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죽초액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죽초액의 첨가수준이 비육 한우암소의 육생산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he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mboo Vinega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and Meat Quality in Fattening Hanwoo Cow)

  • 국길;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57-68
    • /
    • 2003
  • 본 시험은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의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비육중인 암소 15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의 3개 처리구에 5두씩 공시하여 4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약간 증가한 반면에 죽초액 6% 급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사료섭취량은 죽초액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혈액성상에서 glucose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Total protein과 cholesterol 농도는 죽초액 3% 및 6%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BUN의 농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도체성적에서 등심단면적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등지방 두께가 죽초액 6%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근내지방도는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나 육질등급이 향상되었다. 죽초액 급여에 의한 부분육 성적에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등심의 이화학적 특성에서 조지방 함량이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단력가와 콜레스테롤 함량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등심의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죽초액 3%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18:1은 죽초액 3% 및 6%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죽초액 3%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죽초액 급여에 의한 냄새와 외관의 개선효과는 없었다. 맛은 죽초액 3%와 6%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우 암소에 대한 죽초액 3% 급여는 근내지방도 및 조지방 함량의 증가, 전단력가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 불포화지방산 비율의 증가,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맛에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죽초액 첨가수준이 비육돈의 육생산성, 혈액성상, 도체성적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Bamboo Vinegar Liquids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rofile, Carcass Grad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국길;정진형;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21-730
    • /
    • 2005
  • 본 시험은 돼지에 대한 죽초액의 급여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육성비육돈 돼지 90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와 죽초액 2% 및 4% 급여구의 3개 처리에 10두씩 3반복으로 배치하여 55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육생산성, 혈액성상, 도체성적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은 죽초액 2%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사료섭취량은 죽초액 급여구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혈중글루코스 농도와 콜레스테롤 함량은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유의적(p< 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혈중요소태질소 함량은 죽초액 4%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도체중은 죽초액 4%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으며, 등지방 두께는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도체등급은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지방 함량이 약간 증가한 반면에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pH는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육색의 명도와 황색도는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한 반면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전단력가는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한 반면에 불포화지방산(올레산과 리놀레산)의 비율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 죽초액 2%와 4% 급여구에서 이취제거 효과와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유의적(p<0.05)으로 나타났으며, 맛에서도 유의적인(p<0.05)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비육돈에 있어 죽초액 2% 급여가 증체량의 증가와 도체등급 향상에 비교적 유리하게 나타났으며, 등심육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의 감소, 연도의 개선, 이취제거와 외관의 개선, 맛의 증가 등의 육질 개선효과에 적정 급여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죽초액을 급여한 돼지고기의 저장 중 육질특성 변화 (Changes in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n Refrigerated Pork Loin Fe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 국길;김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65-272
    • /
    • 2003
  • 본 연구는 평균체중 60.0$\pm$1.5kg인 육성비육돈 30두를 대조구, 죽초액 2% 급여구 및 죽초액 4% 급여구의 3개 처리구로 10두씩 배치하여 4개월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도축하여 등심육을 시료로 채취하여 저장 중 육질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 3일 이후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감소함을 나타냈다. 명도(L)는 저장 1일과 3일에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는 저장 1일과 3일에 죽초액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열감량은 저장 3일 이후 죽초액 2%와 4%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단력은 저장 1일과 3일에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나 연도 개선효과를 보였다. 지방산패도는 저장 6일과 9일에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총균수는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냄새는 저장 1일과 3일에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돼지 특유의 이취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외관은 저장 1일에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함을 나타냈다. 맛은 저장 1일과 3일, 6일에 죽초액 2%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죽초액 2%와 4% 급여된 돼지고기는 육질특성과 저장안정성이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죽초액을 급여한 한우육의 냉장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 특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Microbi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n Hanwoo Beef Fed With Supplemental Bamboo Vinega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국길;김광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3-408
    • /
    • 2005
  • 본 연구는 비육중인 한우 암소 15두를 대조구와 죽초액 $3\%$$6\%$ 처리구로 나누어 4개월 동안 죽초액을 급여한 후 생산된 등심육을 저장기간 중 물리화학적, 미생물적 및 관능평가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명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적색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은 반면에, 황색도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다. TBA와 총균수는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낮았으며(p<0.05), 가열 감량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9일과 15일에 낮게(p<0.05) 나타났다. 전단력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 3 및 9일에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맛은 죽초액 $3\%$$6\%$ 처리구에서 저장 1일과 3일에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기계식 및 재래식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steel kiln and earth kiln)

