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차장 확대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 Kim, Duk-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7 no.2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Developing Aged-Housing Remodeling Technology for Improving Structural and Equipment Performance;Introduction of Center for Aged-housing Remodeling Technology (노후 공동주택 구조 및 설비성능개선 기술 개발;연구단 소개)

  • Han, Ju-Yeoun;Cha, He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233-239
    • /
    • 2006
  • As the number of aged-housing has been rapidly increased, many kinds of defects and problems such as degeneration of housing environment, structural performance, and equipment performance have been appeared. The reconstruction as the way to improve the aged-housing has been used mostly because the legal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is relatively easy. On the other hand, it has caused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natural aggregate, the environmental damages owing to construction wastes, the loss of national resources, and the lack of the housing for rent nearby the reconstruction area. This problems limit active tying into the reconstruction business at present in the industrial and political perspective. In this context, it is required to revitalize the remodeling rather than the reconstruction. In order to reach this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user-oriented performance for the housing industry and developing the new technolog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more revitalize the remodeling as tying researches in terms of design, structure, equipment, and construction.

  • PDF

A Study on Fire Risk of Apartment House with Pilotis Structure - Focused on the Fire case of Uijeongbu-si Urban Livig Homes -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화재 위험성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 도시형아파트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

  • Choi, Seung-Bok;Choi, Don-Mo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3
    • /
    • pp.48-54
    • /
    • 2016
  • Pilotis are support columns that lift a building above the ground. Thus, they can elevate the lowest floor to the secondfloor level and, in Korea, are used to leav a parking area below multifamily housing. However, if there is a fire in the piloti area, the cars and main entrance door are wrapped in flames. Due to the inflammability of the materials, the combustion of the cars and insulation at the ceiling of the pilotis, having a high heat release rate, can quickly destroy the front entrance of the building and spread heat, flames and a poisonous gas to the stairs and elevator pit. Therefore, the fire can quickly spread to the whole building, putting the lives of the residents in danger. This study was an in-depth accidental case study of the "Uijeongbu Fire Accident" that killed 5 residents and injured 139 others. The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re at the piloti structure of multifamily housing and the vulnerability of this structure and its inherent weaknesses.

Design of Charging Platform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Electric Pole to support Location-Based Services (LBS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주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플랫폼의 설계 제안)

  • Cha, ByungRae;Choi, GeunYoung;Kim, NamHo;Lee, SeongHo;Park, Sun;Shin, Byeong-Chun;Kim, JongWon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1
    • /
    • pp.67-74
    • /
    • 2020
  • As the demand of electric vehicles has been increased recently, their related industries are developing. In particular, the market of electric vehicles charging infrastructure is expanding rapidly and users have much demand in convenience of electric vehicles charging site. Because an charging site using electric pole of KEPCO can make use of that installed nearby public parking lots, there are many commercial construction and convenient facilities near around it. In this situation, users can do shopping or their personal business during charg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esign of charging platform for electric vehicles to support LBS for users to do shopping or personal business conveniently.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for Small-Sized Apartment Unit (소형공동주택의 적정건축비 추정방안 연구)

  • Lee, Yoo-Seob;Kang, Tae-Kyung;Cho, Hun-Hee;Huh, Young-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5
    • /
    • pp.94-104
    • /
    • 2006
  • The changed Korean government law associated with the public apartment housing supply, so called the $^{\circ}{\AE}$Apartment Sales Price $Cap^{\circ}{\phi}$, requires new system for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in order to set appropriate price. A model apartment project was carefully designed and its construction cost were analyzed in many different ways. Based on the analyses outcomes, 1,028,000 Won/m2 (excluding cost for underground parking lot) is the most appropriate Price Cap for a smaller than $85{\beta}{\geq}$ apartment unit. Further, it was revealed that the price have to be adjusted reflecting such factors as underground size; structural system; external complex quality; and consumer preferences.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enable the Korean government to realize faster and better application of the related laws. The methodology for obtaining appropriate apartment construction cost will also benefit for future researchers.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Flood Damage Mitigation Considering Dam Operation (댐운영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대응기준 수립)

