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택구성 요소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소규모 공동주택 소유자의 유지관리 업무에 대한 의식구조 분석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Maintenance Work of Small-scale Apartment Owners)

  • 차창진;윤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647-656
    • /
    • 2019
  • 본 논문은 소규모 공동주택 소유자를 대상으로 건축물유지관리업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논문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건축물유지관리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하여 유지관리업무의 구성요소들을 추출하고, 그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수준의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인 주택유지관리에 있어 '시설 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입주 관리', '보안 관리', 그리고 '유지관리 행정' 순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둘째, 2차 수준의 분석 결과, 유지관리 행정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예산 결산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시설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청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보안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차량에 대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마지막으로 입주 관리의 하위요인들에서는 관리업무 홍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소규모 공동주택의 관리를 위해 지자체별 관리 공단을 설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에 이른다.

공간 가변형 공동주택의 복합구조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osition structural system for the apartment with space variability)

  • 구교준;이정철;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3-357
    • /
    • 2007
  • 경제수준 및 주거수준 향상에 따른 생활양식의 변화로 공동주택 입주자의 가족 구성과 주거 선호도가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라이프 싸이클 및 라이프 스타일 만족을 위한 리모델링과 조기 재건축이 늘어나고 있으며, 공동주택 주거 계획의 핵심요소로써 오픈 하우징의 개념인 "가변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거공간에 공간 가변성을 채택한 공동주택들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구조 안정성, 경제성 및 거주자 사용성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공간 가변형 복합구조시스템은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공간 가변형 공동주택의 복합구조시스템 개발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시스템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각 시스템을 비교${\cdot}$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모듈화된 시스템 개발을 위한 현행 가변형 구조시스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단독주택 내부의 평면적 구성방식과 입체적 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i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Family Houses which were Designed by Architect)

  • 이유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9-95
    • /
    • 200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i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family house which were designed by architects. For that purpose, plans, pictures and data of Korean single-family 113 houses which appeared in architectural publications from 1998.7 to 2002.6.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the ratio of southern-facing is higher in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than in dining room and kitchen; 2) spatial elements of master bedroom are bedroom, bathroom and dressroom, those of dining room and kitchen are dining room, kitchen and multipurpose room and those of family bathroom are bathroom and restroom; 3) the living room does no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lan; 4) the ratio of exterior door is higher in kitchen and master bedroom than in dinning room and living room; 5) stairs located in hall, corridor, livingroom etc., 6) there are void spaces in about half of houses which were collected.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수익모델 개발과 타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Profit Model and Analyzing Validity for Remodelling of Apartment Houses)

  • 김의식;표지명;안민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57-264
    • /
    • 2004
  • 공동주택 수익모델의 가치를 형성하는 요소 중 영향도가 큰 물리적 요소는 주택의 평형변화로서 이를 중심으로 리모델링의 대안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가치형성요인과 공간구성기법을 이용한 큰 평형의 세대를 작은 평형의 세대로 분할하는 모델과 작은 평형의 세대를 통합하여 큰 평형의 세대로 변환하는 모델의 수익모델을 설정하여 경제성은 '보통'이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평가값은 할인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리모델링의 경제성이 우수해지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서울시 고급 주택지역의 형성요인과 분포 분석 (The Formation Factors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High-Class Residential Areas in Seoul)

  • 김민회;김태현;홍선관;김홍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7
    • /
    • 2005
  • 도시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큰 특징이며 도시가 성장하면서 과거의 기능이 변화하고 도시내부의 공간구조가 점차 기능적으로 분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 중의 하나는 주거지역의 입지변화와 공간적 확산과정에서 나타나는 주거지 분화현상이다. 도시생태학자 Hoyt은 주거지 이동패턴에 대하여 도시 내의 주거지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최고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부유층의 주거입지 선택에 따라 전체 도시의 계층별 주거분포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울은 소규모로 계획된 역사도시에서 인구 1000만의 대도시로 성장하여 오면서 많은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여 현재의 공간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전체 서울의 주택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고 각종 주위환경에 따른 성격과 특성을 달리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특성을 달리하는 주택지들이 모여서 각기 상이한 역할을 수행하고 서로 기능적 관계를 맺으면서 주택지를 형성하고 있다. 선형이론(Hoyt's Sector theory)에 따르면 고급주택지역의 도시 공간구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의 고급주택지역의 분포와 그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급주택지역의 분포를 형성하는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고급주택지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여 그 입지 성향과 특성을 알게 되면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특히 주거지계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공동주택용 국내.외 감지기의 설치 및 시험 기준 비교

