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of Seaport Hinterland in Gwangyang Port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업무.편의시설 구상

  • Received : 2014.11.02
  • Accepted : 2014.12.0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is planning to build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for the major port such as Busan, Gwangyang, and Incheon in order to activate the hinterland in each port. The foreign ports in Germany, Japan and China is competing with Korean ports are developing the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of seaport hinterland in order to support urban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demand for the facility of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planned in the Gwangyang seaport hinterland, then to propose its utilization plans. By the demand forecasting, the districts and amenities need to be full of office, accommodation and commercial facilities, etc. In addition, the districts need to be developed gradually for the target of 2035, considering the demand growth. Leasing out the property to secular tenants, it needs to charge rent for profits of port author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vise the National Ports Act for the private agency to take part in building the facilitie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정부는 주요항만 배후단지를 활성화하기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물류와 비즈니스의 연계강화를 통한 '국제 항만물류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상하고 있고, 이를 위해 업무 편의시설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의 주요항만과 경쟁하고 있는 유럽, 중국, 일본 등의 항만들도 항만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업무 편의시설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업무 편의에 대한 사례분석과 광양항 업무 편의시설에 대한 수요추정을 통해 광양항 업무 편의시설의 활용방안, 개발단계, 운영방안 등을 제시한다. 광양항 업무 편의 시설은 업무 숙박 상업시설 중심의 개발이 필요하며, 수요를 추정한 결과 2035년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토지임대시 수익성 있는 토지임대료를 책정하고, 조기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민간분양을 위해서는 항만배후부지에 대행개발 등의 민간투자를 허용하는 방향으로의 항만법의 추후 개정도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사(2009), 세계 항만도시 성공사례, 9월-10월.
  2. 국토해양부(2013), 제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자료.
  3. 국토해양부(2012), 제2차 항만배후단지 개발계획[2012-2020], 최종보고서.
  4. 김근섭(2006), "항만물동량 창출지원 위한 항만도시(Port City) 개발," 해양수산동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1236권, 1-6.
  5. 김상일(2005), 서울시 업무공간 수요예측 및 공급가능성 진단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김형근.김근섭.전형모.정경선(2011), 부가가치 창출 극대화를 위한 항만배후단지 발전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7. 김형태(2001), "일본의 항만배후단지 개발.운영제도와 시사점," 월간 해양수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206호.
  8. 부산신항만주식회사(1998), 부산신항 배후지 및 부대사업지 개발 기본방향 설정 및 수요분석, 최종보고서
  9. 부산신항만주식회사(1999), 부산신항만 개발 북컨테이너터미널 배후부지 기본계획 보고서, 최종보고서.
  10. 삼일회계법인 컨소시엄(2011), 광양항 Ocean-Biz(국제업무단지) 투자유치 전략수립 용역,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11. 인천공항공사(2007), 인천국제공항 Air-City 개발기본계획 및 실행계획 수립용역.
  12. 인천항만공사(2009), 신규 항만배후단지 관리.운영방안 연구용역.
  13. 한국개발연구원(2002),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14. 한국개발연구원(2011), 부가가치항만 배후단지발전방안.
  15.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7), 광양항과 배후물류단지 종합육성전략 및 세부 추진방안 수립 연구용역.
  16. YGPA(2013), 광양항 배후부지 업무.편의시설 단지 활용방안 연구용역.
  17. 港灣計劃硏究會編(1997), 港灣計劃書作成マニュアル, 日本港灣協會.
  18. Port of Rotterdam(2012), Annual Report 2011.
  19. Carmichael, D. R.(2003), Accountants' Handbook, Special Industries and Special Topic, Vol. 2, 10th ed., John Wiley & Sons, Inc.
  20. Hesse, M.(2010), "Cities, material flows and the geography of spatial interaction: urban places in the systems of chains," Global Networks, 10(1), 75-91. https://doi.org/10.1111/j.1471-0374.2010.00275.x
  21. Hoyle, B. S.(1989), "The Port-City Interface : Trends, Problems and Examples," Geoforum, 20(4), 429-435. https://doi.org/10.1016/0016-7185(89)90026-2
  22. Mayo, E. J., Javis, L. P. and Xander, J. A. (1988), "Beyond the Gravity Model,"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3&4), 23-29. https://doi.org/10.1007/BF02723355
  23. Reilly, W. J.(1929), Research Monograph No. 4, University of Texas Bulletin No. 2944,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4. Wang. C. and Ducruet, C.(2012), "New port development and global city making: emergence of the Shanghai-Yanshan multi-layered gateway hub,"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5, 58-69.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2.07.008
  25. West, N.(1989), "Urban-waterfront Developments: a Geographic Problem in Search of a Model," Geoforum, 20(4), 459-468. https://doi.org/10.1016/0016-7185(89)900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