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변부 지하수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Study on the Groundwater Effects in the Design of Tunilel Lining (배수형 터널내 과다유입수가 터널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

  • Cheon, Byeong-Sik;Choe, Song-Am;Nam, Sun-Seong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25-140
    • /
    • 1995
  • Generally, the groundwater pressure is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of concrete lining of bottom drainage tunnel. This design method implies that the phreatic surface is drawdown to the bottom of tullnel. When tile groundwater is continually supplied without changing of groundwater table, there is a possibility at which the groundwater pressure acting on the tunnel lining after the completion of tunnel. Therefore, the safety of tunnel lining must be checked in this case. In this paper, the stability of bottom drainage tunnel which is affected by groundwater discharge is analzed by using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at the 2 sections of subway where the groundwater level has a tittle change during the construc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grouting for the water tightness and the permanent monitoring system of tunnel are required for maintaining of long-term stability of bottom drainage tunnel for the case of groundwater plassure acting on the tunnel lining is greater than that of design stage.

  • PDF

Development of a reuse system for agricultural purpose with wastewater in Youljung, Jeju Island (제주 월정 농업용수재이용시스템 개발)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0-470
    • /
    • 2011
  • 환경부 하수재이용사업은 2007년도 하수도법 개정을 통해 공공하수처리시설 처리수의 재이용 의무화를 시작으로 2010년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전국적으로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제주도 월정하수처리장은 2009년도 하수재이용사업지구로 선정이 되어 2010년도부터 농업용목적의 재이용으로 구체적인 설계와 시공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지구이다. 제주도에서는 지하수보존을 위해 대체수자원 개발 방안을 시급히 마련중에 있다. 특히,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제주도, 2004)에는 하수처리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할 정도로 지하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중에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은 사용된 물을 재이용함으로써 물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유역 또는 해양으로 배출되는 오염원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농산물 생육에 직접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주변의 수질 생태 토양 환경 및 영농인의 보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찰과 검증작업이 필요하다. 이 에 서울대와 한국농어촌공사는 안전한 농업용수 재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장기간 현장시험을 통해 재이용 재배기술과 함께 보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그 개발기술을 월정사업지구에 적용하게 되었다. 월정하수처리장이 위치한 제주 동부의 월정지역은 농지면적이 밭(374ha)과 과수(12ha)등 제주도의 전형적인 농촌마을으로 주요 재배작물은 마늘과 당근, 쪽파, 콩 등으로서 농업기반시설의 미비로 영농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2006년도에 발생한 가뭄으로 그 해 평균 수학량의 30%가 감소된 바 있는 지역이다. 제주도 농업용수 종합계획수립(2004, 제주도)에서는 10년에 한발을 기준 으로 $43,000m^3$/일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최근 $35,000m^3$/day 규모의 상수도 확보사업 계획 수립하였으나 여전히 농업용수가 부족하다. 방류수의 수질은 방류수수질기준을 만족하지만 염분함량이 높아 직접 농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기 않고, 농업용재이용방류수 수질기준에 맞도록 재이용시스템을 통해 재처리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해야 한다. 제주도에서는 이미 제주 서부하수처리장 농업용수 재이용사업(이하 판포재이용사업)'이 완료되어 재이용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하수재이용사업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and Vegetation near the Closed Daeseong Coal Mine in Keumsan, Chungnam (충남 금산 폐탄광지역의 토양 및 식물체내 중금속 오염)

  • 민일식;송석환;김명희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2
    • /
    • pp.41-51
    • /
    • 1998
  •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heavy metal pollution of soils and vegetations adjacent to the closed Daeseong coal mine in Keumsan, Chungnam. The studied area was divided into two sites ; the coal-bearing polluted and the non-polluted without coal. The samples of the weathered soils and vegetations(Miscnthus sinenis(MS) and Pinus rigida(PR)) were collected from both area. Cr, Mo, Ni, and Fe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polluted soils, whereas Co, Sc, and Zn concentrations were high in the non-polluted soils. In the vegetations, Co, Cr, Sc, and Fe concentrations in the roots of MS and PR growing on the polluted sites were higher than the above-ground. However, on the non-polluted sites, Mo and Ni concentrations had an opposite trend. In the above-ground parts,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s (except Cr) were shown in MS of the non-polluted sites, whereas in the roots, heavy metal concentrations (except Zn) were high in the polluted sites. In the averag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wo plants, most elements (except Zn) were lower in the plants than the soils. Comparing with vegetations and adjacent forest soils,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the MS were similar to those of soil concentrations relative to the PR, suggesting that absorptions of the elements were higher in the MS than the PR.