  • Cho, Wan Hee;Park, Tai Hyun;Kim, Hyeon Sik;Lim, Dong Jin;Kim, Kwang Cho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2-452
    • /
    • 2018
  •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 가뭄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물 관리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소하천은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천길이가 짧아 홍수파의 이동시간이 짧기 때문에 홍수대비를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 국회예산정책처(2012)에 따르면 과거 5개년간(2007~11) 발생한 자연재해 피해 중 87%가 집중 호우 및 태풍에 의한 피해이며, 이 중 98.7%가 중 소규모 하천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중소하천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여건으로 인해 예방보다 사후복구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하천 고수부지에 주차장, 위락시설 등 공간적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발생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및 대응 중심의 홍수대응기준 수립이 시급하다.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유관기관의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문자료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홍수대응 기준 대응기준 수립을 통한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예상강우별 도달시간, 수위상승 등을 예측하고, 하천수위별 홍수대응기준을 수립하였다. 수위별 대응기준은 현장에서 계측되는 수위값을 기준으로 홍수예보기준, 하천기본계획의 제방고 및 주변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직접알람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A지자체는 상류에 B댐이 위치하여 홍수시 B댐 수위 및 운영의 영향을 반영하는 홍수대응기준의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나리오별 모형분석을 통하여 예상되는 호우사항에 대한 홍수대응기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의 지속적인 보완,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확대, 재해관련 책임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및 중소하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in Public building-types (공공청사형 그린빗물인프라(GSI) 시범 적용 사례 연구)

  • Hyo Jung Lee;Hyun Suk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4-364
    • /
    • 2023
  • 최근 환경부에서 발표한 「제3차(2021~2025) 강우유출 비점오염관리 종합대책(2020)」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불투수면적이 전 국토의 약 22.4%에 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전체 소권역의 6%에 해당하는 51개 소권역의 경우 불투수 면적률 25%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토양 침투량과 기저유출량을 감소, 갈수기 하천건천화 심화, 우기 표면유출수 증가를 가중시키며 이로인한 비점오염물질 유입 증가, 수질 악화의 원인으로 작용 될 수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사업 및 친환경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GI) 기술요소를 적용하여 도시지역 기후위기 대응 수단의 일원으로 우수유출 저감, 물순환 구조 개선,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고자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학교, 도서관, 체육시설, 공원 등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해안도시지역인 경상남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적이 높고 노후화된 소규모 청사 2곳을 시범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시범 구역별 GSI 시설 적용이 가능한 주차장, 화단, 옥상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적용 규모를 달리하여 물순환·물 환경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에는 국내에서 개발된 K-LIDM 모형을 활용한 우수유출저감 및 직접유출체적 산정결과를 통해 물순환 효과를,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제시되고 있는 '토지계 지목별 발생부하원단위', 수질환경개선 보고서에서 제시된 침투형,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저감효율을 활용하여 물순환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Numerical Results of 1-2D Link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홍수범람 수치해석을 위한 1-2차원 연계모의결과의 분석)

