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행성

Search Result 2,07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algorithm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and its 3D graphical simulation (무인자동차의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 및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 연구)

  • Cho, Young-Wan
    • Journal of IKEEE
    • /
    • v.14 no.4
    • /
    • pp.324-3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무인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제안된 자율주행 알고리즘은 주변 인접 차량의 위치, 속도, 가속도, 주행 차로 정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차량과의 충돌가능성 및 충돌예측시간을 계산하여 최적의 안정 주로를 선택하고 이러한 주행 차로에 대한 주행 궤적을 생성하여 추종토록 함으로써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다차로, 다차량 주행 환경에서 몇 가지 가상 도로 환경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자율주행 차량의주행 궤적을 인접 주행차량의 주행 궤적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시된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은 다차로, 다차량 주행 환경에서 주변 차량과 충돌 없이 안정적인주행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ENTOS-Based Platoon Driving Simulations Considering Variability (가변성을 고려하는 VENTOS 기반 군집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 Kim, Youngjae;Hong, Jang-Eui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2
    • /
    • pp.45-56
    • /
    • 2021
  • In platoon driving, several autonomous vehicles communicate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drive in a single cluster. The platooning technology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increasing road traffic,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pollutant emission by driving in short distance between vehicles. However, the short distance makes it more difficult to cope with an emergency accident,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safety of platoon driving, which must be secured. In particular, the unexpected situation, i.e., variability that may appear during driving can adversely affect the safety of platoon driving. Because such variability is difficult to predict and reproduce, preparing safety guards to prevent risks arising from variability is a challenging work. In this paper, we studied a simulation method to avoid the risk due to the variability that may occur while platoon driving. In order to simulate safe platoon driving, we develop diverse scenarios considering the variability, design and apply safety guards to handle the variability, and extends the detail functions of VENTOS, an open source platooning simulator.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we have confirmed that the risks caused form the variability can be removed, and safe platoon driving is possible. We believe that our simulation approach will contribute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o ensure safety in platoon driving.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 Kim, Yong-Hun;Kim, Hye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5
    • /
    • pp.10-18
    • /
    • 2017
  • 본고에서는 자율주행 완성차와 자율주행 융합 부품 관련 기술과 국내외의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정책과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자율주행 차량은 고안전, 고편의, 친환경, 신생태계의 자동차 산업에서의 4가지 미래 키워드를 만족시키는 기술로서 국가차원의 전략적 양성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은 자동차 산업 생산기반 및 우리나라의 IT, 반도체 등의 기술 활용이 가능하며, 아직 상용화 되지 않은 분야로서 자율주행 분야의 상용화 기술 조기 확보 시 세계시장을 선점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완성차 및 부품업체 등의 복수 수요기관이 참여하여 중소, 중견 부품업체 수요처 다각화 및 생태계 체질 개선, 자율주행 핵심부품 및 제어를 위한 SW 등 원천기술 확보 및 수입대체,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 센서 선도기술 개발 및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을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전장 부품이 자동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안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의무 장착을 강화시키는 추세이며 차량 안전 확보를 위해 전자제어장치의 기능 안정성의 중요성과 기술 표준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자동차 기능 안전선 국제 표준을 규격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의 자율주행차량 분야의 산업 현황과 기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 표준에 관하여 알아본다.

Development of Predicting Models of the Operating Speed and Operating environment Satisfaction Model in Expressways (고속도로의 주행속도예측 및 주행환경만족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ang-Uk;Jang, Il-Jun;Kim, Jeong-Hyeon;Lee, Su-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2
    • /
    • pp.117-131
    • /
    • 2009
  • When most drivers take to the freeway, they don't necessarily pay attention to the geometric design. They expect proper design by depending on their own senses and recognition. When they evaluate the features of traveling on the freeway, they can think differently than engineers. The design needs to predict the exact speed of the driver to satisfy the driver's expectation, safety, pleasure and so 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peed of six freeways considering geometric and operational features to make a prediction model of speed. The model use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se factors and produced statically appropriate results. This study utilized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the quantification II analysis based on the image data of the satisfaction of the traveling environment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in a traveling environment. It made a satisfaction model of the traveling environment on freeways considering the change of driver's actual recognition and societal recogni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s and the quantification II theory. Through the model made in this study, This model can present not only qualitative factors like satisfaction of traveling environment on freeways, but also the quantitative elements like speed. What is important is the evaluation of features of traveling on freeways reflected in the recognition and traffic environment felt by drivers.

Odometry Error Compensation for Mobile Robot Navigation Using Gyroscope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주행기록계 오차 보상)

  • Kim, Il-Taek;Kazuki, Nakazawa;Hong, Suk-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206-220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주행기록계에 대한 오차 보상을 제안한다. 자율이동로봇의 주행 시 주행기록계는 슬립과 마찰 등으로 인해 많은 방향각에 대해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서 주행기록계에만 의존하여 주행하기 힘들다. 주행기록계가 슬립과, 회전에 대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방향각에 대해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자이로스코프로부터 얻은 데이터와 주행기록계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주행기록계의 오차누적에 의한 이동로봇의 방향각에 대한 비정확성을 보상하기 위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주행 시 주행기록계의 값을 신뢰하고 자율이동로봇의 순간적인 각도변화에 대해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였다. 이동로봇의 직진 주행 실험 결과 주행기록계만을 사용하여 주행했을 때는 방향각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주행기록계와 자이로스코프의 데이터를 융합하여 적용한 시스템의 성능이 주행기록계만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정확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동로봇의 안정성 있는 경로 추종을 통해 이동로봇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의 작업이 기대된다.

