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ng Construction Cost for Small-Sized Apartment Unit

소형공동주택의 적정건축비 추정방안 연구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The changed Korean government law associated with the public apartment housing supply, so called the $^{\circ}{\AE}$Apartment Sales Price $Cap^{\circ}{\phi}$, requires new system for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in order to set appropriate price. A model apartment project was carefully designed and its construction cost were analyzed in many different ways. Based on the analyses outcomes, 1,028,000 Won/m2 (excluding cost for underground parking lot) is the most appropriate Price Cap for a smaller than $85{\beta}{\geq}$ apartment unit. Further, it was revealed that the price have to be adjusted reflecting such factors as underground size; structural system; external complex quality; and consumer preferences.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enable the Korean government to realize faster and better application of the related laws. The methodology for obtaining appropriate apartment construction cost will also benefit for future researchers.

주택공급제도 개편의 일환으로 공공택지에서 공급되는 $85m^2$이하 주택에 대하여 분양가상한제의 확대시행과 분양가 주요항목에 대한 원가공개를 골자로 하는 주택법의 개정에 따라 건축비 산정체계의 현실적인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분양가상한제는 택지비와 건축비를 연동시켜 분양가를 결정하는 제도로, 택지비는 공공기관이 관계법에 의하여 개발 후 공급하는 택지가격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건축비는 정부에서 발표하는 상한가격내에서 결정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분양가상한제의 주요쟁점은 적정 건축비 상한가를 책정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정 건축비를 추정하는 방안을 실제 가상모델사업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신축적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자료수집 분석 및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 결과, 대한주택공사 예정가격을 기초로 산정한 1,028천원/$m^2$(공급면적, 지하주차장공사비 제외)이 적정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층면적, 구조형식, 단지환경수준, 소비자선호도등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연구과정 및 결과는 정부의 부동산관련 정책수립은 물론 학계의 유사 연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2).주택백서
  2. 건설교통부 (2002) 건축사 용역의 대가기준, 건설교통부공고 제2002-152호
  3. 김현아, 김혜원 (2004). 주택공급체계의 국내외 비교분석
  4. 국토연구원 (1996). 민간택지개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5. 이현수 (2000). CM교재-개산견적, 한국건설관리학회
  6. 정희남, 김근용, 최수, 박천규 (2004). 공공택지 및 분양주택공급제도 개선방안
  7. 주택산업연구원 (1999). 우방성서 K지구 아파트 평형구성, 분양가와 상업시설 용도, 규모 및 분양가 설정방안
  8. (재)주택산업연구원 (2005). 소비자만족도지수의 평가방법 및 기준
  9. 건설교통부 (2002) 주택건설공사감리비지급기준, 건설교통부 주관 제 58510-127호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새로운 건축비 산정기준 수립 연구 보고서
  11. SH공사 (2004). 상암아파트 일반분양 원가공개 보도자료
  12. John D. B. (1992). Successful Estimating Methods, R.S.Means
  13. Seeley, I,H, (1996), Building Economics,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