  • 이범수;최상호;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19-724
    • /
    • 2002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켜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얻고 기계식 죽초액을 증류·정제하여 정제 죽초액을 얻은 다음 각각의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와 전자공여 효과 및 이들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죽초액을 $1{\sim}6%$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에서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pH 하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pH 1.2와 pH 3.0에서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pH가 6.0일 때에는 미미한 상태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일정한 농도와 pH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각각 663.4, 571.62, 485.16 ppm이었으며 증류·정제과정에서 함량이 감소되었다. 각각의 죽초액을 $0.2{\sim}1.2%$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 반응시간에 따르는 전자공여 작용 효과를 비교하였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각각의 죽초액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가 뚜렷하였고 일정시간 내에서 각 농도에서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는 죽초액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기계식 죽초액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래식 죽초액이나 기계식 정제 죽초액보다 기계식 죽초액에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죽초액의 첨가가 육성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 국길;이종봉;이재일;김재필;김광현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80-82
    • /
    • 2001
  • 죽초액을 사료내 0%, 1%, 2% 및 4%로 첨가하여 5주 동안 급여했을때 육성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체량과 일당증체량은 죽초액 1%구에서 비교적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사료섭취량은 죽초액을 첨가함에 따라 약 간 증가하는 경향이였다. 도체중은 1%구가 비교적 증가하는 경향이였다. 죽초액 2%와 4%구에서 육성오리 가슴육의 단백질함량의 유의적인(P<0.05) 증가와 지방의 유의적인(P<0.05) 감소를 나타냈다. 콜레스테롤 함량과 TBA는 죽초액을 첨가함으로써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지방산 조성은 죽초액 2%구에서 콜레스테롤의 전구물질이며 포화지방산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palmitic acid가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맛과 풍미에 영향을 주며 불포화지방산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oleic acid는 죽초액을 급여함으로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맛과 풍미 그리고 외관에 있어 죽초액 1%와 2%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장내 살모넬라균과 대장균의 수가 죽초액의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항균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죽초액을 사용한 음식물퇴비내 암모니아 가스 제거 (Ammonia Removal in Food Waste Compost Using Bamboo Smoke Distillate)

  • 권기운;안종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퇴비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 중 암모니아 가스를 탈취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탈취제로 죽초액(bamboo smoke distillate, BSD)을 사용하여 첨가량과 반응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최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범위내에서는 음식물퇴비(food waste compost, FWC) 600 g 당 죽초액 74 mL (0.123 mL BSD/g FWC)를 첨가하고 3시간 반응하였을 때 제거량(8.47 ppm $NH_3$/600g FWC)이 가장 높았다. 탈취제로 식초를 사용하였을 때의 암모니아 제거량보다 죽초액을 사용하였을 때 암모니아 제거량이 높았다(p < 0.05).

죽초액의 항균활성 및 대두유에 대한 산패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 이범수;이병두;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6-822
    • /
    • 2006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sieb. et zucc.)를 이용하여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제조하고 이들의 농도에 따른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체 기계식 죽초액이 대두유 저장 과정 중 산패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은 10-50 ${\mu}L/8$ mm paper disc 농도범위에서 공시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재래식 죽초액의 편이 기계식 죽초액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하에서 죽초액의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 > 그람음성균 > 젖산균 > 효모의 순이었다. 그리고 모든 공시균주에 대하여 3.0%의 acetic acid 50 ${\mu}L/8$ mm paper disc에 상당한 죽초액의 항균활성 농도는 10-50 ${\mu}L/8$ mm paper disc 범위이며, 각각의 균주에 대한 활성농도는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MIC는 대체로 1.0-7.3 ${\mu}L/mL$ 범위였으며 최대치사농도(MLC)는 26.7-116.7 ${\mu}L/mL$ 범위였다. 대두유 저장기간 동안 죽초액 첨가 농도 0.1-1.0%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패억제 효과도 컸으며, 죽초액 0.1% 첨가하였을 때 효과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와 유사하였으며 ${\alpha}-tocopherol$ 0.02% 첨가한 것보다 높은 산화억제 효과를 보였다. 죽초액 0.1, 0.5 및 1.0% 첨가 대두유의 유도기간은 각각 3.75, 4.57 및 12.06일 이었으며, 무첨가구의 2.86일에 비하여 모두 길었고, 상대적 항산화 효과는 각각 130.85, 159.60 및 421.30%로 죽초액 0.5%를 첨가할 때가 BHT 0.02% 첨가하였을 때의 168.4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죽초액은 일부 식중독균 및 식품부패균에 대한 억제효과와 유지 산패억제 효과가 인정되므로 이를 이용한 식품첨가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수경재배 생산물의 품질향상 방안

  • 서범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추계 심포지엄 및 학술발표 논문집
    • /
    • pp.69-85
    • /
    • 2002
  • 최근들어 수경재배 생산물의 품질을 높이려는 연구와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로 과채류의 경우는 급액되는 양액농도의 변화, 미생물제재나 식물추출물(스테비아 등 고당도식물)의 엽면살포 또는 관주처리, 키토산, 목초액, 죽초액 등 신물질의 투입 등으로 다양하게 처리되고 있으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중략)

  • PDF

스킨헬스케어를 위한 증류 죽초액 함유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임상 적용 연구 (A Clinical Research of Acne Skin through Natural Cosmetics with Distilled Bamboo Vinegar Contents for Skin Health Care)

  • 박가희;박정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89-597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물질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여 여드름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 10대 남·여 20명을 선정하여 난수표방식에 따라 10명은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을 사용한 대조군으로 10명은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폼 클렌징, 토너, 팩) 사용한 실험군으로 배정하였다. 화장품 사용 기간은 12주로 하였고, Mark-·Vu 피부 측정기를 사용하여 사전, 6주 후, 12주 후 피부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화장품의 피부 안정성 확인을 위한 인체첩포시험 결과 피부에 안전한 제품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조군과 실험군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에 대한 동질성 검증 결과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셋째,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 검증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이마와 오른 볼 부위의 피지, 모공 크기, 붉은기 변화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에 증류 죽초액이 함유된 천연화장품은 피부에 안전하며, 여드름 피부에서 피부의 피지 감소와 모공 크기 및 붉은기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 증류 죽초액 활용을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