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죽음의미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에 대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ll-dy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s)

  • 문현정;차선경;정성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88-195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죽음준비와 죽음 및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으로서 실험군 32명, 대조군 36명이었다.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1회에 90~150분씩, 프로그램 소개와 죽음의 의미 탐색, 사망전 정리해야 할 일, 장례준비, 유언장 작성 등 5회에 걸쳐 워크숍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중재 전 후에 실험군의 죽음준비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61, P=0.014), 중재 후 실험군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F=154.15, P<0.001). 그러나 웰다잉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죽음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한 워크숍 형태의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웰다잉 인식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죽음준비인식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죽음과 관련된 인식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는 중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아동의 죽음 이해의 반응 탐색 - 그림책 읽기를 통한 사례연구 (Exploring Children's Reactions In Understanding Of Death - A Case Study Through Reading Picture Books)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12-62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죽음 이해 반응을 그림책 읽기 활동을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만 9살 아동 참여자 4명이 한 참여자 가정에서 총 4회에 걸쳐 모임을 하고 그림책 읽기와 관련 활동을 수행하였고 그 과정이 탐색 되었다. 그 결과, 이야기에 대한 인지적 이해에 각자의 종교적 가정이 반영되었다. 만약 이야기가 자신들의 가정과 맞지 않은 경우, 그들은 다양한 이해 전략을 사용하였다. 또한 참여자 아동들은 그림책 이야기를 통해 죽음 관련 기억들을 상기하고 자신의 상실 경험과 사회적 사건에 그 이야기를 적용하였다. 나아가 아동들은 도서를 읽고 난 후 오히려 삶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는 죽음 관련 도서들이 참여자 아이들에게 삶을 향한 열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최선으로 자신의 삶을 살도록 돕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에도 독서하는 동안 전개된 죽음에 대한 이해를 세부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첫 그림에 비하여 독서 후 두 번째 그림에서 삶의 기쁨이 더욱 밝은 색깔로서 자세히 표현되었다. 이 같은 삶을 향한 열정은 아동이 창작한 시어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죽음 관련 그림책 읽기는 죽음에 대한 이해를 전개하고 삶의 실제 경험을 반영하는 과정이며 아동에게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최선으로 살아가도록 독려하는 과정임이 드러났으며 이를 토대로 교육적 제안이 제시되었다.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Based on Q-Methodology)

  • 김선영;허성순;김분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1호
    • /
    • pp.10-1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와 주관성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간호학과 학생 8명, 호스피스전문병원 임상간호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102개의 Q-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Q-방법론의 전문가인 간호학과 교수 1명과 간호학과 박사과정 중인 2명의 의견 교환 및 재조정을 통하여 총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4년제 간호학과 학생 11명과 경기도 일개 3차 종합병원의 간호사 9명과 의사 2명을 대상으로 총 22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P-표본은 선정된 33개의 진술문을 강제 정상분포가 되도록 7점 척도 상에 분류하도록 하였고, 양극단에 분류한 진술문과 관련하여 추가 진술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QUANL Program으로 요인 분석하였다. 결과: 분류된 의료인의 웰다잉 의미 유형은 모두 3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형에 의해 설명된 전체 변량은 57.97%였다. 제1형은 '현실중시형'으로 부담 없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임종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제2형은 '관계중시형'으로 죽기 전 자선을 베풀고 주변인들과 화해와 용서의 시간을 갖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제3형은 '자연순응형'으로 살만큼 살다 가족의 간호를 받으며 임종하는 것에 의미를 두었다. 결론: 웰다잉에 관한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주관성은 임종을 맞이하는 환자간호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료인과 간호학생은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가져야 하며, 이를 위해 웰다잉에 대한 주관성 유형별 특징에 맞는 죽음교육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n Attitude to Euthanasia in University Students)

  • 박민정;정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91-398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이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대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 하였고, SPSS WIN Version 23.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안녕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의 정도는 각각 평균 2.75점, 3.69점 및 3.1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영적안녕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영적안녕의 하위영역인 종교적 안녕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인의 설명력은 12.7% 이었다. 이는 종교적 안녕이 높을수록 안락사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임을 의미하며 대학생의 안락사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서는 종교적 안녕을 고려해야 한다.

