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요선형특성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9초

HPA의 비선형 위상 왜곡을 고려한 타입기반 군 지연 등화기 (Type-Based Group Delay Equalizer Considering the Nonlinear Phase Distortion of HPA)

  • 김용국;조병각;백광훈;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A권10호
    • /
    • pp.895-90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전력증폭기(PA:power amplifier)의 AM/PM 비선형 왜곡특성을 포함하는 군 지연을 보상하는 새로운 등화기를 제안한다. 군 지연 특성은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상수가 아닌 비선형 시간지연이다. 전력증폭기에서 발생되는 AM/PM 특성으로 인한 위상 왜곡 현상은 군 지연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군 지연 왜곡으로 신호 성상도에서 신호는 퍼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각 주파수 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비선형 시간지연을 정적인 군지연으로 구분하고, PA의 AM/PM 특성인 입력신호 크기에 따라서 위상 천이가 다르게 발생하는 것을 동적인 군 지연으로 구분한다. 정적인 군 지연은 주파수 영역에서 Type-Based 방법으로 위상 왜곡을 추정 및 보상하고 동적인 군 지연은 시간영역에서 위상회전을 보상한다. 제안된 군 지연 보상기법으로 전력증폭기의 AM/PM 특성을 포함한 군 지연 특성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역 특성이 하천 총인 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watershed characteristics on river TP concentration)

  • 서지유;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5-16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하천 수질이 저하되고 있다. 이는 수생태계의 손상을 야기하고 인류를 위한 하천의 물 공급원 기능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 오염된 수생태계에 대한 효과적인 맞춤형 관리전략을 수립하려면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 요인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적 및 공간적 변동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전체 유역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인 변동성에 집중하여 하천 수질의 공간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낙동강 유역 전역의 40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서 5년 동안 수집된 하천 총인 농도와 유역특성 자료를 사용하였다.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통계모델 선정을 위해 완전 탐색 접근법과 베이지안 추론이 적용되었다. 완전 탐색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1 단계 완전 탐색의 결과로 유역특성 자료들의 중요도가 선정되었으며 2 단계 완전탐색 결과로 통계모델이 우선 선정되었다. 우선 선정된 통계모델은 베이지안 추론을 통해 모델의 정확도와 불확실성이 분석되었고 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한 최적 모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낙동강 하천 총인 농도의 공간적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역특성에 대한 통찰력이 제공된다. 또한 식별된 주요 유역특성은 유역특성 변화에 대한 하천의 수질 반응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위성용 카메라 비선형 모델의 잡음 특성 분석과 영상 신호-잡음비(Image SNR) 분포도 계산 (Noise Analysis of Nonlinear Image Sensor Model with Application to SNR Estimation)

  • 명환춘;이상곤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1호
    • /
    • pp.58-65
    • /
    • 2009
  • 본 논문은 검출기의 포화과정을 반영한 비선형 모델의 잡음 특성을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결과를 영상 신호-잡음비(Image SNR)의 분포도를 계산하기위하여 적용한다. 특별히, 검출 화소의 비선형성은 잡음분포(PDF)의 비대칭성과 화소 신호-잡음비(Pixel SNR)의 증폭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되며, 제안된 영상 신호-잡음비 분포도를 이용하여 위성의 발사 후에 카메라 이득의 변화나 기타 상황에서도, 궤도상에서 최적의 위성 카메라 운영 변수들(노출시간, 누적횟수)을 얻을 수 있음이 주요한 특징으로 강조된다.

  • PDF

지역별 강우 및 토양특성을 고려한 경사면에서의 지하수위 변동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at Slops considering Regional Precipi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 이일주;최병규;김경욱;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34-19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과거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 산사태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 산사태 발생을 유발시키는 요인과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까지 발생한 산사태의 붕괴 지역을 조사하고 주요 원인을 강우, 토양, 침투, 경사의 4가지 경우로 나누어 이에 대한 지역별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지역별 확률 강우량 산정 후, 이를 토대로 침투량과 유출량을 분리하여 경사면에서의 침투거동과 지하수위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SEEP/W를 이용하여 지역별 산사태 붕괴원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부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피해형태는 사면의 위치별로 다르게 나타고 있어 지역별로 산사태 붕괴원인에 따른 적합한 대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배수량형 초고속선의 선형설계 및 저항특성 추정을 위한 체계적 연구 (Systematic Study on the Hull Form Design and the Resistance Predict Displacement Type Super High - Speed Ships)

