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파수

검색결과 18,793건 처리시간 0.042초

재난통신용 주파수 후보대역과 효율적 활용방안

  • 이상윤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10호
    • /
    • pp.19-24
    • /
    • 2014
  • 광대역 기술을 적용한 재난통신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주파수 자원 확보에 관해서도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LTE를 이용한 광대역 시스템용 주파수가 분배가 논의되고 있고, 국제 조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ITU-R에서도 광대역 PPDR 주파수 대역 분배를 논의 중에 있다. 재난통신용 주파수 대역 선정을 위해서는 재난통신용도의 활용 적합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경제적 망 구축 가능성, 국제적 조화 주파수 여부, 적기 활용 가능성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대역으로는 700MHz 대역이 가장 적합한 후보대역으로 판단된다. 주파수 활용이 평시, 재난시에 따라 크게 변하는 재난통신용 트래픽 특성을 고려할 때 평시의 효율적 주파수 활용방안 강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철도, 연안선박 광대역 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재난통신망 주파수의 이용 효율성을 증대할 뿐만 아니라 공공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공공용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해외 주요국의 4G 주파수 경매 동향분석 (A Trend Analysis of 4G Spectrum Auctions for Major Countries)

  • 안춘수;여인갑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7권1호
    • /
    • pp.136-146
    • /
    • 2012
  • 해외 주요국들은 원활한 모바일 브로드밴드 환경 구축 및 서비스 보급을 위한 주파수 확보와 할당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모바일 브로드밴드 보급을 국가적 전략 목표로 세우고, LTE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digital dividend 대역을 포함한 4G 주파수 경매를 완료하였거나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11년 8월에 최초로 주파수 경매를 실시하였으며, 주파수 수요조사 미흡 및 과열경쟁, 경매 방식에 따른 승자의 저주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2012년 디지털 방송 전환으로 인한 700MHz 주파수 대역에 대한 경매 이슈가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원활한 4G 서비스 전개 및 효율적인 주파수 할당을 위해서 국내 주파수 경매제도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을 목표로 하여, 해외 주요국들의 4G 주파수 경매 할당 동향을 비교, 분석하고, 주요 이슈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향후 국내의 성공적인 주파수 경매제를 위한 운영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다중 주파수 옵셋에 의한 채널간 간섭 제거기법 (ICI Cancellation of OFDM Systems with Multiple Frequency offsets)

  • 원유준;서보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46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FDM)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다중 주파수 옵셋의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중 주파수 옵셋은 서로 다른 송신기로부터 동일한 신호를 수신할 때, 두 송신기의 발진 주파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광대역 전송 시스템의 변복조 방식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OFDM 방식은 대역효율이 높고 채널 추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OFDM 방식은 주파수 옵셋에 매우 민감 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간 영역에서의 1차적인 주파수 보정과 주파수 영역에서의 2차적인 채널간 간섭 제거방법을 적용하여 다중주파수 옵셋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정지궤도 복합위성 주파수 및 궤도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 현황 분석

  • 백명진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1.1-181.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기상관측용 기상위성과 해양 및 환경관측용 해양/환경위성으로 계획되어있다. 기상위성은 2017년 발사, 해양/환경위성은 2018년 발사를 목표로 연구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정지궤도위성은 주파수 및 궤도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국제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위성의 궤도위치와 주파수 자원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연구는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 업무용 주파수 자원에 대한 관련 전파규칙 분석 작업 등의 업무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정지궤도 복합위성은 관제용 주파수 대역으로 L 대역 또는 S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고, 기상, 해양 및 환경 원시 데이터 전송용 주파수 대역은 X 또는 Ka 대역이 가용 주파수 대역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기상위성업무용 및 지구탐사위성업무용으로 가용한 L, S, X 및 Ka 주파수 대역을 검토하였고, 동 대역을 이용하여 국제등록 중인 위성망과 주요 위성망들의 전송제원 등에 대한 국제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작성된 자료들은 향후 우리나라 정지궤도 위성망 궤도 및 주파수 자원 확보를 위한 국제등록에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 PDF

DDS를 이용한 광대역 고속 주파수 합성기 (A Wideband High-Speed Frequency Synthesizer Using DDS)

  • 박범준;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251-125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6~13 GHz 주파수 범위에서 30 kHz 이하의 주파수 분해능과 500 ns 이하의 동조 속도를 갖는 광대역 고속 주파수 합성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광대역에서 빠른 동조 속도와 우수한 위상잡음 특성, 고해상도 주파수 특성을 얻기 위해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와 아날로그 직접 주파수 합성기술을 적용하여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광대역 주파수 합성기의 위상잡음 특성을 중첩의 원리를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작된 주파수 합성기의 주파수 동조 속도는 500 ns 이하, 위상잡음은 최고 주파수에서 -106 dBc @ 10 kHz 이하, 주파수 정확도는 ${\pm}2kHz$ 이하로 측정 되었다.

FSK-주파수 도약 데이터 통신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의 영향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in FSK-Frequency-hopped data communications)

  • 송인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79-886
    • /
    • 2003
  •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주파수 도약을 위해 주파수 합성기가 널리 이용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무선 디지털 데이터 전송 성능을 얻기 위한 FH-FSK 통신에 미치는 주파수 합성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LL의 성능을 좌우하는 위상 변화, 스퓨리어스의 발생, PLL의 과도응답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파수 도약율 등 여러 가지 파라미터들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였다. 전형적인 PLL을 사용한 주파수 도약 시스템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신호를 국부 발진기에서 만들어낸다. 반송파 간격이 협대역인 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일 경우에는 빠른 주파수 도약을 위한 PLL의 구현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CPM 변조기를 사용하여 빠른 주파수 도약을 위한 PLL 구현이 가능함을 Matlab tool를 사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분석할 수 있었다.