  • PDF

Study on the Occurrence of Tunnel Damage when a Large-scale Fault Zone Exists at the Top and Bottom of a Tunnel (대규모 단층대가 터널 상하부에 존재하는 조건에서 터널 변상 사례 연구)

  • Jeongyong Lee;Seungho Lee;Nagyou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12
    • /
    • pp.53-60
    • /
    • 2023
  • Recently,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high-speed rail and road design speed, the proportion of tunnel construction work is increasing proportionally.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long tunnel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mountainous terrain of our country. In this way, due to the trend of tunnels becoming longer,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construct tunnels by avoiding fault zones. In the case of tunnel construction in mountainous areas, ground investigation is often difficult even during design due to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making precise ground investigation difficult, and as a result,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is damaged during tunnel construction. When fault zones, which are vulnerable to weathering, exist, the stability of the tunnel during excavation is directly affected by the fault zone distribution,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range. In particular, when a fault zone is distributed in the upper part of a tunnel, damage such as tunnel collapse and excessive displacement may occur, and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dvance, countermeasure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similar cases. Therefore, in this study, when a large-scale fault zone exists in the upper part of a tunnel, the 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s of damage to the tunnel structure were analyzed.

Study on Radioactive Material Management Plan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Water (II) Study of Management System in Water Environment of Japan (물 환경의 방사성 물질 관리 방안과 분석법에 관한 연구 (II) 일본의 물 환경 방사성물질 관리 체계에 대한 고찰)

  • Han, Seong-Gyu;Kim, Jung-Mi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305-313
    • /
    • 2015
  • After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in 2011, study and maintenance of monitoring systems have been made at home and abroad. As concerns about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water have increased in Korea, update of maintenance of managing radioactive materials in water is being made mainly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nalysed current state of monitoring system modification in Japan, the country directly involved and neighboring country. According to the result, Japan modified the legislations first. Then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of radiological monitoring. And Ministry of the Environment actually watches state of water pollution in public waters and underground water. Finally related agencies like local government are monitoring current state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water environment. By region, local monitoring stations share the investigation of the whole country. Also, additional monitoring is running around nuclear facilities. After Fukushima disaster, monitoring for area near Fukushima is added. Among the reference levels, management target value of drinking water and tap water is 10 Bq/kg, and those of public water and underground water are 1 Bq/L. Measuring intervals varied from every hour to once a year, regularly or irregularly depending on the investigation. The main measuring items are air dose rate, gross ${\alpha}$, gross ${\beta}$, ${\gamma}$ radionuclide, Cs-134, Cs-137, Sr-89, Sr-90, I-131, and so on. In comparison, regulations about general public water in Korea need to be modified, while those about area near nuclear facility and drinking water are organized well. In future, therefore, domestic system would be expected to be modified with making reference to the guidelines like WHO's one. As good case of applying international guideline to domestic environment, Japanese system could be a reference when general standard of radioactivity in public water is made in Korea.

Status and Management Strategy of Pesticide Use in Golf Courses in Korea (우리나라 골프장의 농약사용 실태 및 관리방안)

  • Kim, Dongjin;Yoon, Jeongki;Yoo, Jiyoung;Kim, Su-Jung;Yang, Jae 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3
    • /
    • pp.267-277
    • /
    • 2014
  •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available data on the pesticide uses and regulations in the golf courses, and provide the nationwide systematic management options. Numbers of golf courses in Korea are rapidly increasing from 2000s and reached at 421 sites by the end of 2011. Accordingly pesticide usage has been increased with year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golf courses. Amounts of pesticide applied in 2011 were 118,669 kg as of an active ingredient and were in the orders of fungicides (54.9%) > insecticides (24.4%) > herbicides (13.3%) > growth regulators (0.1%). Average pesticide usages in 2011 were 280.9 kg per golf course and $5.4kg\;ha^{-1}$. Frequencies of the residual pesticide detections in green and turf were higher than those in fairway and soil, respectively. Residue of highly toxic pesticides was not detected in golf courses.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0 has developed the 'golf course pesticid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which is the advanced online registry for kind and amount of pesticides applied in each golf course. This system is intended for monitoring of the pesticide uses and residual level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pesticides in the golf course. In 2009, management of pesticides in the golf courses became the task of Ministry of Environment, being merged from many federal agency and ministries. The protocol for the site-specific best management practices, on which to base results from the risk assessment, should be set for pesticides in the golf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s.