  • PDF

자율주행 대중교통 공공성 확보를 위한 쟁점과 개선방향

  • Kim, Gyu-O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4 no.1
    • /
    • pp.73-83
    • /
    • 2019
  • 현재 자율주행 셔틀, 택시, 공유 차량을 이용한 교통서비스제공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에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는 자율주행 셔틀을 활용한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실증을 경쟁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율주행 셔틀 기술 개발과 실증 현황을 소개하고 대중교통 분야에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여 서비스제공 측면, 자율주행 기술과 안전성 확보 측면, 인프라 확충 측면, 수용성 개선 측면의 쟁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쟁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of a Highway Geometric Design Consistency Evaluation Model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일관성 평가모형의 개발)

  • 최재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195-212
    • /
    • 1998
  • 본 연구는 새로운 설계일관성 검토기법의 정립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속도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주 요소를 고려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즉 평면곡선에서는 운전자의 시각적 판단을 기초로 등판차량의 주행속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속도추정이 승용차뿐만 아니라 트럭의 경우로 나누어 이루어짐으로써, 차종별 고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결과이다. 평면곡선에서는 승용차와 트럭의 속도가 같게 추정되었으며, 시거를 통해 산정된 추정속도는 곡선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종단선형에서 승용차의 속도는 구배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트럭은 구배의 영향으로 속도가 감소한다. 이 때 트럭에 작용되는 가속도는 모두 세 종류로써, 첫째, crawl speed에 도달할 때까지 작용한 가속도$(a_1)$와 둘째, crawl speed 이후 작용한 가속도$(a_2)$ 그리고 셋째, 하향구배 주행시 작용된 가속도$(a_3)$로 구분된다. Watanatade가 제시한 것과 같이 평지에서 나타나는 평면곡선의 주행속도와 구배지에서의 속도를 단순 비교 함으로써, 작은 속도의 궤적을 따라 평지에서 나타나는 평면곡선의 주행속도와 구배지에서의 속도를 단순 비교함으로써, 작은 속도의 궤적을 따라 합성선형의 속도를 추정하는 것은 합성선형이 차량의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모형에서는 합성선형의 영향을 고려하여 승용차와 트럭의 주행속도를 추정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으로 주행속도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로의 설계일관성을 검토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며 향후 운전자의 희망속도 결정, 감속율의 산정, 교통류의 고려, 도로설계의 전산화 자료와 연결 등을 통해 보다 실용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utomated Driving Aggressiveness for Traffic Management in Automated Driving Environments (자율주행기반 교통운영관리를 위한 ADA 개념 정립 및 적용 기법 개발)

  • LEE, Seolyoung;OH, Minsoo;OH, Cheol;JEONG, Eunb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6 no.1
    • /
    • pp.38-50
    • /
    • 2018
  • Emerging automated driving environments will lead to a mixed traffic flow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automated vehicles (AVs) and manually driven vehicles (MVs) because the market penetration rate (MPR) of AVs will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traffic conditions, and developing a method to control both AV and MV maneuverings smoothly is a backbone of the traffic management in the era of automated driving. To facilitate smooth vehicle interactions, the maneuvering of AVs should be properly determined by various traffic and road conditions, which motivates this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ggressiveness of AV maneuvering, defined as automated driving aggressiveness (ADA), affect the performance of mixed traffic flow. VISSIM microscopic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rive proper ADAs for satisfying both the traffic safety and the operational efficiency. Traffic conflict rates and average travel speeds were used as indicators for the performance of safety and operations. While conducting simulations, level of service(LOS) and market penetration rate(MPR) of AVs we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s. Results implies that an effective guideline to manage the ADA under various traffic and road conditions needs to b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traffic operations to optimize traffic performances.

Methodology for Evaluating Cycling Environment using GPS-based Probe Bicycle Speed Data (GPS프로브 자전거 주행속도를 이용한 자전거 주행환경 평가방법론)

  • Hong, Du-Ho;Kil, Eun-Ji;Kim, Su-Jin;Joo, Shin-Hye;Oh, 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4 no.2
    • /
    • pp.73-81
    • /
    • 2012
  • The bicycle is an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 mode leading to a more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 To innovatively increase the use of bicycle as a significant transport mode, bicycling-friendly roadway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rom this perspective, the scientific and effective assessment of roadway environment in term of the bicyclist perception for safety and comfortability is of keen interest.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for evaluation cycling environment using probe bicycl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based speedometer was used to collect bicycle speed data. Cycling comfortability index(CCI) was deriv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cycling environment. The proposed CCI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ssessment tool in the field of bicycle transportation.

Impact Analysis of Connected-Automated Driving Services on Urban Roads Using Micro-simulation (미시교통시뮬레이션 기반 도심도로 자율협력주행 서비스 효과 분석)

  • Lee, Ji-yeon;Son, Seung-neo;Park, Ji-hyeok;So, Jaehyun(Jas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1
    • /
    • pp.91-104
    • /
    • 2022
  • The operational design domain (ODD) of autonomous vehicles needs to be expanded on highways and urban roads in light of the substantial commercialization of Level 3 autonomous vehicl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specific infrastructure autonomous vehicle-based cooperative driving service to ensure the driving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on city roads. The traffic operation efficiency, safety evaluation, and core evaluation indices for each service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study the effect of each servi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raffic operation efficiency and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were improved through the V2X communication-based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service. On the who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deriving the effect of the autonomous cooperative driving service based on V2X communication on urban roads with interrupting traffic 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