3.5 GHz대역 주파수 공동사용 정책 및 기술추진 동향

  • 최주평;이원철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11호
    • /
    • pp.41-49
    • /
    • 2015
  • 현대 사회는 스마트폰 사용량의 급증으로 인한 모바일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와 IoT(Internet of Things)를 비롯한 융복합 유무선 서비스의 확대 등으로 국가적으로 한정적 자원인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을 인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용도의 무선기기들이 한정적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파수 공동사용에 대한 정책도입 및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요 대비 공급 부족 현상이 점차 심각해 지고 있는 한정적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주파수 공동사용 기술에 대한 국내외 관련 정책 및 기술추진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고에서는 2010년 국가광대역계획(NBP, National Broadband Plan) 발표를 시작으로 전 세계적으로 주파수 공동사용 추진에 있어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는 미국에서의 3.5GHz 대역 주파수 공동사용을 위한 전파규칙인 CFR(Code of Federal Regulation) Part 96의 주요 내용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 고의 II장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주파수 공동사용 정책추진 현황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III장에서는 올해 4월 최종 전파규칙이 발표된 미국의 SAS(Spectrum Access System) 기반 주파수 공동사용 전파규칙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IV장에서는 SAS 기반의 주파수 공동사용 기법 및 기존에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동적 스펙트럼 접속 기법들을 미국 내 주요 도심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대규모 테스트베드 프로그램인'Model City'프로그램 소개 및 결론을 통하여 주파수 공동사용 도입의 당위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에서 주파수 옵셋 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한 디지털 M/W 전송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Digital M/W Transmission System adopting Frequency Offset Compensation Algorithm in Multipath Fading Channel)

  • 박기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3-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을 고려한 환경에서 디지털 M/W전송 시스템의 동기에 관한 모의 시뮬레이터를 구성하여 주파수 동기를 수행하였고, 송신단과 수신단의 주파수 허용 편차(오실레이터 간 오차 범위)로 발생되는 주파수 옵셋에 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신호 성좌도(constellation)의 성능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송 수신단의 주파수 허용 편차가 큰 상태에서는 주파수 옵셋을 보상해도 주파수 허용 편차가 이미 크기 때문에 잔류 주파수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송수신단의 주파수 허용 편차에 따라 잔류 주파수 옵셋이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물은 향후 방송중계용 시스템의 대역 이전 시 필요한 주파수 동기 기준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RuO_2$계 후막저항체의 교류 임피던스 특성 (A.C.impedance properties on $RuO_2$-based thick film resistors)

  • 구본급;김호기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3권4호
    • /
    • pp.315-324
    • /
    • 1990
  • 저저항(DuPont 1721, 100.OMEGA./sq.)과 고저항(1741, 10K.OMEGA./sq.)의 두 Ru계 후막저항체를 여러 조건에서 소결하여 소결막의 복소임피던스 특성과 임피던스의 주파수의존성을 1KHz-13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조사하였다. 저저항 1721계의 경우 600.deg.C이상에서 소결한 모든 시편이 거의 저항성분(R)만으로 구성된 등가회로에 해당되는 복소임피던스 거동을 보였으며 임피던스에 미치는 주파수 의존성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5KHz까지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가 없다가 그 이상의 주파수에서 주파수 증가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였다. 고저항 1741 후막저항체의 경우는 소결조건에 따라 복소임피던스 거동과 임피던스에 미치는 주파수 의존성이 달리 나타났다. 600.deg.C에서는 용량(C) 성분만으로 구성된 등가회로에 해당하는 복소임피던스 거동을 얻었고 주파수 증가에 따라 임피던스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으며 700.deg.C이상 900.deg.C까지는 저항(R)과 용량(C)이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의 등가회로에 해당하는 복소임피던스 거동을 얻었고 이때의 임피던스의 주파수 의존성은 저주파수 영역에서는 임피던스가 주파수에 변함없이 일정하다가 5KHz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주파수 증가에 따라 임피던스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1000.deg.C반응에서의 복소임피던스 거동은 RCL성분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의 등가회로에 해당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임피던스도 작아지고 주차수 의존성도 현저하지 않았다.

  • PDF

오디오 이퀄라이저를 위한 주파수 응답의 고속 그래픽 표현 방법 (Fast Graphic Visualization of Frequency Response for Audio Equalizer)

  • 김기준;박호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32-6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이퀄라이저의 정확한 주파수 응답을 그래픽으로 빠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주파수 축을 로그 스케일로 나타낼 경우 저대역의 정확한 주파수 응답을 표현하기 위하여 높은 해상도로 주파수 응답을 구해야 한다. 그러나 높은 해상도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기 위해 많은 계산량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응답의 그래픽 표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계산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낮은 해상도로 중대역에서 구한 가상 주파수 응답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퀄라이저를 구성하는 각 필터에 대하여 중대역에서 가상 주파수 응답을 구한 후 원하는 주파수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고, 모든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결합하여 이퀄라이저의 최종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으로 구한 주파수 응답이 많은 계산량을 사용하여 높은 해상도로 구한 주파수 응답과 동등한 모양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