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죽염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 성리;김신정;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30-536
    • /
    • 2014
  •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 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 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다양한 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gwort-Tofu with Various Salts)

  • 백용규;김성훈;박인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07-1311
    • /
    • 2008
  • 두부 제조 시 응고제로 $CaCl_2$을 사용하고, 두부에 간을 배게 하여 두부의 맛에 대한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정제염,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쑥두부의 수율, 일반성분, 조직감 측정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천일염, 죽염, 심층해염을 첨가한 쑥두부의 수율은 $202.29%{\sim}207.50%$로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수율 185.1%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 조단백질, 조회분의 함량은 다양한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에서는 hardness와 gumminess에서 실험군 쑥두부가 대조군 쑥두부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은 값을 보였지만 brittleness와 cohesiveness, chewiness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을 찾지 못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경도와 탄력성에선 유의적인 차이점이 없었지만 짠맛, 구수한 맛, 씹힘성, 전체적 기호도에선 대조군 쑥두부보다 염을 첨가한 실험군 쑥두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죽염 쑥두부와 심층해염 쑥두부에서 두부 맛에 영향을 미치는 구수한 맛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수소화물 발생-유도결합 플라즈마 원자 방출 분광법을 이용한 죽염중의 비소 종분리 분석 (Arsenic Speciation Aanalysis in Bamboo Salts by Hydride Generation-ICP-AES)

  • 유병규;유무상;선일식;조기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74-68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비소의 종분리 분석을 위하여 수소화물발생-ICP-AES를 이용하여 무기비소의 As(III)와 As(V)의 신호세기에 대한 citric acid와 HCl 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1.5% $NaBH_4$의 농도에서 HCl 농도 1.0 mol/L, citric acid의 농도 2.0%를 사용하였을 때 As(III)만을 선택 분리할 수 있었고, 정도관리 절차에 따라 분석방법을 수행했을 때 방법 검출한계는 0.003 mg/kg, 정량한계는 0.01 mg/kg으로 산출되었으며, 시료의 매질간섭을 확인하기 위한 매질첨가시료 분석과 정도관리시료 분석의 회수율은 80%~110%, 표준편차는 6.2%로 정밀도와 정확도에서도 만족할 만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정도관리시료로 분석한 결과값과 반복성에 의한 측정불확도를 산출하여 인증표준물질의 인증값과 불확도를 비교 통계 처리함으로써 분석방법에 대한 유의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방법에 따라 죽염 중에 존재하는 총 무기비소 분석과 비소 종분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무기비소의 함량은 0.05 mg/kg에서 0.21 mg/kg 정도로 나타났으며, 분석방법에 따른 여러 불확도 요인들의 표준불확도를 산출하여 죽염 중에 존재하는 As의 불확도를 구한 결과, As의 함량이 0.14 mg/kg에 대하여 확장불확도가 0.03 mg/kg(95% 신뢰수준, $k$=1.96)으로 최종 결과값의 21%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대부분 As(V)의 형태로 존재하며 일부 시료에 대해 As(III)의 함량이 각각 0.02 mg/kg으로 총 무기비소함량의 14.3%와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장 재료와 종균 첨가에 따른 고추장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and Meju Starters)

  • 박의성;허주희;주재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80-888
    • /
    • 2016
  • 고추장 재료(잡곡, 죽염)와 종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은 일반적인 고추장에 비해 수분 함량, pH, 산도, 색도는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고추장 시료는 발효기간이 지남에 따라 수분 함량은 증가하고 pH는 감소하였으며, 산도,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다. 잡곡과 죽염, 유산균이 들어간 혼합균주 스타터 고추장(MG-BS-ABL)은 6주간 발효되었을 때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의 양이 다른 고추장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관능평가에서 외관, 향기, 맛, 전반적인 기호도가 모두 다른 고추장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MG-BS-ABL군은 일반적인 고추장과 유사한 고추장의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관능평가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결과는 아마도 기장에 함유된 높은 단백질의 함유량과 죽염의 미네랄 조성,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 메주의 발효에 의한 것으로 생각한다.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Prepared with Various Salts)