  • 민계식;강선형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32-47
    • /
    • 1996
  • 배수량형 초고속선의 선형 설계방법 및 최적치수 선정과 저항특성 추정을 위한 체계적인 이론적,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최소저항이론 및 단면변화 선형식에 의한 배수량형 초고속선의 선형 설계 방법을 정립한 후 개발된 방법을 활용하여 주요 설계변수의 체계적인 변화에 따른 60척의 계열선형(series hull form)을 설계하였으며 계열선형에 대한 모형시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초고속선에 대한 이와 같은 체계적인 다목적 연구는 세계 최초라고 생각되며 연구 수행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준비된 전산 프로그램은 배수량형 초고속선 설계를 위한 휼륭한 도구로써 현재 극히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 PDF

비선형 해석을 위한 전단벽 보강기둥의 단순 반복이력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Simplified Hystersis Model of Boundary Column of Shear Wall for the Nonlinear Analysis)

  • 이영욱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5-153
    • /
    • 1997
  • 전단벽제 양단의 보강기둥은 비선형 휨거동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구조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 벽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인 TVLEM에서, 수직 스프링 요소로 표현되는 보강기둥의 반복이력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의 모델과 비교 검토하였다. 제안된 단순모델은 Vulcano의 모델 중 철근의 거동을 이중직선으로 가정하여 유도되었으며, 제안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Vulcano와 Kabeyasawa의 모델 사용시의 수치해석 값과 비교하였다. 비선형 해석은 자체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Vallenas와 Bertero가 실험(1979)한 SP6의 모델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반복이력특성과 변위이력 및 발산에너지량을 비교하였다.

축소 모형실험을 통한 광센서 선형 화재 감지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Optical Sensor Linear Fire Detection System with Miniature Model Fire Experiment)

  • 김동은;김시국;이영신;이춘하;임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9-26
    • /
    • 2016
  • 본 논문은 국내 주요 시설 및 국가 기반 시설로 변화되고 있는 터널 및 지하 공동구의 조기화재탐지설비시스템 설치에 이용되고 있는 광센서 선형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한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저온 환경인 $-20^{\circ}C$에서 5일간 5가지의 열감지기 중에서 작동 여부를 확인한 결과 광센서 선형 감지기만 작동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터널과 같은 풍속이 발생되는 곳을 가정하여 축소 모형 터널을 제작하여 0 m/s와 1 m/s를 변수로 하여 광센서 선형 감지기의 작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광센서 선형 감지 시스템의 온도 변화에 있어서는 풍속이 없을 때인 0 m/s 때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LS 2-GeV 선형가속기를 위한 S-band용 도파관 밸브의 개발 (Development of S-band Waveguide Valve for PLS 2-GeV Linac)

  • 박주식;남궁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4-134
    • /
    • 1995
  •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는 PLS 2-GeV 선형가속기 클라이스트론의 교체 및 보수시에 사용하기 위하여, 80 MW급 S-band의 도파관 밸브를 개발중에 있다. PLS형 도파관 밸브는 결합수단 없이 대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전력전송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본 도파관 밸브의 주요구성부는 밀착구동체를 갖는 U자형 도파관부, 두 개의 H-코너가 부착된 진공함, 그리고 두 개의 Viton O-링이 장착된 진공기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제품용 도파관 밸브의 특성조사 결과, 펄스폭 3.5 $\mu$sec, 반복율 30 Hz에서 65MW의 전력전송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PLS도파관 밸브의 설계 개념, 기계적 특성 및 가공의 순으로 자세히 논할 것이며, 또한 현재까지의 실험결과 및 앞으로의 계획에 대하여 보고하기로 한다.

  • PDF

중국 송대 해선의 주요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 Sea-Going Ship's Type of Chinese Song Dynasty)

  • 최운봉;허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5-40
    • /
    • 2004
  • 선박은 물을 떠날 수 없고, 항로의 자연환경에 따라 항행해야 하기 때문에 항행하는 해역환경에 의하여 선박의 특성이 결정된다. 중국의 남방과 북방의 해역은 상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남방의 해역은 수심이 갚고, 북방의 해역은 수심이 얕다. 중국의 조선기술은 이러한 해역특성에 적응하여 상이한 선형이 발명, 발전되었다.

  • PDF

지방부 신호교차로 사고특성분석 및 모형개발 (청주.청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Accident Models in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of Cheongju and Cheongwon)

  • 박병호;유두선;양정모;이영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5-46
    • /
    • 2008
  • 본 연구는 지방부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고 사고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와 청원군의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다중선형, 포아송 및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특성 분석을 통해 지방부 교통사고의 특성이 요인별로 파악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4개의 사고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균차로폭차($X_2$)와 교차로간거리 ($X_{11}$)가 지방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특정변수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