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재원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2초

큰느타리(King Oyster Mushroom) 재배시스템을 활용한 녹각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적정 재배온도 (Appropriate temperature of antler-shaped Ganoderma lucidum using King Oyster Mushroom Cultivation System)

  • 조우식;김민경;황재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3-185
    • /
    • 2022
  • 여름철 버섯소비 부진으로 일부 농가에서는 여름철에 생산을 중단하는 등, 고소득 버섯작목 복합영농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녹각영지버섯을 새송이버섯 재배사를 이용하여 생산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지재료로 사용한 참나무톱밥과 미강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T-N은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이 0.28%, 영양원인 미강이 2.2%로 나타났으며, pH는 참나무톱밥 6.0, 미강 6.6로 주재료인 참나무톱밥은 약산성을 나타내었고, 영양원인 미강은 중성을 나타내었다. 녹각영지버섯 자실체 수량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발이 소요일수는 25℃ 5~6일, 30℃ 3~5일이었으며, 대의 길이는 25℃에서 57.5 mm, 30℃에서 92.2 mm였고, 생체중은 25℃에서 43g, 30℃에서 50 g으로 30℃에서 우수하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하절기에 새송이버섯 재배사를 녹각영지버섯 재배에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인터뷰 / 최제유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 과장

  • 신종훈
    • 디지털콘텐츠
    • /
    • 2호통권117호
    • /
    • pp.30-32
    • /
    • 2003
  • 지난달 10일 정보통신부는 김태현 정보통신부 차관 주재로 '제1차 온라인디디털콘텐츠산업발전실무위원회'를 개최, 오는 2005년까지 디지털 콘텐츠 산업발전을 위하여 범정부적으로 중점 추진해야할 정책과제를 담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기본계획안(2003~2005)』을 심의 의결했다. 이번에 의결된 기본계획안에 대해 각계는 범정부적 차원의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추진 틀이 마련됐다고 평가하고, 향후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의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과 최재유 과장을 만나 그동안의 경과와 향후 추진계획을 들어봤다.

  • PDF

애널리시스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균형 발전에 주력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01호
    • /
    • pp.50-57
    • /
    • 2001
  • 2002년도에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균형 발전을 각 정부 부처의 정보화 추진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정부의 생산성 향상과 산업경제가 발전하는 데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이는 지난 9월 19일 정부가 이한동 국무총리 주재로 제 16차 정보화 추진 위원회를 개최하여 심의, 확정한 내년도에 각 부처가 추진해 나갈 23개 분야별 2003년도 정보화촉진시행계획에 따른 것이다. 이날 확정된 2002년도 분야별 정보화 촉진 시행계획에 따르면 2002년 정부가 추진할 정보화사업은 총 24,156억원(국비 16,867억원, 지방비 6,782억원, 민자 508억원)으로 집계되었다.

  • PDF

진대제 장관 중국방문 “국가도 스피드 경영과 블루오션 전략 필요”

  • 권경희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147호
    • /
    • pp.80-82
    • /
    • 2005
  •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정통부 고위 관료와 산하 기관장들과 함께 지난달 12일 저녁부터 3박4일의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했다.세계 각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보통신주재관도 동참했다. 진 장관은 중국방문 목적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 IT 산업을 직접 보고 체험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진 장관은 이번 중국방문 중에‘스피드’와‘차별화’를 강조하며 국가도 블루오션 전략으로 고부가가치 분야를 선점하고 중국과의 격차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PDF

E-Business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Business Models)

  • 주재훈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종합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601-620
    • /
    • 1999
  • 인터넷으로 인해 고객, 공급자, 기업 등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변화되고 있다. 인터넷은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새로운 경쟁적 위협을 암시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인해 기업은 고객, 공급자, 제휴 파트너 등과의 관계를 재정의함은 물론이고, 기업 내부의 작업방식, 부서간의 장벽을 없애고 그 기능을 재정의하기에 이르고 있다. 가상사회에서는 더 이상 소비자가 전화로 음악 CD나 사전을 주문하고 지로로 입금을 하고 택배로 제품을 수령하는 방식으로 사업이나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소비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주제의 음악이나 사전의 한 부분만을 주문하고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로 대금을 지불하고 자신의 컴퓨터에 직접 제품을 내려받아 사용하게 된다. (중략)

  • PDF

미메시스로서의 '타자'와 디에게시스로서의 '다문화' : 지상파 방송 뉴스에 재현된 이주민들의 영상 담론 분석 ('Others' as Mimesis and 'Multiculturalism' as Diegesis: Focus on the Visual Discourses of Migrants Represented on Terrestrial Broadcasting News)

  • 주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03-514
    • /
    • 2016
  • 신자유주의 경제의 확산으로 인해 전세계 인구 이동의 흐름은 급격히 변화해왔으며, 단일민족 국가라 믿어왔던 한국 역시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전형적인 노동력 수출국이었던 한국은 이제 노동력을 수입하는 주요 국가이며, 이주민들로 인해 사회적 지형은 지난 십 수년간 급격히 변화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미디어의 재현은 지극히 제한적이고 정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한국사회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이 뉴스 콘텐츠를 통해 이주민들을 재현하는 양식을 영상담론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지상파 방송뉴스에 재현된 이주민들은 특정한 영상재현 방식으로 담론화되며, 이는 한국인들과의 이항대립을 이루어 그들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을 확대재생산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미호천 상류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평가 (Application study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regionalization of Miho catchment, Chungbuk)