  • 김혁;최차란;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2-80
    • /
    • 2007
  • 다양한 소금의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계염, 국산 천일염, 중국산 천일염, 멕시코산 천일염, 구운 소금, 죽염을 첨가하여 반죽과 식빵을 제조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로 측정한 반죽의 흡수율은 소금의 첨가로 감소하였으며, 기계염의 경우가 흡수율 감소가 작아 가장 높은 흡수율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면적과 저항면에서는 국산, 중국산, 멕시코산 천일염과 죽염 등이 크게 나타나 우수한 제빵적성을 보였다. Amylograph로 측정한 paste의 최고점도는 기계 염, 천일염, 세척탈수염 첨가군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구운 소금과 죽염 첨가군은 다소 높았다. 식빵의 비용적은 국산 천일염 첨가군이 4.11 mL/g으로 가장 작았으며 멕시코산 천일염 첨가군은 4.85 mL/g으로 부피 증가가 가장 컸다. 빵의 무게는 국산 천일염 첨가군에서 412.4g으로 가장 높아 굽기 손실율 에서 국산 천일염 첨가군(10.34%)이 다른 첨가군(10.91$\sim$11.65%)에 비해 낮았다. 식빵의 색도에서는 국산 천일염 첨가군의 경우 빵 껍질의 명도가 크고 적색도가 낮았고, 빵내부의 황색도는 높았으며, 다른 첨가군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초기의 식빵의 경도는 세척 탈수염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중국산 천일염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 1, 3, 5일 경과함에 따라 멕시코산 천일염과 중국산 천일염 첨가군은 경도가 크게 증가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소금의 종류에 따른 식빵의 내 외부적 제품 특성에서 국산 천일염 첨가군과 멕시코산 천일염 첨가군이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43-747
    • /
    • 2003
  • 소금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육저해 효과를 보면, 김치초기 생육균인 W. confusa가 3.0%의 저염소금, 제재염에서 5시간의 유도기 후 급격히 증식했으나 3.0%의 천일염, 죽염첨가시 유도기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나 이 소금들에 의해 생육이 약간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중기 생육균인 Lactobacillus delbruekii ss lactis나 Lactobacillus pentosus와 말기 생육균인 L. hamsteri는 3.0%의 사용된 소금 모두에서 12시간의 유도기 후 증식이 확인되었다. 소금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첨가했을 때 저염소금인 농도를 3.0%, 5.0%로 증가시킨 경우 W. confusa를 제외한 다른 균들의 유도기는 12시간으로 늘어났고 이 효과는 5.0%에서 더 컸다. 천일염, 죽염, 재제염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커질수록 생육저해 효과가 뚜렷했으며 김치 초기 생육균 W. confusa보다는 후기생육균인 L. hamsteri가 소금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커서 5.0% 천일염, 죽염, 재제염에서는 24시간까지 증식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초기우식법랑질 표면 하방에 미치는 죽염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bamboo salt on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 김애옥;김경희;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17-826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oo salts on remineralization effects on subsurface of artificial carious enamel. Methods: Incipient carious enamel was formed in permanent bovine incisors and then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andomly: 3% bamboo salt (BS), 2% (NaF) and the solution of mixed 3% BS and 2% NaF. For remineralization, specimens of each of the three groups were treated for 24 hrs at $37^{\circ}C$ incubator. After treatment, specimens were analyzed using SEM and VHN. Statistical analysis used was one-way ANOVA. Results: In SEM observation, the BS group showed narrower distances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The NaF and BS+NaF groups showed that the enamel rods near the surface were destructed, and innumerable round small particles were deposited near the surface of enamel. The BS+NaF group showed more minerals attachment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other groups. The differences in subsurface microhardness (${\Delta}VHN$) increased all of three groups in total by $80{\mu}m$. The ${\Delta}VHN$ of the BS+NaF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NaF and BS groups in depth of $50{\mu}m$, $80{\mu}m$. Conclusions: The 3% bamboo salt with 2% NaF solution was found to increase subsurface hardness of incipient caries enamel. Thus, bamboo salt will be us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n dental caries.

연구.학문.기술 -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

  • 김달래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1호
    • /
    • pp.94-97
    • /
    • 2008
  • 우리 주위에는 '어떤 음식이나 약을 먹으면 ○○에 좋다'는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한 때는 토마토가 암을 예방한다고 해서 가격이 올라가기도 했었고, 스쿠알렌, 죽염, 알로에, 오가피, 동충하초 등 여러 가지 건강식품이 등장했다 이내 시들해지곤 합니다. 하지만 이런 건강기능식품을 제대로 알고 먹지 않으면 각 체질에 따라 좋은 반응과 나쁜 반응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들은 골고루 음식을 먹으면 좋습니다. 그러나 정말 골고루 먹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거의 없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닙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평소에 먹어왔고, 가족들이 자주 먹는 친숙한 음식만 먹고 있습니다. 60대 중반의 목소리가 우렁찬 할아버지가 진료실에 왔습니다. 그 분은 20대 때 베트남에 파병되었고, 약 3년간 미군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매운 음식을 먹지 않게 되었는데 그 이후 위장병이 사라 졌으며, 지금까지도 김치를 물에 씻어서 먹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분의 체질은 소양인이었고, 매운 음식을 조심한 것이 만성 위장병을 치료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판단됩니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죽염을 이용한 우식예방 (Effects of bamboo salt on dental caries prevention)

  • 최충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9호
    • /
    • pp.552-557
    • /
    • 2012
  • Bamboo salt is a special processed salt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Recent study results showed that bamboo salt or bamboo salt with some other materials like herbal extracts ha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hibition effects of dental plaque and gingival inflammation. Bamboo salt also showed anti-cariogenic effects;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Compare to fluoride toothpaste, bomboo salt toothpaste with fluoride showed the more effective remineralization on inner part of the early dental caries lesion. It increased the surface hardness and decreased lesion depth of early dental caries lesion. Thus, it is suggested thai bamboo salt could be used as a anti-microbial, anti-plaque, anti-inflammatory and anti-cariogenic material for oral disease prevention. Especially, bamboo salt dentifrice with fluoride can be recommanded as a useful remineralizing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