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hodology for Evaluating Cycling Environment using GPS-based Probe Bicycle Speed Data

GPS프로브 자전거 주행속도를 이용한 자전거 주행환경 평가방법론

  • 홍두호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길은지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수진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주신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1.08.16
  • Accepted : 2012.01.31
  • Published : 2012.04.15

Abstract

The bicycle is an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 mode leading to a more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 To innovatively increase the use of bicycle as a significant transport mode, bicycling-friendly roadway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From this perspective, the scientific and effective assessment of roadway environment in term of the bicyclist perception for safety and comfortability is of keen interest.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for evaluation cycling environment using probe bicycl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based speedometer was used to collect bicycle speed data. Cycling comfortability index(CCI) was deriv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cycling environment. The proposed CCI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ssessment tool in the field of bicycle transportation.

자전거는 에너지 소모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지속가능한 녹색교통수단으로 정부는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 시장규모 증가와 함께 자전거 사고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KHCM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전거도로 평가는 자전거도로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효과척도를 적용하여 자전거의 이동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수집을 통해 도로를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전거에 장착된 GPS수신기를 활용한 자전거 주행환경 평가 방안으로 수집된 자전거 주행속도자료를 이용하여 모든 자전거도로에 적용 가능한 구간단위의 자전거 주행환경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주행쾌적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자전거GPS속도계를 장착한 실험자전거를 이용하여 도로선형, 신호교차로 및 과속방지턱의 유무 등 주행환경이 다른 자전거도로의 속도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시간동안 자전거 주행환경평가를 위해 자전거 주행속도 감소량을 분석하여 주행쾌적성을 0~1 사이의 값으로 계량화한 CCI(Cycling Comfortability Index)를 개발하였다. 실험구간별로 산출된 CCI를 분석한 결과, 주행쾌적성은 신호교차로와 종단구배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에 따른 LOCC(Level of Cycling Comfortability)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GPS수신기를 장착한 공공자전거에 적용하여 자전거 교통의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발전시키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도해양부, 도로용량편람, 2001
  2. 김경환(2011), "적응 뉴로-퍼지를 이용한 자전거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1권, 제2호, pp.217-225
  3. 도로교통공단, http://www.koroad.or.kr, 2011
  4. 신희철(2009),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자전거 도로 네트워크 구상", 교통으로 여는 녹색 미래, 행정안전부
  5. 이겨라(2009)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이용자 중심의 자전거 서비스 수준 모형 개발", 한국 ITS학회, 한국ITS학회 논문지, 제8권, 통권22호, pp.118-127
  6. 이수동(2008)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차도에 안전한 자전거 전용도로 만들기",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7. 최병길, 박홍기, 나영우(2011), "주변 환경요소를 고려한 자전거 도로 설계 개선 및 정보제공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9권, 제1호, pp.11-20
  8. 황호영(2004)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 만족 사례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한국체육교육학회, 제9권, 제1호, pp105-111
  9. Alaitz Linares, Hernan Gonzalo_Orden, Marta Rojo(2010), "Applying Road Safety Audits to Bik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9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0. Klobucar, Michael S, Fricker, Jon D, "Network Evaluation Tool to Improve Real and Perceived Bicycle Safet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Issue2031, pp.25-33
  11. Luttrell P.E., Greg(2006), "Nonmotor Vehicle-Bicycle Crash Causal Factors Using Self-Reported Data: Initial Explo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2. Petritsch, Theodore Anton, Landis, Bruce W, Huang, Herman F , McLeod, Peyton Stewart, Guttenplan, Martin Crider, Linda B(2007), "Video Simulation of Roadway Bicycl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6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3. Thomas, Natacha Elisabeth(2006),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at Midblock for Bicycle Faciliti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5th Annual Meeting,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