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제 영역

검색결과 1,022건 처리시간 0.023초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동향분석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32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보학분야 학회지인 "정보관리학회지"에 25년 동안에 발표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동향분석을 시도하여 각 시기별 우리나라 정보학분야의 학문적 구조와 그 변화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5년을 1984-1994, 1995-2002, 2003-2009로 나눈 다음, 각 기간별 "정보관리학회지"에 실린 학술논문의 주제를 분석한 후 각 논문의 주제분포, 주제영역별 논문의 증감, 주제영역별 연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논문의 표제어를 이용하여 기간별 정보학의 지적 구조를 생성하였고 세 개의 지적 구조를 비교하여 정보학 연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관리학회지" 연구의 주요 대주제 영역은 '정보서비스', '정보조직' 그리고 '정보시스템'이며 소주제 영역은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연구, 자동문헌처리, 도서관통합시스템, 시소러스/온톨로지, 디지털도서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제어의 지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정보학의 핵심영역은 여전히 정보검색이지만 각종 도서관이나 시스템에 활용된 정보기술 기법이나 서비스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이에 대한 주제영역이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생의 자유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특징과 탐구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Open-Inquiry Report and Their Perceptions of Conducting Inquiry)

  • 박미현;차정호;김인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71-377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 중학교 2학년 165명이 작성한 자유 탐구 보고서를 주제 영역, 탐구 가설, 그리고 탐구 변인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여름방학이 시작되기 전 2시간 동안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면서 탐구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 주제를 탐색하도록 하였다. 여름방학 동안 학생들은 주제 선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수집 및 분석, 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였다. 여름방학 후, 결과보고서를 제출받으면서 학생들이 주제 선정에서 활용한 자료의 출처, 가설의 정의, 그리고 탐구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보고서의 주제 영역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생활 영역으로, 보고서에 기술된 가설은 예측 가설과 설명 가설로 분류하였고 가설의 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탐구 주제, 탐구 가설, 실험 설계 부분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하여 범주형, 연속형, 불확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영역 중 화학 영역의 보고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생물과 생활 영역이 많았다. 전체 165개 보고서 중 130개에 탐구 가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대부분은 예측 가설에 해당하였다. 보고서에 제시된 탐구 변인을 분석한 결과, 탐구 주제와 탐구 가설에 기술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은 불확실 유형이 많았다. 그러나 실험 설계 부분에 기술된 변인들은 불확실 유형이 많이 줄어들었고, 범주형 변인이 증가하였다. 탐구 수행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단계에 대한 질문에 학생들은 주제 선정 단계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A Study on Web Archiving Subject Analysis Based on Network Analysis)

  • 김희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5-2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 DB를 대상으로 주제어(topic)가 web archiving에 해당하는 288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동시출현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웹 아카이빙 주제 영역에서는 의학영역 정보기술 및 시스템과 관련된 이미지 아카이빙 관련연구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문헌정보학 및 기록관리학 영역에서의 웹 아카이빙 연구는 크게 웹 아카이빙 및 디지털 보존 프로젝트 주제와 웹 아카이빙툴과 방법론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왔으며, 향후 웹 아카이빙 소프트웨어 및 툴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초등예비교사들의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Surve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eaching Methods in Astronomy)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43-152
    • /
    • 2023
  • 본 연구는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심화과정 4개반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서 어떤 교수 방법을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이 수집된 80명의 인식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일간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과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설문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초등예비교사들과 함께 토의하여 설문에 대한 주제를 설정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에 대한 주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구와 달에 대한 단원을 중심으로 2가지의 설문을 작성하였다. 3학년 1학기 4단원(1/10)에서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요?'. 6학년 1학기 2단원(1/11)에서 '달은 어떤 모습일까요?'로 설정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의 배경지식을 총동원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천문영역 주제를 어떻게 교수할 것인가에 대해서 솔직하게 서술하시오.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 처리는 언어 분석방법으로 넷마이너를 활용하여 언어 표현을 가시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이 실제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강의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서지분석기반 학과의 주제적 특성 분석 연구 (Bibliometric Analysis to Analyze Topic Areas of Faculty for Academic Library Service)

  • 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37-258
    • /
    • 2013
  • 대학소속 연구자들의 연구 분야가 다변화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는 서비스 운영을 위하여 학과별 주제 분야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 학과 소속구성원들의 학술지 논문 서지사항을 분석하여 학과별 주제특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게재한 학술논문을 분석하여 1차적으로 해당 학과의 주제영역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심층적으로 주제영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해당 논문들이 인용한 학술지를 조사하여 확장된 주제영역을 조사하였다. 또한 상위 인용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학술지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과별 주제 분야별 학술지 이용현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정 주제 분야의 경우 학술지 종수와 논문 수에 따라 주제 분야의 중요도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분야의 경우 소수의 학술지에서 많은 논문이 인용되고 있는 현상이 있으며 게재하는 주제 분야와 인용하는 주제 분야의 중요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환경 영역 성취도 국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Achievement in Environmental Science in TIMSS 2003)

