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요 시설

Search Result 4,57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 주기 (DUPIC)관련 핵물질 보장조치 (Safeguards)

  • 나원우;이용덕;차홍렬;김호동;홍종숙;박현수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7 no.3
    • /
    • pp.447-452
    • /
    • 1995
  • 경·중수로 연계 핵연료 주기 (Direct Use of Spent PWR Fuel in CANDU : DUPIC ) 기술개발의 핵물질 보장조치(Safeguards)는 경수로 사용후 핵연료를 중수로에 재 활용하기 위한 DUPIC 공정에 대한 최적 보장조치 시스템을 구축하여, 국제 원자력 기구(IAEA) 및 국제 원자력 사회에서 핵 투명성확보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개발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DUPIC 공정은 고립된 차폐시설내의 고준위 방사선장 하에서 가동되므로 타 시설에 비해 핵 물질 전용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전 공정이 원격제어 되야 하고, 조업조건이 정복해야 하므로 기존의 보장조치 기술보다 더욱 발전된 계량관리시스템, 측정시스템 및 감시시스템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요소 분석 및 각 항목별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DUPIC 공정 전반에 대한 핵물질 계량관리를 위해 물질수지구역 (Material Balance Area : MBA) 및 주요측정 지점 (Key Measurement Point : KMP )을 설정하여 각 측정지점별 측정방법 및 재고검증(Inventory Verification) 방법을 분석하였다. 최적 측정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비파괴분석 방법들을 분석한 결과, 핵분열성 물질 함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동적 중성자 측정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전용전략의 주요 요소 및 전용경로 등을 분석하였으며, 핵물질 및 시설에 대한 물리적 방호체제를 DUPIC시설에 적용하기 위하여 물리적 방호에 필요한 방호체제 요소를 분석하여 DUPIC 시설을 위한 가상적인 방호체제를 구축하였다.

  • PDF

Effect Analysis of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도시 물순환개선을 위한 빗물관리시설의 효과분석)

  • Park, Sung Chun;Gwak, Pil Jeong;Lim, Ok Geun;Kim, Jong 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82-486
    • /
    • 2016
  • 광주광역시 도심유역의 14개 단위유역(영본B02~영본B25)으로 면적 $501.19km^2$ 중 약 42%에 해당하는 $211.86km^2$을 대상유역으로 분산식 빗물관리에 의한 물순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지목별 저감대상 면적은 대지, 창고, 공장용지는 전체면적의 15%, 주유소, 학교, 잡종지, 종교용지, 주차장은 5%, 도로는 10%를 적용하여 저감대상 산출면적은 $9.1km^2$로 설정하였으며, 초기강우 10mm에 대한 초기강우유출량 $90,885m^2$이 발생하며 이는 각 단위유역의 토지이용별로 침투통, 침투측구, 침투화분, 침투도랑, 수목여과박스, 식생수로, 빗물저금통, 투수블럭의 8개 시설에 의해 침투 및 저류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의 대상유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발생부하량은 8,439.16kg/일으로 그 중 2.4%에 해당하는 210.186kg/일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빗물 관리시설에 의해서 삭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빗물관리시설의 총 투자비용은 약 322억원이며, 효과 비용은 343억원으로 산정되었다.

  • PDF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of Seaport Hinterland in Gwangyang Port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업무.편의시설 구상)

