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장행동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Beopdoli (법(法)돌이)

  • Lee, Dong-Woo
    • Korean Architects
    • /
    • s.513
    • /
    • pp.76-78
    • /
    • 2012
  • 2012년 벽두에 힘들고 어려운 건축설계시장의 근본적 문제점이 건축사의 적극적 권리주장의 부족함에 있지 않나하는 의문을 던져봅니다. 불합리한 제도의 개선과 관련 법 정비는 누군가가 해주는 것이 아니라 건축사 개개인의 인식과 실천하는 행동이 단체와 정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아닐까요? 민주주의의 성취와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는 그렇게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인류 역사가 시작된 후 인간이 이룩한 큰 성과가 세가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문자의 발명이고, 둘은 법의 재정이며, 마지막으로 회계(복식부기)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건축에 대비하면 근대화된 도서의 도입, 관련 법 그리고 대가기준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현대 건축은 BIM, IBS, 친환경인증, 에너지인증, 전문화된 설계와 인증 등으로 복잡함을 더하여 가고 있으나, 대가기준과 관련 법의 정비는 노력과 관심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에 건축설계의 법과 제도에 관계된 업무와 사례를 중심으로 5회에 걸친 기획연재를 준비하였습니다. 좋은 사례 발굴과 지속적인 관심이 있기를 바라며, 향후 더 좋은 내용으로 발전되기를 바랍니다.

  • PDF

Beopdoli (법(法)돌이)

  • Lee, Dong-Woo
    • Korean Architects
    • /
    • s.515
    • /
    • pp.68-71
    • /
    • 2012
  • 2012년 벽두에 힘들고 어려운 건축설계시장의 근본적 문제점이 건축사의 적극적 권리주장의 부족함에 있지 않나하는 의문을 던져봅니다. 불합리한 제도의 개선과 관련 법 정비는 누군가가 해주는 것이 아니라 건축사 개개인의 인식과 실천하는 행동이 단체와 정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아닐까요? 민주주의의 성취와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는 그렇게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인류 역사가 시작된 후 인간이 이룩한 큰 성과가 세가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문자의 발명이고, 둘은 법의 재정이며, 마지막으로 회계(복식부기)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건축에 대비하면 근대화된 도서의 도입, 관련 법 그리고 대가기준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현대 건축은 BIM, IBS, 친환경인증, 에너지인증, 전문화된 설계와 인증 등으로 복잡함을 더하여 가고 있으나, 대가기준과 관련 법의 정비는 노력과 관심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에 건축설계의 법과 제도에 관계된 업무와 사례를 중심으로 5회에 걸친 기획연재를 준비하였습니다. 좋은 사례 발굴과 지속적인 관심이 있기를 바라며, 향후 더 좋은 내용으로 발전되기를 바랍니다.

  • PDF

관능에 관여하는 의식요소와 식품관능평가의 시간함수개념

  • 전재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15-123
    • /
    • 2000
  • 식품의 관능검사는 인간의 의식과 식품간의 반응결과를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치, 언어적 묘사, 도표 등의 표현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검사 요원들 간의 오차를 발생한다. 이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통계 및 심리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을 시도해 오고 있으며 오차를 심리적 잡음 (psychological noise)이라고 주장되고 있다. 식품의 기호도는 감각신경세포에서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뇌에 전달되고 의식의 분석과 해석을 거쳐 얻어지는 것이므로 전기적 신호처리가 포함된다. 그러나 현재의 관능검사 방법들은 시간의 함수관계를 중시하고 있지 않다. 감각신경의 신호 전달체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관능검사과정에 시간함수를 도인하는 개념이 요구된다. 시간을 개입하는 방법론으로 의식과 식품간의 일어나는 순차적 또는 병열적 행동과 의식체계를 분석하고 시간인자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시간함수의 도입방법으로 관능영향인자 표의 구성하고 bar-code를 생성하는 프로그램과 파형곡선으로 전환하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 PDF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러시의 경합과 균형

  • 이남용
    • Review of KIISC
    • /
    • v.14 no.6
    • /
    • pp.46-52
    • /
    • 2004
  • 이 글의 목적은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버시 사이의 경합적 요인을 분석하고 균형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현재 대부분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기술의 핵심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에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식별은 익명성을 기반으로 하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합적 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익명성을 보장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기술들이 많이 제안되었으나, 그 대부분이 부분적인 문제에 대한 프로토콜의 형태로 이루어진 대안으로, 현재의 인터넷 환경, 사용자의 행동양식, 경제적 요인 등과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많아 적용하기 곤란하다. 한편, 디지털 저작권 보호를 위한 여러 기술적 노력들도 사실상 저작권 보호 효과는 미미한 반면, 사용자의 권리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요인을 증대시키고 있다. 현재의 상황은 디지털 저작권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을 위한 기술적 해결이 요원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균형을 위한 대안으로 법률에 의한 조정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가 효과적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기술적 완벽성보다는 사용자 편리성에 의한 실질적인 저작권보호와 법률과 사용자 계도를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를 제안한다.

'규칙따르기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비판적 분석

  • Park, Man-Yeop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9 no.1
    • /
    • pp.97-136
    • /
    • 2006
  •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개념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후기 철학의 궤적을 살피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비트겐슈타인의 규칙따르기 문제에 대해 회의적 해석으로 유명한 크립키는 "탐구"의 201절을 문제 삼으며 '역설'의 문제를 새로운 형식의 철학적 회의주의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논증이 비트겐슈타인의 관점과 무엇 때문에 충돌하는지를 밝히면서 그와 함께 비트겐슈타인이 '규칙의 역설'을 제시한 궁극적 이유를 규명하는데 있다. 규칙의 역설에 대한 크립키 논증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다룸으로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장할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 규칙은 우리들의 행동을 이끄는 지침의 역할을 하며, 규칙의 문제를 추론과 연관시켜 수학이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인간의 지적 활동이며, 규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은 귀납적 회의주의와 무관하다. 이런 맥락에서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 혹은 상대주의자로 평가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런 점에서 비트겐슈타인은 오히려 어떤 이론이나 선입견에 사로잡히지 않은 봄의 방식을 강조한 철학자로 평가하는 것이 옳다.

