 고령화라는 변화를 겪는 이들이 놓여있는 다양한 사회구조적 요인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 PDF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 간의 융복합 분석 (Combined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Leve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 우예신;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75-280
    • /
    • 2020
  • 본 연구는 과제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구분하고,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전라도 지역에 소재한 노인시설에 방문하는 55세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과제기반 설문지를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0~3점 'C' 수준, 4~7점 'B' 수준, 8점 이상 'A' 수준으로 재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처리는 SAS 9.4를 이용하였다. 총 97명의 데이터가 결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가 85명(87.6%)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r=0.22)가 나타났다. 평균비교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p=0.04)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수준별로 지역사회참여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인이 높은 스마트폰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교육만족도와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독거 베이비부머와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epression of Baby boomers and Echo-boomers who Live Alone)

  • 최소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1-207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 중고령자와 청년의 고독사나 자살 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의 가능성이 큰 독거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에 해당되는 독거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두 집단 간 비교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2020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1955-1963년생인 독거 베이비부머와 1979-1992년생인 독거 에코부머의 자료로 독립표본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 베이비부머는 에코부머 세대에 비해 교육, 소득, 건강 상태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우울 수준은 높은 반면 자아존중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그 영향은 베이비부머(Adjusted R2 .259)가 에코부머(Adjusted R2 .083)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 중고령자와 청장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만성질환 진단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요 5대 만성질환의 초기 진단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ition to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on Depressive Symptoms)

  • 박민경;조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54-361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자 증가 추이를 고려하여, 만성질환에 의한 정신건강 악화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5가지의 주요 만성질환(당뇨병, 암, 만성폐질환,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을 선정하였다.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진단자로의 전이와 우울 수준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SPSS 25.0을 사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성질환자로 전이한 경우 및 5가지 각 질환별 전이한 경우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성질환 진단자로 전이는 우울수준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 살펴보았을 때, 암, 만성 폐질환, 뇌혈관 질환이 진단된 중고령자는 우울 수준이 높아졌으나, 당뇨병과 심장질환이 진단된 경우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자로의 전이와 우울관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중고령기 건강에 대한 인적자본과 사회자본의 효과 (The Effect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 서지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33-14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including employment status, education, income, social supports, and social participations,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ged over 50,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Data were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n=3,459).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were both resource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ged over 50. Second, the effects of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differed in the three subsamples defined by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