  • Joo, Kyeongwon;Park, Byung-I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0 no.4
    • /
    • pp.91-110
    • /
    • 2014
  •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build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for the major port such as Busan, Gwangyang, and Incheon in order to activate the hinterland in each port. The foreign ports in Germany, Japan and China is competing with Korean ports are developing the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of seaport hinterland in order to support urban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emand for the facility of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planned in the Gwangyang seaport hinterland, then to propose its utilization plans. By the demand forecasting, the districts and amenities need to be full of office, accommodation and commercial facilities, etc. In addition, the districts need to be developed gradually for the target of 2035, considering the demand growth. Leasing out the property to secular tenants, it needs to charge rent for profits of port author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se the National Ports Act for the private agency to take part in building the facilitie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시설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Bum-Jin;Yeom, Dong-geol;Kim, Se-bin;Kyeon, ChiWon;Joung, Dawou;Kim, GeonWoo;Choi, Yoo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85-29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through the domestic case analysis, so that we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to the policy on Korea Forest Welfare. For this, we brought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together from scattered sources. As th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first, there is the quantitative imbalance of fores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ach life cycle. Second,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in urban areas. Third, the facilities are mostly located in national or public forests.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we suggest several things as follows that is applicable to the related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meet the needs of facilities that need to be built evenly for each life-cycle. Second, facilities of the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which is adjacent to the life zone should be built more to increase accessibility. Third, forests in Korea are almost comprised of private forests. Using only national and public forests has an unfavorable condition to confer a benefits of forest welfare on the people evenly than usi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forests all togeth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vigorate private capital and utilize private forests so that the favorable condition can be made to confer a benefits of forest welfare on the people evenly and adjust balance of the quantity for the facilities of forest welfare.

KEPIC 화재분야의 적용성을 위한 국내.외 소방용품 성능 검증

  • Ha, Dong-Myeong;Kim, Dong-Il;Kim, Dong-Seok;Choe, Mun-Su;Yu, Ho-Jeong;Park,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218-218
    • /
    • 2013
  •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기준인 KEPIC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기준과 대부분의 소방시설관련 NFPA 기준에서는 소방시설 또는 소방시설에 사용하는 구성품(이하 "소방용품"이라 한다)은 관할기관(AHJ : Authority Having Jurisdiction) 받아들일 수 있는 인증(Approved) 되거나 등록된(Listed)된 제품을 사용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KEPIC 기준이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 적용되기 위한 선결과제로 KEPIC 기준에서 요구하는 소방용품의 수급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의 검토가 필요하다. KEPIC 기준은 대부분 NFPA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KEPIC 기준대로 설계가 이루어지려면 NFPA 기준에서 요구하는 동등이상의 구조와 성능을 갖는 소방용품으로 소방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UL인증제품이나 FM인증제품이 NFPA 기준에서 의미하는 관할기관이 요구하는 인증 및 등록된 제품으로 인정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소방관계법규에 근거하여 정부규격(소방방재청 고시)에 의해 주요 소방용품에 대한 의무검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에 KEPIC 기준을 적용할 경우 소방용품의 수급이 원활치 않을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 검정받은 소방용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지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내 소방검정제도와 미국 UL인증제도를 비교하고 또한 국내 기술기준과 UL인증 시험기준이 있는 대표적 주요 소방용품 10가지에 대한 국내검정기준과 미국 UL인증 시험기준의 비교분석 등을 통하여 원자력발전소 화재방호에 KEPIC기준이 적용될 경우에 합리적인 소방용품의 적용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in Dhulikhel Municipality, Nepal (네팔 둘리켈시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방안)

  • Dong Woo Jang;Seo Hyun Cheon;Joo W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7-77
    • /
    • 2023
  • 네팔은 6천여 개가 넘는 강이 존재하며 불안정한 기후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노후된 상수도 시설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물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네팔 카트만두 인근의 소도시인 둘리켈시를 대상지역으로 하여 스마트 물관리 도입 방안에 대한 타당성 연구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물관리(SWM)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수도 관리 기술이 둘리켈시 수돗물 공급 전과정에서 수량·수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연구로 국내 스마트물관리 기술의 네팔 적용성 분석, 수운영 자료및 현황 조사, 스마트 물관리 도입을 위한 수도 시설의 설계 방향을 수립하였고, 기술 도입과 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물관리 기술의 적용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리 계측데이터의 분석, 수원지, 정수장, 주요 관로에서의 수질을 분석하였다. 이외에 관망수리해석을 기반으로 대상지역 내 공급가능한 수량을 산정하였고, 상수도 공급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추가시설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조건에서의 상수도 운영, 관리체계를 분석하여 노후화된 상수도 시설의 개선 및 보완 방안, 스마트 물관리 기술 도입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물관리 인프라가 둘리켈시에 도입될 경우, 물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수질 안정성 확보, 상수관망에서 수질 및 누수 사고에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인근 카트만두를 비롯한 지방 소도시에도 스마트 물관리 기술적용에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