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ccurrence and A change in the times of the Nemok-dori

내목도리의 발생과 시대적 변화에 관한 연구

  • 허경도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 정명섭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9.11.05
  • Accepted : 2020.02.14
  • Published : 2020.02.29

Abstract

A dapo type bracket system which consists of chuganpo(柱間包) and chusangpo(柱上包) with a fake-beam adopted a nemok-dori member to cope with oemok-dori member in order to obtain balance between the outer-side and the inner-side of the bracket system. The middle part of the longest rater in the dapo system is supported by three points made by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members and the area between the rafer supporting points forms a supporting area. The increase of rafter supporting points and supporting area leads to heightening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the efficiency of load delivery. In the eave of dapo system the portion where the three supporting points formed by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members shows as 33% in the early period, 71% in the middle period and 78% in the later period. On the contrary the portion where more than one of the three dori members were omitted shows as 67% in the early period, 29% in the middle period and 22% in the later period. This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 the number and the distance of steps in the dapo bracket system as time goes on. This is because the structural role of three supporting points becomes important as the increase of distance between the dori members leads to the increase of load which burdens on each dori member.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훈.박언곤, 한국 목조건축물의 처마내밀기의 비례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7권 5호, 1991
  2. 최지혁, 韓國傳統木造建築도리 配置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 이연노, 한국전통목조건축의 보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 정춘환, 18세기 목조건축의 도리 결구방식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이연노.주남철, 고려말 조선초 다포건축 공포의 결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 8호, 2003
  6. 양재영.주남철, 朝鮮時代多包建築의 出目과 도리配置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권, 10호, 2003
  7. 정연상, 조선시대 목조건축의 맞춤과 이음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 양재영, 조선시대 다포식건축의 가구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9. 박진기, 조선시대 사찰불전의 처마내밀기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조은경.한주성, 안악 월정사 극락보전의 건축 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
  11. 성대철.박강철, 전통 목조건축의 처마부 특징과 치수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권, 12호, 2010
  12. 김영성, 韓國傳統建築의 처마깊이와 지붕물매에 관한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3. 서효원, 전통목조건축물 중도리 위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여인환, 다포 불전의 주상부 결구유형에 관한 연구-공포와 보, 도리의 결구를 중심으로 ,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5. 성대철, 한국전통목조건축의 가구구조와 도리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권, 06호, 2012
  16. 성대철, 한국전통사찰건축의 유형별 도리배치 특징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8권, 12호, 2012
  17. 김병석, 다포계 사찰 건축물의 반자에 관한 연구 ,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8. 김효장.신웅주, 다포불전 공포의 외목도리 지지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7권, 4호, 2015
  19. 강동우, 외목도리 하중 부담 방식을 통해 본 다포식 건축의 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김석현, 헛보의 구성과 의장을 통해 본 한국 다포계 건축의 특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2권, 2호, 2016
  21. 양재영, 한국 주심포식건축의 처마구조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5권 3호, 2016
  22. 허경도.정명섭 내목도리의 발생과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자료집, 2019
  23. 杉山信三, 韓國の中世建築, 相模書房, 1984
  24. 장경호, 한국의 전통건축, 1992
  25. 윤장섭, 한국의 건축, 1994
  26.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문화재해설집 1-3, 1998
  27.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건축사연구자료 27권-30권 북한의 전통건축, 2007
  28. 내소사 주지 眞源, 來蘇寺誌, 2007
  29. 대한건축학회, 한국건축사, 2008
  30.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 국보유적 연혁 자료집, 2012
  31.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2013
  32. 문화재청 및 각 지방자치단체, 건물별 정밀실측보고서 또는 수리보고서
  33.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34.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