  • 손봉세;이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68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체 화재발생 건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주거공간에 대한 화재 및 인명안전의 개선 대책에 관한 기초연구이다. 주거공간은 다른 어떠한 방호공간보다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되는 소방대상물이다. 국내의 주거공간을 대표하는 공동주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화재감시시스템이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도 감지기의 성능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지기의 성능은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일본의 경우는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준으로 제정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미국은 공동주택 전용의 화재감시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화재특성 및 화재하중 등에 대한 시험을 통해 다양한 방호공간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한 코드가 정립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동주택에 적합한 전용 화재감시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연구로서 국내와 방재선진외국의 감지기 설치 및 성능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설치 및 시험 기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초고층 아파트 최적설비 시스템

  • 김종필
    • 기계저널
    • /
    • 제32권3호
    • /
    • pp.230-240
    • /
    • 1992
  • 이 글에서는 국내 특성에 적합한 초고층아파트 설비시스템의 설계기법 확립 및 설비시스템의 최적모델을 정립함으로써 초고층 아파트 설비시스템의 효율향상은 물론 공사비절감, 품질향상, 공기단축 등의 효과를 통해 양질의 저렴한 주택의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건설업의 대외개방에 대비한 국제경쟁력을 고취시키는데 필요한 초고층아파트 수직통로내의 열유동현상, 배관부식 방지기법 및 설비시스템의 구성요소별 설계방안 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공공주택 사업지구의 수요평가모델 구축 연구 (Housing Need and Demand Assessment: Focused on Public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 지규현;이소영;김용순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47-257
    • /
    • 2014
  • 본 연구는 최근 임대 및 소규모 위주의 공공주택정책과 개발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소규모 주택사업지구와 행복주택사업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주택수요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공공주택 사업지구의 수요평가모델은 정량적 평가요소인 잠재소요지표, 수요압력지표와 정성적 평가요소인 지역여건지표로 구성된다. 소규모 주택사업지구의 잠재소요지표는 읍 면 동 단위의 해당 지역에서 도출된 잠재소요량에서 기 공급된 건설임대와 매입 임대 재고물량을 차감하여 산출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실제소요물량과 신규공급계획물량을 비교하여 공급의 미달, 적정, 초과를 판단하였다. 도심 내 젊은 층을 위한 행복주택사업지구의 경우 잠재소요지표는 시 군 구 단위의 해당 지역에서 행복주택공급대상계층인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임차여부, 소득요건 등을 바탕으로 추정하였다. 중소도시 및 농어촌지역 소규모 주택사업지구의 경우 수요압력지표는 해당 지역의 청약저축가입자수, 기초생활보장수급자수, 국가보훈대상자수와 각각의 무주택가구수 대비 비중으로 산출하였다. 다만 지역여건지표와 산업단지 개발 등 향후 인구유발요인 등을 감안하여 후보지 선정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행복주택사업지구의 수요압력지표는 해당지역의 소형주택재고비율, 전세가격상승률, 전세가격수준, 월세거주가구비율로 하였고 이를 전국 및 해당 시 도 평균과 비교하여 수요압력 정도를 판단하였다. 또한 행복주택의 사업여건이나 입지경쟁력과 관련된 대중교통이용여건, 주변시설현황, 중심지와의 거리, 지역개발현황 등의 지역여건지표를 바탕으로 최종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국 현대주택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 1990년 이후 건축각각 설계한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ity in Modern Korean Houses of the 1990's Designed by Architects)

  • 류호정;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2-12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lassify into types of traditionality reflected in modern Korean houses in 1990's designed by architec Modern houses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nalysis is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space-pl structural elements ornamental elements.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defined as 'Indic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Decorative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Eclectic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Contemporary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 'Abstract expression of the tradition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mporary or Abstract expression of traditionality(type IV and V) were major types of modern Korean houses expressed traditionality. This reveals that in order to apply traditionality to the modern houses, simplifed and sbstracted for were preferred comparing with the direct imitation of traditional forms.

  • PDF

주택공급전략 타당성 검토를 위한 시스템다내믹스 모델 개발 (A System Dynamics Model for Analyzing the Effect of Housing Supply Policies)

  • 황성주;박문서;이현수;김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35-45
    • /
    • 2011
  • 최근 한국 주택시장의 혼재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인해 공급기반 강화 전략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2008년 이후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한 주택시장의 침체로 미분양주택 해소 및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주택공급조절과 주택공급확대라는 서로 상반된 목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정책결정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분양해소 및 서민주거확대를 위한 주택정책 적용 시 주택시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변수 간 관계들의 구조적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정책 실효성을 분석하는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을 개발한다. 개발된 모텔에 다양한 정책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가능한 정책대안들을 평가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민간을 배제한 공공 주도의 공급정책 및 미분양주택 해결을 위한 민간 주택건설 규제는 건설시장의 자율조절기능을 위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 주택건설의 자율적 조절기능을 지원하는 정책을 마련해야 민간 주택시장의 공급체계 안정화 및 수요-공급 조절기능의 정상화를 이룰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