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장과 증거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s Every Argument from Ignorance Fallacious? (무지로부터의 논증, 모두 오류인가?)

  • Song, Ha-Su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3 no.2
    • /
    • pp.61-82
    • /
    • 2010
  • The argument from ignorance that knowledge conclusion is derived from ignorance premises is claimed to be fallacious by many logicians such as I. Copi. According to them, some arguments from ignorance which seem to be acceptable are not really the arguments from ignorance. They say that such arguments have implicitly conditional knowledge premise. Against them, I argue that every argument from ignoranc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hidden conditional premise, and that every argument from ignorance is not fallacious. I propose the criterion to judge which argument from ignorance is fallacious and which is persuasive. In particular, I argue that social contexts play a crucial role to judge whether a practical argument is fallacious or not.

  • PDF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Socioscientific Issues Classes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수업의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에서 나타나는 특징)

  • Kim, Minhwan;Nam, Hyein;Kim, Sunghoon;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135-145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rgumentation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socioscientific issues (SSI) discussion classes. Twenty-sev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SI discussion classes on nuclear power generation.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classes and also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For the analyses, we revised a previous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to analyze dialogic argumentations in the context of SSI. The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more discourse schemes in the classroom discussions than the group discussions which are related to awareness and openness to multiple perspectives, evidence based reasoning, and on-going inquiry and skepticism. And there were few discourse schemes related to moral and ethical sensitivity in the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Various grounds, data, and information were presented in the classroom discussions. Students concentrated on carrying their claims and were not able to sympathize with and accept other opinions. Therefore, there were few discourse schemes to reach consensus. In addition, they perceived classroom discussions as competitive and actively rebutted other claims or grounds. The levels of argumentation were also high in the classroom discussions. The group discussions were held in relaxed atmosphere, and they asked the opponents more for clarific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and evidences. However, classroom discussions were held in serious atmosphere, and they actively queried the validity of the claims or grounds.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to implement SSI discussion classe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Analyzing Metadata and File Structure of Audio Files for Legal Evidence: Focusing on Samsung Smartphones (법적 증거 능력을 위한 오디오 파일의 메타데이터 및 파일 구조 분석의 한계: 삼성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 Sungwon Baek;Homin Son;Jae Wan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1103-1109
    • /
    • 2023
  • Today, as the number of audio files submitted as legal evidence increases with the proliferation of smartphones, the integrity of audio file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metadata and file structure of audio files recorded on Samsung smartphones can be manipulated to be identical to the original. This study was based on Samsung smartphones, the most widely used in Korea, and conducted experiments on the built-in voice recording app and the 'Easy Voice Recorder' app, which is the most popular recording app. Through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it was proven that the metadata and file structure of audio files can be manipulated. Therefore, this study reveals that metadata and file structure analysis have limitations in proving the integrity when audio files are analyzed for adoption as legal evidence. They also argue for the need to develop new voice file forgery technology that does not rely on metadata and file structure analysis.

A Study on Forgery Techniques of Smartphone Voice Recording File Structure and Metadata (스마트폰 음성녹음 파일 구조 및 메타데이터의 위변조 기법에 관한 연구)

  • Park, Jae Wan;Kwak, Won Jun;Lee, John Sangh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807-812
    • /
    • 2022
  • Recently, as the number of voice recording files submitted as court evidence increases, the number of cases claiming forgery is also increasing. If the audio recording file structure and metadata, which are objective grounds, are completely forged,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detect forgery of the sophisticated audio recording file. It is extremely rare for the court to reject the file structure and metadata analysis performed with the forged audio recording f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forgery of voice recording file structure and metadata is easily possible. To this end, in this study, it was introduced that forgery detection is impossible when the 'mixed paste' function, which enables sophisticated editing based on the typification of the editing method of voice recording files, is applied. Moreover, it has been proven through experiments that forgery of file structure and metadata is possible. Therefore, a stricter standard for judg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required when the audio recording file is adopted as digital evidence.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standard of integrity in the adoption of digital evidence by judges, but will also contribute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dataset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tecting forgery of recorded files tha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한국(韓國) 주식시장(株式市場)에서 주가(株價)는 비합리적(非合理的)로 결정(決定)되는가? - 주가결정모형(株價決定模型)의 실증분석(實證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 Kim, Gyu-Ye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0 no.2
    • /
    • pp.239-26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주가결정과정에 비합리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정가하기 위하여 Fama-French(1988)의 검증방법론을 이용하여 한국종합주가지수, 자본금규모별 주가지수, 산업 별 주가지수, 그리고 한경다우지수 등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주가의 평균회귀과정(mean-reverting process)이 주식수익률들간의 음의 자기상관관계를 유발한다는 관찰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미국에서의 실증분석 결과와는 판이하게 주식수익률들이 2년까지의 수익률계산기간(return horizon)에서 지속적인 양의 자기 상관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실증분식결과는 대상주가지수에 관계없이 일관성있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Fama-French(1988)의 결과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경우 주가에 비합리적인 평균회귀요소(mean-reverting components)가 포함되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이 반드시 우리 주식 시장에서의 주가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단지 본 연구에서 주장되고 있는 것은 우리 주식시장에서의 주가결정과정을 랜덤웍과 평균회귀과정의 합성 혹은 평균회귀과정 그 자체로 모형화하려는 시도는 실증적 증거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다는

