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심도리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내목도리의 발생과 시대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rrence and A change in the times of the Nemok-dori)

  • 허경도;정명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1호
    • /
    • pp.39-49
    • /
    • 2020
  • A dapo type bracket system which consists of chuganpo(柱間包) and chusangpo(柱上包) with a fake-beam adopted a nemok-dori member to cope with oemok-dori member in order to obtain balance between the outer-side and the inner-side of the bracket system. The middle part of the longest rater in the dapo system is supported by three points made by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members and the area between the rafer supporting points forms a supporting area. The increase of rafter supporting points and supporting area leads to heighte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load delivery. In the eave of dapo system the portion where the three supporting points formed by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members shows as 33% in the early period, 71% in the middle period and 78% in the later period. On the contrary the portion where more than one of the three dori members were omitted shows as 67% in the early period, 29% in the middle period and 22% in the later period. This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 the number and the distance of steps in the dapo bracket system as time goes on. This is because the structural role of three supporting points becomes important as the increase of distance between the dori members leads to the increase of load which burdens on each dori member.

안성 석남사 영산전 목부재의 수종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Members in the Youngsanjeon Hall of Sucknamsa Temple)

  • 박원규;정현민;김상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11
    • /
    • 2008
  • 안성 석남사 영산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대들보, 서까래, 청판 등 총 95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은 소나무류(경송류), 외래산 소나무류, 느티나무, 은행나무, 감나무속, 배나무속,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등 7 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에서는 소나무류(경송류) 8점, 느티나무 1점, 배나무속 1점이 확인되었다. 추녀에서는 은행나무 2점과 느티나무 2점, 대들보에서는 소나무 1점과 느티나무 1점이 나왔다. 주심도리는 2점 모두 상수리나무류이었고, 서까래에서는 은행나무 1점과 외래산 소나무류 1점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소나무류인 것으로 밝혀졌다. 적심목에서 느티나무 1점과 감나무속 1점이 나왔다. 다른 부재는 소나무류가 대부분이었다. 서까래에서 나온 외래산 소나무 1점은 해방 이후 영산전 수리 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나무류 이외에 다양한 수종의 목재가 사용된 것은 사찰 인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종들을 이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