Characteristics of Stream and Soil Contamination from the Tailing Disposal and Waste Rocks at the Abandoned Uljin Mine (울진 폐광산의 매립광미와 폐광석에 의한 주변 토양 및 수계의 오염특성)

  • Lee, In-Gyeong;Choi, Sang-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1 no.1
    • /
    • pp.63-79
    • /
    • 2008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 water, leachate, mine water and groundwater were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influences of the tailing and waste rock from the abandoned Uljin mine area. Total extraction analysis and mineralog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sulfide weathering an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s of trace elements in the soil affected by mine waste (tailing, waste rock and leachate). The pH and EC value of the leachate from the tailing disposal ranged 2.9-6.0, $99{\sim}3,990{\mu}S/cm$,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major (up to 492 mg/l Ca; 83.8 mg/l Mg; 45.2 mg/l Na; 44.7 mg/l K, 50.8 mg/l Si) and trace elements (up to $826,060{\mu}g/l$ Fe; $131,230{\mu}g/l$ Mn; $333,600{\mu}g/l$ Al; $61,340{\mu}g/l$ Zn; $2,530{\mu}g/l$ Cu; $573{\mu}g/l$ Cd; $476{\mu}g/l$ Pb) were relatively high. The stream water showed the variation of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in seasonally and spatially. The dissolved metal contents of the stream water increased by influx the leachate from the tailing disposal, but these of the down stream have been considerably decreased by mixing of dilute tributaries. The dissolved metal concentrations of the stream water at dry season (as February) were lower than these at rainy season (as May and July). These represent that the amounts of the leachate varied with season. However, stream water could not be effectively diluted by confluence with uncontaminated tributaries, because the flux of tributaries and streams reduced at dry season. Thus attenuations by dilution had been dominantly happened in rainy seasons. The order of accumulations of trace element in soils compared with background values revealed Mn>Fe>Pb>Cu>Zn. Sulfide minerals were mainly pyrrhotite, sphalerite and galena and chalcopyrite. Pyrrhotite was rapidly weathered along the edge and fractures, and results in the formation of Fe-(oxy)hydroxides, which absorbed a little amount of Zn.

처분환경에서 처분용기 재질의 부식

  • 김승수;전관식;김영복;연제원;최종원;한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23-224
    • /
    • 2004
  • 고준위폐기물 혹은 사용후 핵연료의 처분용기 재질은 각 국의 처분개념과 처분공의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기의 후보재질로는 탄소강, 스텐레스 강, 구리, 니켈, 티탄 혹은 이들의 합금이 주로 고려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선정되지 않았다. 국내 처분환경에서 이들 재질의 부식특성을 조사하고자 모의 화강암 지하수를 가해 만든 겔 상태의 경주 벤토나이트에 탄소강, 스텐레스 강, 구리 시편을 넣고, $70^{\circ}C$, 아르곤 분위기에서 530일 경과한 후 시편의 표면 변화 (그림 1) 및 무게 감소를 측정하였다. 철 부식시편은 검정색의 철 화합물 층으로 덮여 있었으며, 구리표면에는 노란색의 부식층이 형성되었는데, 이를 XRD로 분석한 결과 $Cu_2O$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700^{\circ}C$에서 각각 0, 24, 96시간동안 예민화시킨 스텐레스 강 시편들은 모두 초기상태 그대로 광택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XRD에서 다른 화합물의 형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림 2). 시편의 무게 감소가 균일부식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하여 환산한 결과, 구리와 스텐레스 강 모두 0.3~0.4 $\mu\textrm{m}/yr$의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구리는 부식생성물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부식두께는 이 값보다 더 클 것으로 생각된다. 용기가 초기 530일간과 같은 속도로 처분용기의 부식이 진행된다면 한국에서 기준처분 개념으로 삼고 있는 50mm 두께의 내부식성 외벽 금속용기는 적어도 만년이상 견딜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검정색 부식층을 제거한 무게감소로부터 계산한 철의 부식속도는 구리의 약 30배에 해당하였다. 금속 재질의 정확한 부식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실험이 요구된다. 시험법 선정에 각계(규제기관, 학계, 발전소 현장 및 산업계 등) 전문가로부터 기술자문회의를 통하여 자문 의견을 받기로 하였다. 특히 현재 폐기물 인수 기술기준치가 설정된 국가의 시험법을 심층 있게 검토하기로 하였다.검토하기로 하였다. 혹은 수성주변 환경이 지배하는 산악이나 구릉지에서 흔히 나타나는 침엽수-낙엽활엽수의 혼합림 식생상태를 잘 대변해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의림지 호저 퇴적층 중에서 인위적인 교란흔적이 없는 암회색 유기질 니층에 대한 탄소연대측정 결과, 제1호공 12번 시료에서 950$\pm$40 years B.P을 얻었으며, 제3-1호공에서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8, 10, 11번 시료에 대하여 500$\pm$30 years B.P, 650$\pm$30 years B.P, 800$\pm$40 years B.P의 연대측정 결과를 획득하였다. 이상과 같은 의림지 호저 퇴적층의 형성환경과 형성시기 연구를 통하여 의림지의 제방축조의 최초시기를 해석해 보면, 의림지의 제방은 적어도 과거 약 827년 전에서 866년 전에는 이미 축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과거 제천 일대에 살았던 옛사람들이 의림지 하류의 곡지중앙과 고기 충적선상지에 대한 관계용 용수조달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상류부 곡지하천의 자연입지 환경을 최대한 이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판단된다..준비하였다.전류를 구성하는 주요 입자의 에너지 영역(75~l13keV)에서 가장 높은(0.80) 상관계수를 기록했다. 넷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 PDF

