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제접근

검색결과 837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수학에서 문제해결지도

  • 정치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5권
    • /
    • pp.207-214
    • /
    • 2003
  •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하여 습득하여할 중요한 주제는 수학 지식과 수학을 다루는 인지적 조작 기술일 것이다. 특히 수학지식과 지식의 활용은 문제해결을 통한 학습에서 의미 있게 학생에게 나타나며 이를 통하여 수학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수학의 가치를 느끼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대학수준의 수학교육과정에서도 문제해결은 중요한 수학교육의 중심 수단으로서 목적으로서 선언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잘 다루고 있지 못하다. 문제해결 지도에 대한 접근 방식으로 1950년대의 문제해결전략을 다룬 Polya, 1990년대의 메타인지적 접근을 강조한 Schoenfeld 및 최근의 여러 연구자들의 활발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대학 수준의 문제해결 수업의 접근 방법을 소개함으로 문제해결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특히 Schoenfeld의 문제해결 수업 모델은 수학 교육의 교실 수업으로의 구현 측면에서 갖는 다양한 함의를 제시한다.

  • PDF

학문 통합적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제IV보)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IV))

  • 방담이;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15-1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통합적 접근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학문 통합적 접근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접근 시기 및 방법, 장애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45.9%의 과학 교사가 학문 통합적 교육에 대해 알고 있으며 61.2%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와 입시부담을 고려할 때, 학문 통합적 교육이 중,고등학교 보다 초등 저학년에 더 적합하며 시행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접근법에 대해서는 57.6%의 교사가 주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으며, 16.5%의 교사가 문제 중심 접근을 선택하였다. '주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수업 자료의 구성 및 시행이 수월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고, '문제 중심'을 선택한 교사들은 문제를 중심으로 한 학문 통합적 접근이 교육적으로 필요하며 효과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학문 통합적 교육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공 교과 외의 타 교과에 대한 이해 부족'과 '교육 자료 구성을 위한 시간적 여유 부족'을 가장 큰 요인으로 선택하였는데 이는 학문 통합적 교육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전략 및 교육 자료의 안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A Study on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 곽철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7-5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사례관리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의 경험 연구 - Giorgi 현상학적 연구 접근 - (Client Experience Using Care Management - How to Acces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Giorgi -)

  • 이정희;김영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65-96
    • /
    • 2017
  • 본 연구는 사례관리 이용자들의 사례관리의 구체적 경험과 함께 연구 참여자들이 구성한 주관적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사례관리의 본질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에는 1년 이상의 사례관리 이용경험이 있는 16명의 이용자들이 참여했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과 관찰을 수행했다. 수집한 자료는 Giorgi 기술적 현상학 연구의 4단계 분석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결과, 408개의 의미 단위를 구성했고 122개의 중심 의미와 23개의 드러난 주제, 7개의 본질적 주제를 구성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단위의 통합사례관리 접근, 사회복지사 존재 의미를 역설하였으며, 사례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고립된 존재에서 소통하는 인간으로의 전환이 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 PDF

국내 브레이킹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Breaking Research Trends in Korea)

  • 유현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68-47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브레이킹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학술지에 출판된 브레이킹 관련 50개 논문의 문헌 분석(논문발행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과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발행시기별 경향은 2006년 처음 게재되어 이후 2012년 약간의 증가세를 보이다가 2021년 급증하였다. 둘째, 국내 브레이킹 관련 연구는 주로 질적연구(60%)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셋째,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정체성확립, 문화예술분야, 스포츠 분야의 3가지로 구분되며, 이 중 정체성 확립 관련 연구가 60% 이상을 차지했다. 마지막으로 브레이킹 논문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를 살펴보면,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는 '힙합'이었으며, '문화'가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접근을 통한 브레이킹의 정체성 확립, 표준화된 교재 및 교육과정의 개발을 통한 실무적 접근,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분야의 특성 및 역량 강화, 스포츠로의 변화를 위해 갖추어야 될 요건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LANDSAT 7 ETM+와 ASTER영상정보를 이용한 선형분광혼합분석 기법의 지질주제도 작성 응용 (Application of Linear Spectral Mixture Analysis to Geological Thematic Mapping using LANDSAT 7 ETM+ and ASTER Satellite Imageries)