  • 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0-21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TIMSS 2003환경 영역 성취도의 국제 수준을 파악하고, 환경 영역의 주제가 의도한 교육과정과 실행된 교육과정에 포함된 정도를 국제 비교하며, 성취도 결과를 주제별, 문항 유형별, 인지 영역별로 분석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과 국제 평균 정답률의 차이가 큰 문항과 남 여학생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였다.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환경 영역에서 544점으로 4위를 기록하였다. 교육과정 비교 결과에서 TIMSS 2003에 참여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8학년까지 과학과 교육과정에 환경 영역 주제가 일부 또는 3 가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 영역의 세 주제 모두 의도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환경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의 평균 정답률은 51.7%로 국제 평균 정답률 38.7%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제, 문항 유형, 인지 영역별 정답률을 비교하면, '천연 자원의 이용과 보존' 주제에서, 선택형 문항에서, '사실적 지식'에 해당되는 문항에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의 성취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자유반응형 문항, 과학 수업에서 학습하지 않은 내용이거나 과학과 기술의 이용 방법과 영향을 서술하는 문항 등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성비,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가 명확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틀의 경우 환경 관련 개념과 자료 해석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환경 관련 주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되 그 시기를 앞당기고, 학생틀이 환경 문제의 원인, 현상, 대책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과학과 기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인식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Online Subject Guides in Academic Libraries)

  • 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65-189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조사하여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조사된 100개 대학 중 14개 대학만이 온라인 주제가이드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구축은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주제가이드들은 내용 구성면에서 볼 때 접근성, 포맷의 일관성, 자원통합성 영역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주제 다양화, 이용자 교육, 검색 영역에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온라인 주제가이드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신속한 정보자원으로의 접근, 주제 특화된 이용자 교육, 사서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원스탑(one-stop) 서비스가 되어야 할 것이다.

Scientific Data 학술지 분석을 통한 데이터 논문 현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Scientific Data for Data Journal and Data Paper)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7-135
    • /
    • 2019
  • 데이터 학술지와 데이터 논문이 오픈과학 패러다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이라는 학술활동이 등장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영향력있는 다학제적 분야의 데이터 학술지인 Scientific Data에 게제된 총 713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 인용, 주제분야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자의 주된 주제 영역은 생명공학, 물리학 등으로 나타났으며, 공저자 수는 평균 12명이다. 공저 형태를 네트워크로 살펴보면, 특정 연구자 그룹이 패쇄적으로 공저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의 주제영역을 살펴보면, 데이터 논문 저자의 주제영역과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으나, 방법론을 주로 다루는 학술지의 인용 비중이 높은 것은 데이터 논문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 논문 저자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동시출현단어분석 네트워크로 살펴본 데이터 논문의 주제영역은 생물학이 중심이며, 구체적으로 해양생태, 암, 게놈, 데이터베이스, 기온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학제학문 분야를 다루는 데이터 학술지이지만, 데이터 학술지 출간에 관한 논의를 일찍부터 시작해온 생명공학 분야에 집중된 현상을 보여준다.

인터넷 서점의 아동도서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Child book in internet book stores)

  • 윤효정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4년도 제1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80
    • /
    • 2004
  •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 도서를 취급하는 여러 형태 중 인터넷 서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도서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6개 인터넷 서점의 도서 분류 체계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여러 주제 영역 가운데 '아동 도서'를 중심으로 효과적인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인터넷 서점 중 온.오프라인 인터넷 서점을 운영하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북닷컴과 온라인인터넷 서점만을 운영하는 예스24, 알라딘, 모닝365의 특징을 '아동 도서'의 주제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한 내용을 중심으로 KDC와 연계하여 KDC의 10개 주제 영역별로 각 인터넷 서점의 주제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선정된 6개 인터넷 서점의 '아동 도서'분류 기준에서 문제점들이 들어났고, 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분류체계 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6개의 인터넷 서점 아동 도서 분류 체계 분석 결과와 함께 KBC를 아동 전문 도서관에 맞게 변형시킨 '느티나무 어린이 도서관 분류법' 특징을 고려한 효과적인 아동도서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조리학회지" 수록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 강명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6-88
    • /
    • 2014
  • 이 연구는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의 창간호인 1995년부터 2012년까지 18년간 수록된 1,054편에 수록된 논문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학회지의 특성은 물론, 향후 외식조리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주된 연구방법은 내용분석 방법이며, 특히 논문의 연도별 주제 분석, 연구주제별, 연구에 사용된 재료별, 연구대상별로 흐름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수록된 논문은 연평균 58.6편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의 논문이 511편으로 거의 50%에 달하고 있어 수록논문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연구주제 영역은 외식, 조리, 식품, 기타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한 다음, 수록논문의 주제 분석을 통해 다시 19개 주제, 65개 항목으로 세분하였으며, 주제영역별 현황은 외식영역 595편(56.4%), 조리영역 250편(23.7%), 식품영역 105편(10.0%), 기타 영역 104편(9.9%)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사용된 재료나 종류별 분석에서는 제과 제빵에 관한 연구가 67편(23.3%)으로 가장 많고, 소스 드레싱 38편(13.2%), 채소 과일 36편(12.5%), 발효식품 35편(12.5)으로 나타났다. 첨가재료별 분석에서는 각종 버섯, 김치, 홍삼, 석류 등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이나 기관, 업체별 분석에서는 호텔 관광호텔 특급호텔 관련 연구가 140편(38.2%)으로 가장 많고, 식당 레스토랑이 106편(29.0%), 외식업체 외식프랜차이즈 43편(11.8%)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의 수록 논문이 현재 학회지명칭과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는 조리영역과 식품영역은 합산해도 33.7%에 불과하며, 외식영역이 56.4%이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면, "The Korean Journal of Foodservice & Culinary Research"라고 수정하는 것이 수록되는 논문의 특성과 학회지의 명칭에 좀 더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