  • PDF

기업의 원격 포렌식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Park, Bo-Ra;Shim, Mi-Na;Lee, Sang-Jin
    • Review of KIISC
    • /
    • v.18 no.1
    • /
    • pp.20-28
    • /
    • 2008
  • 많은 기업이 대형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 내 외의 정보교환과 업무 원활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인트라넷(Intranet) 혹은 인터넷의 사용은 기업의 기밀 유출 혹은 사원들의 컴퓨터 자원 낭비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는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내기도 한다. 또한 E-discovery법의 시행에 앞서서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법적인 분쟁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업은 디지털 증거들을 사전에 수집하고 보관 및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업들은 디지털 포렌식에 관한 정책 및 기술을 정립하고 확보해야 하며 특히, 원격 포렌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정보보호 정책과 기술을 바탕으로 한 원격 포렌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기업 내 정보 유출의 방지, 포렌식 관점에서의 정보수집 및 분석 그리고 법정 소송에의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업의 정보보안에 관한 노력과 예산을 많이 줄여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포렌식 시스템의 개념, 그리고 각국의 원격 포렌식 시스템 구축 현황을 바탕으로 기업에서의 원격 포렌식 시스템 구축에 관한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순이익의 영구부분과 일시부분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 미국자료를 사용한 결과

  • Bae, Gil-S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135-161
    • /
    • 1998
  • 본 논문은 Beveridge와 Nelson의 시계열분리 기법을 사용해 순이익을 영구부분과 일시부분으로 분리하여 널리 알려진 순이익 발표 후 주가의 표류가 투자자들이 순이익의 일시부분을 불완전하게 고려하는 데서 온다는 Rendleman, Jones, 및 Latane(1987)(RJL)와 Bernard와 Thomas(BT)의 주장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주식시장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은 투자자들이 순이익의 일시부분도 완전하게 고려한다고 보는 반면 RJL와 BT는 투자자들이 순이익의 일시부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투자자들이 순이익의 일시부분에 어느 정도의 비중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포괄적인 관점을 검증하고 또 투자자들이 규모가 작은 기업의 일시부분에 대해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보다 더 작은 비중을 부여한다는 가설을 추가로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예상과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미국 주식시장에서 널리 알려진 변칙현상인 순이익 발표 후 지속적인 주가의 변동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며, 아울러 본 논문에서 사용하고 있는 순이익의 시계열분리를 통한 분석은 우리나라 주식시장 자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전망된다.

  • PDF

Randomized government safety inspections reduce worker injuries with no detectable job loss (국외논문정보 - 무작위 산업안전 감독이 고용 감소 없이 산재사고를 줄인다)

  • Levine, D.I.;Toffel, M.W.;Johnson, M.S.
    • 월간산업보건
    • /
    • s.296
    • /
    • pp.52-56
    • /
    • 2012
  • 산업안전보건의 규제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있다. 일부 사람들은 작업장의 규제가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일자리를 없앤다고 하고, 다른 사람들은 규제가 사업주나 근로자에게 최소의 비용으로 작업장을 안전하게 지킨다고 주장한다. 저자들은 산업안전 감독이 산재율과 다른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통상적인 현장 감독을 분석했다. 무작위로 선정되어 감독을 실시한 409개의 캘리포니아 소재 기업과 감독대상이지만 감독을 실시하지 않은 동수의 기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분석했다. 대조군에 비해 감독을 받은 기업은 재해율이 9.4%(95% 신뢰구간: -0.177~-0.021) 감소했고, 사고관련 비용은 26%(95% 신뢰 구간: -0.513~-0.083)가 감소했다. 저자들은 이러한 개선이 고용, 판매, 신뢰지수 및 기업의 생존의 희생 댓가로 얻어졌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 PDF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Government's Presidential Archives : Focusing on Re-organiz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참여정부 대통령기록 연구 기록 재조직을 중심으로)

  • Kwak, Kun-ho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1
    • /
    • pp.5-29
    • /
    • 2019
  •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Participating Government were left as a result of record production innovation. The record proves the whol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nd serves as a means of enhancing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This article analyzed the existence form of records and asserted the necessity of reorganiz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e-organization of records, we proposed a redesign of th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logical re-registration of records, and description of record detail informa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archives, the Presidential Archives should proceed with these tasks at the earliest opport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