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erception Surve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on Teaching Methods in Astronomy

초등예비교사들의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Received : 2023.03.30
  • Accepted : 2023.04.26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15 students from 4 classes of 2nd year intensive course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surveyed on what teaching methods they were aware of regarding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Recognition data of 80 people from whom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 5-day survey was conducted.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teaching methods in the astronomy area among various areas of the science 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in teaching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topics, and to find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eaching astronomy topics. The topic of the survey was set by discussing with the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about what kind of survey to use in teaching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There are many topics for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but two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cusing on the unit on the earth and the moon. 'What does the earth look like?' in Unit 4 (1/10) of the 3rd year, 1st semester In Unit 2 (1/11) of the 1st semester of the 6th grade, it was set as 'What does the moon look like?'. Candidly describe how to teach the subject of astronom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mobilizing all the background knowledge of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were visualized and displayed using Netminer as a language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s of the responses to the actual surveys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scrib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se results, preparatory elementary teachers tried to suggest a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In addition, basic procedures and methods for lecturing on the subject of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were presented. A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elementary science astronomy subjects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as suggested.

본 연구는 B 교육대학교의 2학년 심화과정 4개반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서 어떤 교수 방법을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이 수집된 80명의 인식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일간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은 과학과의 다양한 영역 중에서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의 주제를 교수하는데 어떠한 설문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초등예비교사들과 함께 토의하여 설문에 대한 주제를 설정하였다. 초등과학 천문영역에 대한 주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지구와 달에 대한 단원을 중심으로 2가지의 설문을 작성하였다. 3학년 1학기 4단원(1/10)에서 '지구는 어떤 모습일까요?'. 6학년 1학기 2단원(1/11)에서 '달은 어떤 모습일까요?'로 설정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의 배경지식을 총동원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천문영역 주제를 어떻게 교수할 것인가에 대해서 솔직하게 서술하시오. 이러한 설문에 대한 결과 처리는 언어 분석방법으로 넷마이너를 활용하여 언어 표현을 가시화하여 나타내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이 실제 설문에 응답한 내용을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강의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초등예비교사들에게 초등과학 천문영역 주제를 교수하는데 보다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식, 이용섭(2017).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278-289.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3.278
  2. 김윤경, 이용섭(2016).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97-105.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97
  3. 김종욱(2022).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초등교육, 41(3), 501-520.
  4. 김혜란, 이용섭(2021). '날씨와 우리 생활'과 연계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학습요소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202-211.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202
  5. 박지현, 현동걸, 신애경(2016).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23-340.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23
  6. 신현정, 권우진, 가석현(2022).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89-309. https://doi.org/10.14697/JKASE.2022.42.2.289
  7. 이용섭(2017).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226-234. https://doi.org/10.15523/JKSESE.2017.10.2.226
  8. 이용섭(2020).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에 대한 Jigsaw 협동학습이 과제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86-195.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2.186
  9. 이용섭(2021).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93-201.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193
  10.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41
  11. 이용섭, 김윤경(2016).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88-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88
  12. 이정아, 이기영(2017). 지구 공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6(4), 405-427.
  13. 이화랑, 손정주(2016). 초등학교의 '지구와 달' 단원에 대한 거꾸로 교실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현장과학교육, 10(3), 319-332. https://doi.org/10.15737/SSJ.10.3.201610.319
  14. 임청환, 채동현(2018). '지구와 달' 주제와 관련된 초등학교 2009 개정 과학교과서와 2015 개정 과학교과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37-243.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37
  15. 조훈, 손정주(2022). 고등학교 천문학 수업에서 코딩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탐구활동의 활성화 방안 탐색. 현장과학교육, 16(5), 602-618. https://doi.org/10.15737/SSJ.16.5.202212.602
  16. 채동현(2022). 태양-지구-달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적용 연구. 초등교육연구, 33(2), 299-317.
  17. 한신, 정진우(2015). 초등학교 5학년 '지구와 달' 단원의 스마트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76-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76
  18. Aktas, I. (2022). The proficiency and opinions of the pre-service primary teachers in performing hands-on science experiments. Participatory Educational Research, 9(5), 262-287. https://doi.org/10.17275/per.22.114.9.5
  19. Alnasib, B. N. M. (2023). Digital competencies: Are pre-service teachers qualified for digit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11(1), 96-114. https://doi.org/10.46328/ijemst.2842
  20. Hanson, J. R., Hardman, S., Luke, S., & Lucas, B. (2022). Developing pre-service prim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engineering through engineering habits of mind and engagement with engine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32(3), 1469-1494. https://doi.org/10.1007/s10798-021-09662-w
  21. Subramaniam, K., Harrell, P. E., Long, C. S., & Khan, N. (202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verage speed: The systematic and persistence of related and unrelated concep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40(2), 189-206. https://doi.org/10.1080/02635143.2020.1782880
  22. Wang, H. H., Wilson, K., VanRooy, W., & Lin, H. S. (2023).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ompetencies in asking and conducting researchable science questions using fair test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3(1), 155-171. https://doi.org/10.1007/s11165-022-100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