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제 접근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8초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 검색 시스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ccess &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백지원;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1-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자 접근 및 검색 시스템 기능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외 주요 주제명표목표의 주제명 접근 및 검색 방식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검색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제명 접근, 이용 방식과 절차 등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이용 현황 및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셋째, IFLA의 국가 서지 주제 접근 지침과 FAST의 적용 사례에 나타난 주제 접근 도구의 발전 방향 및 국내외 사례의 시사점 등을 바탕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검색 시스템 개선안을 기능, 인터페이스, 질의, 부가 서비스 등 4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주제 접근의 다양성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 표목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eties of Subject Access and Usabilit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 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85
    • /
    • 2014
  • 본 연구는 급격히 변화하는 도서관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제 접근 방식의 다양성을 살펴보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표목에 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주제 접근의 미래에 관해 제시하였다. 먼저 주제 접근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주제명 표목인 미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의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주제명 표목의 검색 효율성을 증진하는 방법에 관해 다루었다. 소셜북마킹, 폭소노미, 태깅, 패싯 적용, 저자부여 키워드, 시소러스, 분류표, 자동완성기능 부여로 주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 표목의 현황과 향후 주제 접근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설 주제 접근체계의 확장 연구 - 상징과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nhancing Subject Access to Fiction Focused on Symbol and Motif)

  • 김나름;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87
    • /
    • 2006
  • 소설을 비롯한 문학작품에 대한 접근은 기술요소 중심이었고, 주제접근 역시 작품 속에 등장하는 소재, 인물명, 지명 등 형식 요소에 국한되어 왔다. 이러한 관행은 소설 주제의 본질을 놓친 것이며 미학적 경험을 추구하는 이용자의 주제요구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 연구에서는 소설 주제접근체계의 확장을 위해 상징 및 모티프의 개념과 주제접근 점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해당 용어사전을 정보원으로 활용하여 상징과 모티프 체계를 구성하고, 20세기 한국소설에 적용해 이용성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뉴베리 수상작 주제 분석을 통한 어린이 독서자료 선정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on Efficiency Scheme in Children's Books through Subject Analysis of The Newbery Medal Winner's Books)

  • 장지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3-79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린이 독서 자료의 선정과정에서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도서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뉴베리상 수상작 국내 번역본 중에서 소설을 대상으로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주제를 분석하여 이용 효율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주제명표목표에서 제시하는 주제 외에 소설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서 소설의 장르와 주인공의 성별, 연령을 제안하였다.

온라인목록 주제접근점 확장을 위한 분류표 지식베이스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DDC Knowledgebase Design for Subject Access in Online Catalog)

  • 이용민;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103
    • /
    • 1989
  • 온라인목록은 최소한 카드목록이 제공해주는 접근방식을 지원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목록 검색환경에서 주제접근의 유용성을 논하고, 기존 이용자들에게 익숙한 접근방식인 분류표 접근을 구현하기 위하여 분류표를 프레임구조의 지식베이스로 설계하였다. 지식베이스는 DDC20 판의 새로 추가된 전산과학 분야에 해당되는 004-006 번의 주제영역과 상관색인 부분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이 시스템은 이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주제영역의 분류표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그 분야의 체계적인 기념배열을 살펴 볼 수 있게 하고 관련분야의 문헌을 검색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모두 이용자의 검색능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류표를 출력하여 봄으로써 이용자는 해당 주제의 분류영역에 대한 보다 확실한 개념 및 범위 파악이 가능하였다.

  • PDF

어린이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Developing Subject Headings for Subject Access of Children's Picture Books)

  • 박지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2012
  • 어린이 그림책의 효과적인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주제명의 부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표제나 목차 등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발췌하기가 어렵다. 또한 일반도서를 위한 주제명표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별도의 주제명표를 개발하였다. 주제명표 개발을 위해서는 영미권의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추천그림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앞으로는 지속적인 주제명 부여 작업을 통해 주제명표를 정련하고, 그림책의 주제분석을 위한 지침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새로운 시각, 주제별 접근의 한국사 출간 활발

  • 마정미
    • 출판저널
    • /
    • 통권231호
    • /
    • pp.11-11
    • /
    • 1998
  • 최근 새로운 시각과 주제별로 접근한 역사서 출간이 활발하다. 상업발달사, 국경획정연구, 당쟁과 사화, 전쟁과 반란 등 단일한 주제를 깊이 다룬 책들이 한 시대의 역사를 조명하고 있다. 특히 전쟁의 역사를 살핀 책들은 변혁사를 통해 새로운 정치구조에 대한 역학구조를 다뤄 흥미롭다.

