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의력테스트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색채 조명 자극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우석;김기범;권대규;홍철운;김남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99-299
    • /
    • 2004
  • 우리 주변에는 항상 다양한 색채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색채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또한 생체는 늘 빛을 요구하는데 빛의 강약이나 색채에 의하여 나타나는 감성 변화를 객관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다양한 색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심리학분야에서 정성적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색채심리학의 한 분야로서 감각기관의 기능분석에 관한 연구들이 일부 진행되었고 기초의학분야에서도 그 치료효과는 검증이 안 되었으나 점차로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중략)

  • PDF

색채 조명 자극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by Color Light Stimulation)

  • 정우석;유미;권대규;김남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31-136
    • /
    • 2007
  •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color stimul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human quantitatively. For the stimulations we used color lights with 6 color filters such as red, yellow, green, blue, violet and whit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soundproof chamber. 50 young male and female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o find the appropriate color cognitive function, the endogenous visuospatial attention task(EVAT) and one back working memory task(OWMT) were performed. The reaction time and accuracy degree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ction time of EVAT was the fastest and the accuracy degree of attention task was the highest in green environment. The reaction time of OWMT was the fastest in yellow and the accuracy degree of memory task was the highest in blue.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we measured electrocardiogram(ECG) and HRV spectrum analysis, HF/LF color environ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in the design of color environment and clinical applications.

카메라 영상 분석 기반 운전자 졸음 인식 시스템 (Driver drowsiness recognition system based on camera image analysis)

  • 김현석;최민수;배유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19-722
    • /
    • 2016
  • 운전자의 주의력 감쇠는 교통사고 요인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주의력 감쇠는 무선 통화, 기기 조작, 졸음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자동차 대형사고의 대부분은 졸음운전으로 인하여 일어나며, 졸음운전 시에는 운전자의 운전조작 및 방어 조작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본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처리하여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인식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에게 졸음방지 기능을 제공한다. Haar-Like Feature cascade classifier 방법을 사용하여 얼굴 및 눈 영역 검출을 하였고 Open Eye, Closed Eye가 학습된 MLP(Multi-Layer Perceptron)를 이용해 눈 깜박임을 인식하여 PERCLOS(Percentage of Eye Close)방법으로 졸음을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의 인식률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인식률 테스트를 하였다.

색채 환경 기반의 인체 반응 정보 측정 시스템 (A Measurement System for Color Environment-based Human Body Reaction)

  • 김지언;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65
    • /
    • 2016
  • 색채 환경에 따라 인지반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의학 분야에서 색채 환경기반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환자 상태의 파악과 치료 그리고 뇌활동의 규명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색채조명 또는 LED를 이용한 색채 환경을 구축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나 다른 광원에 노출 되어 심리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HMD(Head-Mounted-Display)를 이용하여 피험자에게 완벽한 색채 환경조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체반응정도 측정을 위해 기억력-주의력 테스트하는 동안 BMS(Bio-Medical-System)으로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색채별 인체반응정도 측정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하는 생체정보는 심전도(ECG), 호흡(Respiration), 산소포화도(SpO2), 임피던스(Bio-Impedance), 혈압(Blood-Pressure) 이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와함께, 인체의 인지반응을 측정하기위해 기억력-주의력 테스트는 앱으로 구현하여 색채 조건별 인지반응 정보를 측정하고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된 인체반응정보를 활용하여 생리학적 정보의 정량화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색채 환경과 생리학적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의학적 진단 및 치료에 응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로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및 시각화 기능을 추가하고, 치매 질환의 예측 및 치료를 위한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운전자 교통사고 특성 및 저감방안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and Reduction Methods by Elderly Drivers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Focused on Jeju-)

  • 김경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51-16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유형과 특성 등을 분석하여 교통사고 저감방안을 도출하고, 향후 노인을 위한 실제적인 교통안전정책의 방향 수립에 있다. 노인운전자의 교통사고 실태를 분석한 결과, 노인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는 조명시설 등 교통안전시설물 설치가 열악한 도시 외곽지역인 지방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는 18~20시 사이로 태양빛이 사라지고 어둠이 드리우는 일몰시간대로 나타났다. 안전운전의무 불이행과 같은 주의력 부족에 의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다. 노인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감소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안전을 위해서는 교통약자인 노인을 배려하는 법제도의 개선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도로안전시설물 등의 정비가 필요하며, 신체적 능력이 저하된 노인운전자는 자신 스스로가 자신의 운전능력을 의심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신뢰 기재인 면허갱신제도 등에 의한 테스트와 대체교통수단 이용을 통한 직접 운전수요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