세월호 뉴스 노출을 통한 간접 외상의 심리적 영향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indirect trauma exposure through the news on the Sewol ferry disaster)

  • 이흥표;최윤경;이재호;이홍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411-430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 뉴스를 통한 간접 외상 노출의 심리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참가자들(N=439)은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 지 평균 68.11(±18.47)일이 경과한 후 일련의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여기에는 외상후 위기 체크리스트(Posttraumatic Risk Checklist: PRC), 사건 충격 척도(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및 다차원적 죽음불안 척도(Multidimensional Fear of Death Scale: MFODS)가 포함되었다. 재난 뉴스노출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죽음불안, 외상당시 및 외상후 위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죽음불안, 외상 당시 및 외상 후 위기는 초기 뉴스노출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난 직후의 뉴스노출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외상당시 및 외상후 위기를 유발하며, 이러한 위기 요인들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미래 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 PDF

데리다의 아카이브 위탁과 죽음충동의 장소 (Derrida's Archives: A Place of Consignment and Dearth Drive)

  • 윤은하
    • 기록학연구
    • /
    • 제81호
    • /
    • pp.133-157
    • /
    • 2024
  • 본 연구는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에서 드러난 아카이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데리다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근간으로, 아카이브에서 의미가 생성, 소멸되는 과정과 이에 작용하는 무의식적 욕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가 단순히 과거의 수동적인 기록보존소가 아닌, 현재와 미래의 기억을 끊임없이 재구성하는 능동적이고 복합적인 장소임을 밝혔다. 본 고에서는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을 근간으로 아카이브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긴장과 충돌, 기억의 선택과 배제 과정을 데리다의 위탁권력과 죽음충동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가 조손가정 조부모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 Raising Grandchildren)

  • 김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62-27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on somatization of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92 elderly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was recruited. The study instrument for death anxiety was the 5-point 15 items scale designed by Templer and translated by Ko, Choi, & Lee and for meaning of life, the 7-point 10-items scale by Steger, Frazier, Oishi & Kaler and translated by Won, Kim & Kwon. For somatization, the 5-point 12 items scale designed by Derogatis and translated by Kim, Kim & Won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Average scores were 3.55 for death anxiety, 3.43 for meaning of life, and 2.74 for somatization. Death anxiety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Meaning of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somatization.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were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but meaning of life was not shown to influence somatization.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death anxiety and health status influence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These results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importance of nursing interventions in which the variables influencing somatization i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re considered.

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자아존중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Death and Self-esteem on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 김춘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39-550
    • /
    • 2013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eaning in life(MIL)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identify the effects of death perception, including good death and concerns about dying, and self-esteem on MIL.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N=301).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MIL was 4.70 on a 7-point scale. The factor of purpose of life received highest score among all factors in MIL. MI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good death, and self-esteem. However, concerns about dy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IL. MIL showed a strong association with self-esteem(r=.72). Specifically, self-esteem(${\beta}$=.608), satisfaction of school life(${\beta}$=.190), relationship with parents(${\beta}$=.180), good death(${\beta}$=.080), school grades(${\beta}$=.078), and age(${\beta}$=.074) all significantly influenced MIL.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61.0%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factor for MIL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self-esteem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increase their MIL. These research findings can be utilized to support programs such as counseling and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감성지능이 생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Death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 of Life as meaningful)

  • 유명숙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0-9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ttitudes about death on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 of life as meaningful. Methods: In this study, 232 hospice volunteers who were serving at 3 university hospitals and 7 general hospitals for 6 months or longer.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January 20 to February 15, 201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tests, one way ANOVA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SPSS 21.0. Results: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 of life as meaningfu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ption of meaning were emotional intelligence, attitudes toward death, relig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se variables explained 41.0% of the variance in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 of life as meaningfu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ospice volunteers perceptions of life as meaningful can be changed positively by increas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attitudes about death.

병원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 박선희;이가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8-7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7 nurses working in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ity B.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8 to 21, 2022. SPSS/WIN 29.0 was used for analysis along with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ing of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death (r=.34, p<.001) and self-esteem (r=.31, p<.001). Self-esteem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F=16.00, p<.001). Conclusion: Self-esteem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This means that nurses with higher self-esteem have a greater tendency for their perception of death to positively impact their meaning of life. Therefore, for hospital nurs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specialized for each clinical ca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