The Development of Optimal Path Model for Transport of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 소송을 위한 최적경로모형 개발)

  • 조용성;오세창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08-508
    • /
    • 1998
  • 위험물 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위험물의 방출이 미치는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위험물 수송시 응급처리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에 따른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시 고려해야할 여러 조건에 관한 연구, 위험물 수송경로 설정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우리 나라는 위험물차량관리와 사고처리에 대해 실시간적인 관리를 목표로 하는 국가차원의 계획을 수립하고는 있지만, 현재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산업발달에 따른 위험물수송량의 증가와 환경의식의 변화에 따라 위험물수송 및 사고처리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운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링크 주변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산정된 위험도를 기반으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상 네트웍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것은 운송거리와 운송비용이 각각 주요한 변수라는 것이다.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logilikelihood 값을 구하여 $\rho$^2분석을 시행하였다. 여기서는 각 품목별로 $\rho$^2값이 약 0.15~0.3의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모형의 설명력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이 아울러 증명이 되었다.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영업용 차량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곧 영업용 화물차량을 적재중량별로 구분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자가용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회사는 다른 운송전문업체에 화물운송을 의뢰하게 되므로 출하중량에 따라 화물차량을 구분하는 것에 대해서 그다지 큰 고려를 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적합함을 재확인함. 6. 혼잡초기를 제외한 혼잡기간 중 대기행렬길이는 밀도데이터 없이도 혼잡 상류부의 도착교통량과 병목지점 본선통과교통량만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함. 7. 이상에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고속도로 대기행렬길이를 산정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형을 제시함.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

  • PDF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Geomembrane Liner System in Closed Waste Landfill (사용종료 폐기물 매립장의 멤브레인 차수시스템 안정성 평가)

  • Lee, Heung-Gil;Oh, Young-I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9 no.1
    • /
    • pp.39-46
    • /
    • 2010
  • Recently, the effective use of closed waste landfill nearby urban areas has been demanded, because of the lack of the usable land. However, the reuse of closed landfill is needed an adequate stabilization of liner system. But most of these places are consisted of steep slope and hence it is necessary to use the geosynthetics liners in there. Liner system of waste landfills is an important facility which prevents leachate outgoing from the landfills and also groundwater infiltrating from surroundings into the landfills. During the waste disposal stage, differential settlement and tensile stress of the geosynthetic materials could occur due to impact load of trucks and dozers, waste loads and weak foundation soils. In this study, the tensile strength and tracer tes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geomembrane liner systems. Based on the tensile strength test result of in-situ geomembrane sample, the yield tensile strength maintain the suitable strength by specification and current law. However, according to the tracer test, the damage of geomembrane liner was detected on sanitary landfill s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