  • PDF

전자출판의 접근성 관련 기술 동향 분석 - 특허정보분석을 중심으로- (Accessibility of Electronic Publishing Technology Trends)

  • 장보성;남영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년도 제2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18
    • /
    • 2014
  • 본 연구는 특허정보의 제목 및 초록에 나타난 장애인을 위한 전자출판의 접근성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자 관련 유효특허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특허 출원 빈도, IPC 주제분류, 전자출판 접근성 기술 분류 기준에 의한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 주제어 출현 빈도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전자출판 접근성 분야는 출원 건수가 증가하는 전형적인 성장기 단계이며, IPC 주제분류는 섹션G(물리학), 섹션H(전기)영역에서 주로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며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은 문자를 점자로 변환 압축 및 관련 보조공학기기 개발 특허 등이 중심적으로 나타났다. 출현 빈도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주제어는 braille, display, device, tactile, character, control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어린이 그림책을 위한 주제명표 개발 연구: 『A to Zoo』를 바탕으로 (Developing Subject Headings for Children's Picture Books based on A to Zoo)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1-271
    • /
    • 2012
  • 주제명은 이용자가 어린이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접근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어린이 그림책은 다른 자료에 비해 표제나 목차와 같이 자료 자체에서 주제명을 선정하기가 어렵다. 또한 텍스트 외에 그림이 주는 정보량이 큰 편이다. 따라서 그림책의 주제접근을 위해서는 별도의 주제명 목록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린이 그림책에 일반 도서용으로 개발된 주제명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명의 유형과 수준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그림책에 적합한 주제명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본 주제명의 선정을 위해서는 영미권에서 발행된 그림책 주제명표를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우리 문화와 언어에 맞도록 기존의 표목을 수정 추가하였다. 또한 그림책의 주요 독자층인 어린이에게 적합한 표목을 선정하기 위해 초등국어사전과 같은 참고자료도 활용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으로 구축된 주제명표를 어린이 그림책을 대상으로 한 권장도서 목록에 적용하여, 주제검색이나 브라우징, 도서 추천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보의 접근점으로서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 표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of Congress's Subject Headings as an Information Access Point)

  • 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1-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주제 접근 도구로서 LCSH의 유용성을 실무 사서들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웹서베이를 통해 University of Washington(UW)의 64명의 도서관 사서들과 Council on East Asian Libraries(CEAL) 회원 도서관 67명 사서들의 LCSH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고 9명의 UW 사서들과 10명의 CEAL 도서관 사서들과는 직접 만나 심층 면담과 전자 우편 교환을 통해 자세한 의견을 받았다. 조사 결과, LCSH는 주제 접근점으로서 여전히 가치가 있었으며 주제에 관한 다른 관련 자료를 찾을 때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LCSH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개선 사항으로는 첫째, 용어와 관련해서 주제명 표목은 좀 더 이용자에게 익숙하고 최신성을 반영해서 주제명 표목간의 명확한 정의와 관계를 보여주어야 하며, 둘째, 구조와 관련해서는 주제명 표목 조합에 있어서 단순성, 용이성, 일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많은 다른 국가에서 LCSH를 실제로 사용하거나 변형하여 활용하고 있어서 그 파급 효과가 상당히 크므로 LCSH에서 주제명 표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Tok Island(Korea)"가 갖는 의미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검색할 때, 결과 레코드의 수나 국제적으로 나오는 관련 문헌의 수, 외교적인 연구 활동 등이 주제명 표목의 변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 앞으로 독도 주제명표목과 관련 자료에 관한 학술적인 노력을 배가하고 다른 주요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움직임도 유의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