  • 김승태;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369-382
    • /
    • 2004
  • 본 연구는 Terra ASTER 영상과 LANDSAT 7 ETM+ 분광 영상정보와 같은 상이한 방사 및 공간 해상도를 갖는 위성 센서의 영상을 지질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형분광혼합분석(LSMA: Linear Spectral Mixture Analysis)기법의 적용성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 적용사례로서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ASTER 영상과 LANDSAT 7 ETM+ 분광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지질학적 주제도 자성과정을 수행하였다. 두 영상 정보에 대하여 기하 보정 및 방사 휘도 조정 등의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 후 사전 지질조사 정보와 두 영상정보의 밴드 별 상관도를 분석하여 7개의 지질단위의 분광 클래스를 선택하였고 20개 밴드완 위성 영상자료를 LSMA 기법에 적용하였다. 처리 결과로 주제도 작성의 대상으로 한 7개의 지질단위에 대한 각각의 주제도를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LSMA 기법은 지질 주제도 작성을 위한 효과적인 접근 방법 중의 하나로 판단된다.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공훈전자사료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cus on the Gonghun Digital Archive)

  • 오정희;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9-124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과 수업시수 축소의 관점 (A Perspective of the Decreased Science Lessons in the Seventh Curriculum)

  • 이명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7-523
    • /
    • 1998
  •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은 개발단계에서부터 줄어든 수업시수에 대한 대처방안의 마련이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본 연구는 6차와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서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업시수 축소의 관점을 탐색하고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과학과 내용체계를 이루는 과학주제용어분석에서 첫째, 7차의 내용체계에 새로 등장한 과학주제들은 6차의 과학주제들의 세부주제를 이루었던 과학개념들로서 실질적인 변화는 거의 없었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주제들이 나타내는 과학개념을 맥락적이고 개념적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는 용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세째, 두 교육과정에서 공통으로 나오는 각 과학주제당 배당되는 수업시수, 즉 표면 시수가 과학주제 개수와 전체 교육과정 상의 시수 축소율 30%를 고려할 때 6차의 약 38.5%임이 추정되었다. 학년별 내용을 이루는 각 과학주제별 서술문장에 대한 분석에서는 개념중심으로 추출된 세부주제로부터 해진 수업시수, 즉 실질 시수는 표면 시수보다 대부분의 과학주제에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주제 '날씨'와 '땅'은 실질 시수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어서 개념적으로 서술된 교육과정을 현상적으로 접근하면서 수업시수를 줄이는 문제가 쉽지 않을 것을 예측케 한다.

  • PDF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Trends in Education Welfare Research in Korea)

  • 진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269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는 주제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Local Festival)

  • 안혜원;이민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78-385
    • /
    • 2010
  • 지역축제가 성공하고 활성화 되기 위한 기존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역축제의 성공요인으로 주제의 명확성, 참여성, 기반성, 구조성, 집객성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명확성은 독창적인 주제(테마), 명확한 주제(테마), 명확한 목표, 명확한 축제 참여 대상 선정 등으로 정의할 수 있고, 참여성은 주민의 축제 전 과정에의 참여와 축제 즐거움의 향유 등으로 정의하며, 기반성은 지역축제를 위한 인재개발 및 교육, 지역의 특성화 등으로 설명하고, 구조성은 지역축제 조직체계, 예산확보, 전문성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집객성은 홍보 및 마케팅, 접근성, 친절성, 편리성, 관광지 연계성, 먹거리 및 쉴거리 등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에 더욱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설문조사를 토대로 하여 실증연구를 실시하여, 향후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