  • Kim, Hyung-Jun;Kim, Boram;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5-335
    • /
    • 2021
  • 하천의 홍수터는 평상시 수면위로 노출되어 국민의 여가생활을 위한 공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다 홍수기 수위가 상승하면 침수되는 하천공간이다. 홍수범람 면적 또는 홍수위 산정을 위한 수치모의 시, 홍수의 평면적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1차원 모의결과와 지형정보를 연계하여 범람면적을 산정하거나 2차원 수치모형의 격자를 대상공간에 대하여 구축한 후 모의를 수행한다. 1차원 수치모형은 계산효율이 우수하고 지류의 합류에 의한 영향을 다수 반영하거나, 긴 구간의 하천단면 구축을 통하여 경계조건이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형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국부적인 유속변화와 유향의 평면적인 분포에 의해 발생하는 범람면적의 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 홍수범람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홍수위험지도는 2차원 수치모형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 2차원 수치모형은 하도의 만곡, 제방의 형상 등과 같은 지형에 의한 유속장의 변화, 흐름영역의 수축 및 확대에 의한 유속의 변화 등을 자세히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수치격자 생성 및 계산결과 도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계산영역 설정의 한계로 인하여 경계조건이 흐름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으로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기법을 연계하여 하나의 모형으로 구축한 1-2차원 수치해석 모형이 개발 또는 적용되고 있다. 1-2차원 연계해석기법은 1차원 해석영역과 2차원 해석영역을 연계함에 있어서 흐름방향 연계와 횡방향 연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과 2차원 수치해석을 연계하는 기법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치모의결과를 비교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수리실험 관측결과가 있는 사례에 모형을 적용한 후, 한강지형에 수치모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한다. 또한,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격자의 해상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수치실험을 수행한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홍수위험지도 제작, 홍수위산정 및 홍수예보 등에 새로운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한다.

  • PDF

Charging Behavior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전기자동차 충전행태분석)

  • PARK, Kyuho;JEON, Hyeonmyeong;JUNG, Kabchae;SON, B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3
    • /
    • pp.210-219
    • /
    • 2017
  • Electric vehicles,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eco-friendly vehicles,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since 2011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t operation of existing charging stations and factors to consider when installing additional charging stations based on the case of Jeju Island where the electric vehicle penetration rate is high and the charging infrastructure is relatively well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electric car charging stations by region, type of facility, and time of day a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ing the charger installed in Jeju Island, the utilization of both the fast charger and the slow charger is found to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The usage rate of charger installed in a business facility and a public parking lot is high in both fast charger and slow charger. However, according to the usage rate by time of day, the fast charger has a high utilization rate throughout the afternoon, while the use of a slow charger is concentrated in the morning. In order to enable users to utiliz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ublicity guide for the charging station having a low utilization rate, a notice for using the charger, and a notification of completion of charging. Considering the charging demand, the area where the charger is not yet installed should be considered as the area to install the charger, and in addition, the additional instal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rea and the facility where the amount of charge is large. Service improvement is expected to be possible by utilizing actual electric vehicle charging behavior analysis result.

Development of Estimation Models for Parking Units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Condominium Apartments- (주차원단위 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공동 주택 아파트를 대상으로-)

  • Kwon, Sung-Dae;Ko, Dong-Bong;Park, Je-Jin;Ha, Tae-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2
    • /
    • pp.549-559
    • /
    • 2014
  • The rapid expansion of cities led to the shortage of housing in urban areas. The government compensated for this shortage through large scale residential developments that increased the housing supply. The supply of condominium apartments remains above 83% of the entire housing supply, and the proportion of apartments are at a steady increase, at about 50%. Due to the increase, illegally parked cars resulting from the shortage of parking spac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 have become increasingly problematic as they block the transit of emergency vehicles, and heighten the tension among neighboring residents in obtaining a parking space. Especially, the future residents are considered to plan the parking based on the estimated demand for parking. However, the parking unit method utilized to estimate the parking demand accounts for the exclusive use of space, which is believed to be far from the parking demands in reality. The reason for this discrepancy is that, as the number of households decrease, and area of exclusive space is expanded, the planned parking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households increase, and the area of exclusive space is reduced, the planned parking decreases, thus methods to recalculate the parking units based on estimated parking demand is an urgent concern. To estimate the parking units based on condominium apartment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and appointed the field of investigation to collect the necessary data. In addition, field study data and surveys col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underlying parking units, and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traffic impact assessment parking unit calculation method were deduced. Through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king demand estimates, and performing a factorial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variables were selected in relation to the parking demand estimates, to develop the parking unit estimate model. Finally, through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xisting traffic impact assessment parking unit estimate against the newly developed model using collected data, a far more realistic parking unite estimate was suggest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he parking unit estimat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the guidelines for future parking lot legislature, as wel as the basis to provide a more realistic estimate of parking demands based on the resident characteristics of an apartment compl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