  • PDF

Beopdoli (법(法)돌이)

  • Lee, Dong-Woo
    • Korean Architects
    • /
    • s.514
    • /
    • pp.64-67
    • /
    • 2012
  • 2012년 벽두에 힘들고 어려운 건축설계시장의 근본적 문제점이 건축사의 적극적 권리주장의 부족함에 있지 않나하는 의문을 던져봅니다. 불합리한 제도의 개선과 관련 법 정비는 누군가가 해주는 것이 아니라 건축사 개개인의 인식과 실천하는 행동이 단체와 정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아닐까요? 민주주의의 성취와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는 그렇게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인류 역사가 시작된 후 인간이 이룩한 큰 성과가 세가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문자의 발명이고, 둘은 법의 재정이며, 마지막으로 회계(복식부기)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건축에 대비하면 근대화된 도서의 도입, 관련 법 그리고 대가기준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현대 건축은 BIM, IBS, 친환경인증, 에너지인증, 전문화된 설계와 인증 등으로 복잡함을 더하여 가고 있으나, 대가기준과 관련 법의 정비는 노력과 관심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이에 건축설계의 법과 제도에 관계된 업무와 사례를 중심으로 5회에 걸친 기획연재를 준비하였습니다. 좋은 사례 발굴과 지속적인 관심이 있기를 바라며, 향후 더 좋은 내용으로 발전되기를 바랍니다.

  • PDF

Effects of Sexual Autonomy, Sexual Assertiveness, Sexual Subjectivity on Sexual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의 성적 자율성, 성적 자기주장, 성 주체성이 성 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Yun-Hee;Cho, Gyoo-Yeong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6 no.6
    • /
    • pp.1332-13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xual autonomy, sexual assertiveness, sexual subjectivity on sexual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26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exual behavior were sexual attitude, sexual assertiveness, sexual autonomy and sexual subjectivity. And these factors explained 35.7% of the variance in sexual behavior.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sex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xual health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epresentation of the Vietnamese Guanyin in Relation with Asian Arts (아시아 예술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

  • TRANG, Thanh Hie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73-91
    • /
    • 2009
  • 베트남 관음상, 특히 천 개의 팔과 눈이 있는 관음상은 일반적으로는 아시아에서, 구체적으로는 동남아에서 종교 혼합주의의 가장 명백한 증거로 여겨질 수 있다. 그것은 인도와 더불어 특히 중국모델에서 전래된 몇 가지 구체적인 증거를 베트남 관음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많은 학자들은 시바를 관음상의 천개의 팔과 천개의 눈을 표상한 것의 원천으로 보았다. 베트남 관음상에 대한 중국문화의 영향은 그 영향이 직접적이며 장기간에 걸쳐 최근까지도 이어져져 왔기 때문에, 인도문화가 남긴 흔적들보다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화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비평가들은 베트남 관음상을 중국 관음상의 단순한 복제품으로 간주하게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 저자는 베트남 관음상은 여러 외국의 특징들을 흡수해 왔지만, 동시에 베트남의 심리와 행동, 개념, 토착 종교적 믿음에 상응하는 그만의 독특한 특징을 반영했다는 사실을 주장할 것이다. 천개의 팔과 눈을 가진 베트남 관음상은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베트남 특유의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아시아 관음상의 무한히 풍부한 다양성에 또 하나의 기여를 해 왔다.

  • PDF

The Impacts of Assertiveness on Attitudes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자기주장이 간호사와 의사의 협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Min;Ryu, Young Ho;Kim, Ju Hy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24 no.4
    • /
    • pp.326-33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nursing students from a college in K city, an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y posting a recruitment announc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6 to 29, 2018 and analyzed using SPSS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heff?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ttitudes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the reflection of opinion within the family, and the number of the counselor in general characteristics. Assertiveness and attitudes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howed weak positive correlation (r=.18, p=.011).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affecting factor was junior grade (${\beta}=.25$), followed by positive assertiveness (${\beta}=.18$) and the number of the counselor (${\beta}=.14$). These variables explained 12.0% of the total variance in attitudes towards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Conclusion: To create positive attitudes toward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in nursing students,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assertiveness on communication skills need to be provided from the lower grades. Also, a multidisciplinary simul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be able to experience the situation of nurses and physicians.

Risk and Risk Perception of Nanotechnology (나노기술에 있어서의 위험과 위험인지)

  • Yi,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9 no.6
    • /
    • pp.453-459
    • /
    • 2010
  • Nanotechnology is now widely believed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echno-sciences of the future. Or at least it is believed that way in most of industrial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Naturally, the governments of these industrial countries are currently investing a sizable portion of thei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go ahead in this prominent area of research. Consequently, nanotechnology in these countries has become one of the social sectors where reasonable accountability is normally called for. I claim that reasonable accountability of nanotechnolog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risk-perception of citizens as regards nanotechnology as well as its risk itself. Risk-perception could be variable, changeable, and prone to be polarized; still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public risk-perception because it is clearly effective in mobilizing public movements, objective in the intersubjective way, and legitimate in a democratic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