  • 이효상;최호훈;주재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5-285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 상류지역의 유역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문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관행적으로 모형의 변수를 산정하여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지역의 빈번한 홍수 피해 및 수자원관리의 문제발생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류지역의 중소유역의 신뢰할 수 있는 홍수량산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영국의 국가 홍수량 산정 표준방법(Flood Estimation Handbook)과같이 강우유출모형의 지역화를 통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지역화를 위한 강우유출모형의 선정을 위하여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충청북도 미호천 상류 7개의 소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는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3개의 개념적 토양저류함수 모형(Soil Moisture Accounting: Modified Penman Type Model(MP),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CWI),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PDM))과 3개의 유역유출을 위한 3개의 개념적 유출모형(Routing: 2-Conceptual Reservoir Model(2PAR), 3-Conceptual Reservoir Model(3PAR), Marcropore Model(2PMP))의 조합으로 총 9개의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를 검정기간(2004.01.01-2007.12.31) 과 검증기간(2008.01.01-2009.12.31)의 장단기 유출성능을 Nash Sutcliffe Efficiency 로 평가한 결과, 시간 단위의 단기모의에서는 CWI-2PMP와 PDM-2PMP모형이, 일 단위의 장기모의에서는 CWI-3PAR와 PDM-2PMP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금강 상류유역의 기본 강우유출모형으로 PDM-2PMP모형을 선정한다.

  • PDF

홍수유출에서의 지하수 영향 분석 (Effects of groundwater on the flood runoff)

  • 주재원;;정수종;안상억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4-314
    • /
    • 2021
  • 홍수(floods)는 인간의 생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발생시키는 자연재해 중 하나로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인하여 홍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홍수 발생 시 정확한 홍수량 산정을 위하여 유역 내 지표수 및 지하수 흐름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물 순환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표수-지하수 연계 모형을 활용하여 홍수 발생 시 미호천 유역에서 지하수가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Hydrological-Ecological Integrated watershed-scale Flow (HEIFLOW)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시간단위 홍수 사상 분석을 수행한다. 모형 구축을 위하여 2013년과 2014년도의 미호천내의 7개 기상 및 강우관측소, 1개의 수위 관측소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표수 모형을 구축하며, 같은 기간의 지하수 모형 구축을 위해 7개의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지하수 수위 자료와 유역의 수문지질도(Hydrogeological map)의 정보를 활용한다. 미호천 유역 내 HEIFLOW 모형의 홍수 모의 결과 산정된 하천 유량은 관측 유량과 0.79 R2의 우수한 모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하 수위 모의 역시 지하수 수위 변동을 적절하게 모의한다. 또한, 미호천 유역의 하류 지역은 하천으로 유출되는 지하수가 하천의 기저 유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며 홍수 시에는 지하수 유출의 증가로 인한 급격한 첨두 홍수량의 상승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수 모의 시 지표면 유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는 홍수 국내의 홍수량 산정 방법에 지하수의 거동 및 하천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국내 홍수량 산정의 새로운 방법의 하나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Pla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IPS)을 위한 데이타베이스 설계

  • 주재윤;김영진;이태훈;김도연;신현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79-184
    • /
    • 1995
  • PIPS (Pla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은 발전소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원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발전소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하도록 지원하는 발전소 감시 및 운전원 지원 시스템이다. UNIX 운영체제 및 workstation 상에 설계된 PIPS는 실시간 처리를 위한 kernel로 RTAP/Plus를 사용하였으며, SL-GMS를 이용하여 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발된 PIPS 데이타베이스의 특성 및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point name을 이용하여 계층적 구조를 구축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울진 3&4호기 설계 자료로부터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HP 715/100 workstation과 HP-UX 9.05 운영체제 개발환경에서 개발되었다.

  • PDF

버섯배지 재료로서 케나프의 이화학성 분석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as mushroom culture media source)

  • 강찬호;유영진;서상영;최규환;이기권;송영주;김정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07-211
    • /
    • 2015
  • Kenaf(Hibiscus cannabinus L.)의 버섯 배지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물리성과 영양원 함유량 등을 분석한 결과 배지의 형태를 유지하고 영양원의 공급기지 역할을 하는 주재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았으며 탄소, 질소 함량과 C/N율, 일반성분, 미량원소 그리고 아미노산 함량 등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배지 영양원으로서 역할도 기대할 수 있었다. 실제로 Kenaf는 다공성 세포구조 특성으로 높은 함수능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bast 부위의 경우 수분 흡수율이 578%로 수분 조절제와 산소 공급자 역할을 충실히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탄소 함량은 91.4%로 포플러톱밥이나 밀기울, 미강에 비해 아주 높았다. 총 질소는 1.76%로 배지 주재료로는 높은 특성을 유지하였으며 C/N율은 51.9 였다. 가용성무질소물은 46.6%로 미강 정도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탄소원 구성을 보면 cellulose 함량은 포플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lignin 함량은 낮았는데, 비교적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탄소원인 hemicellulose+pectin 혼합물이 포플러에 비해 3.7% 많았다. 무기이온 함량도 케나프가 포플러톱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았는데 Fe은 4.2배, P은 3.2배, K는 2.2배 많았고 Ca는 16 mg/kg 더 많았다. 아미노산 함량은 전체적으로 포플러톱밥보다 많았으며 미강보다는 함량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