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변감시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7초

웹 기반 RMS 설계 및 구현 (Web based RMS Design and Implementation)

  • 김영균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09-518
    • /
    • 2005
  •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RMS; Remote Monitoring System)은 산업의 자동화 과정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단순한 상태 감시기능에서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기반의 실시간 제어 기능을 갖는 복합 응용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로 연동된 원격 사이트의 타겟 시스템(target system)을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감시기능과 특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능을 갖는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서 타겟 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 클라이언트가 모니터링 화면에서 특정 모듈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의 상태를 제어하는 출력제어 기능, 클라이언트가 웹 환경에서 타겟 시스템의 환경 변수를 직접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환경설정 기능, 네트워크에 연동된 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타겟 시스템 주변 환경을 비디오로 감시할 수 있는 비디오 감시기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RMS는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타겟 시스템에 쉽게 접근 및 관리가 가능하며, 특히, 무인 자동화 설비 및 폐쇄 공간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원자력발전소 금속파편감시계통 센서 건전성 평가 (Evaluation Methode for LPMS Sensor of Nuclear Power Plant)

  • 조성한;정창규;김형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1816-1817
    • /
    • 2011
  • 원자력발전소의 금속파편감시계통(LPMS : Loose Parts Monitoring System)은 원자로냉각재계통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금속 이물질과 구조물 이완부에 의한 충격신호를 조기에 검출하여 원자로 구조물 및 핵연료 손상, 제어봉 구동장애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발전소 안전운전을 담당하는 중요 감시설비이다. LPMS는 금속 이물질이나 구조물 이완부에 의한 충격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충격파에 민감한 가속도계를 원자로냉각재계통 중 금속파편이 자연적으로 모일 수 있는 각 구역의 표면에 최소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원전은 규제요건에 따라 설비의 건전성 확인을 위해 24시간, 7일, 31일, 91일 마다 각 1회의 설비 건전성 시험을 수행하며, 계획예방정비기간 중에는 가속도계 주변에서 강구나 스프링 타격기를 이용한 충격시험을 통해 설비 전체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설비 건전성 확인을 위해 경상운전 중에 수행하는 설비 건전성 시험에는 설비 특성상 가속도계 및 전치증폭기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상운전 중 가속도계와 전치증폭기의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이용한 고관절 주위 석회화 건염의 치료: 4례 보고 (Ultrasonography-Guided Multiple Needling for the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Around Hip Joint: 4 Cases Report)

  • 권용욱;이경재;민병우;배기철;조철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93
    • /
    • 2012
  • 고관절 주변에 발생하는 석회화 건염은 그 발생빈도가 극히 드믈지만 증상이 발생하면 매우 심한 통증으로 일상 생활이 힘들어진다. 저자들은 급성 고관절 통증과 관절 운동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4례에서 석회화 건염을 진단하고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부스닥트용 온도감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for bus duct)

  • 김동욱;남석현;박성주;허성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
    • /
    • pp.15-16
    • /
    • 2006
  • 배전선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22.9kV급 XLPE 케이블에 의한 전력공급이 주를 이루어 왔다. 한편으로 대규모 전력을 소비하는 공장 및 고층 빌딩의 전력 공급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각각 부하로의 많은 회선수의 케이블 포설을 요하는 전력케이블 보다는, 한 선로로 보다 많은 대전류를 수송하면서 부하 가까이에서 필요한 전류를 간편하게 분기해 공급받는 부스덕트 시스템이 시공 및 배전선로 관리의 간편성에 의해 점차 용도가 늘어나고 있다. 부스닥트 시스템의 대부분은 일단 시설물이 건축될 때 건축물의 상부 공간 또는 설비가 위치한 하부 바닥 구간을 통해 설치된 이후, 기타 배관, 가스관 등의 추가적인 건축 구조물과 함께 설치되어 이후 선로의 보수 진단 등이 대부분 어렵게 되어진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부스덕트의 온도감시 시스템은 아무리 복잡하고 협소한 설치 환경이라도 특수한 포설 공법에 의해 광화이버를 포설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부스덕트 선로의 표면온도와 주변온도를 상시 감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부스덕트 선로의 활용뿐만 아니라 과열에 의한 절연사고를 미연 방지하는 운전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원전주변 환경방사능 분석기술의 개선(I) (An Improvement on the Analysis Techniques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Around Nuclear Power Plants)

  • 김숭평;채경선;정운관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8-15
    • /
    • 1995
  • 환경방사능 분석기술은 원자력시설의 가동중 정상 및 비정상 상태시 이상판단과 지역특성에 따른 주변환경 방사능의 특성 및 거동파악 등을 하는데 필요한 기술로 원전 가동전, 후 환경방사능량을 비교함으로서 방사능 오염 및 변화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국내에는 현재 관련법에 따라 규제기관 및 관련기관에 의해 환경감시가 계속되어오고 있으나 분석기술에 대한 한국규격이 없으므로 분석절차가 서로 상이하고 분석결과의 상대오차율이 커서 환경방사선 감시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토양시료에 대한 감마핵종 분석에 한정하여 기수행된 측정방법 및 결과 둥을 비교분석하므로서 원전주변 환경방사능 감시목적에 적합한 분석기술의 신뢰도 향상 및 상대오차율 최소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동적 물체 감지를 위한 Temporal Difference 차 영상 검출 방법에서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임계값 설정 방법 연구 (Adaptive Threshold Method in Temporal Difference for Tracking Moving Object)

  • 최덕화;백상현;김동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355-358
    • /
    • 2012
  • 배경 영상에서 움직이는 물체 검출은 대상의 정확한 분류나 움직임, 패턴의 이해 또는 감시 시스템에 활용이 된다. 동적 물체 검출을 위한 여러 방법이 연구되고 제시되었으며, 그 중 일반적으로 차 영상 검출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영상 프레임간의 차를 구하고, 이 차 영상에 임계값을 설정하여 이진 영상을 만들어 물체를 검출한다. 기존 여러 연구에서는 이 임계값을 대부분을 고정하여 사용하거나 특정 환경에만 적합하게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임계값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차 영상 검출 방법에 실제 적용하여 기존 방법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스마트 카메라 기술동향 (Technical Trends of Smart Cameras)

  • 김무섭;한종욱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6권6호
    • /
    • pp.139-153
    • /
    • 2011
  • 1990년 후반 이후, 스마트 카메라가 널리 대중화되면서 비디오 감시(video surveillance) 분야와 머신 비전(machine vision) 분야의 산업에서 스마트 카메라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스마트 카메라는 단순히 영상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카메라 기능에서 벗어나, 미리 정해진 여러 가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비전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이 확대되면서 카메라 내부에서 지능형 영상처리나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서 스마트 카메라는 움직임 감지, 오브젝트 측정, 차량의 번호판 인식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동까지도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스마트 카메라는 빌딩관리나 빌딩제어 분야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디바이스가 되었으며, 향후에는 우리 주변 곳곳에 스며들어 주변 환경에 따라 지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 카메라의 기술적인 정의와 특징을 살펴본 후에 스마트 카메라의 기술적인 동향들을 살펴볼 것이다.

  • PDF

신월성원전 건설 중 해수침수사고와 해결과정의 고찰

  • 이병일;정진욱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9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39-40
    • /
    • 2009
  • 2009년 4월 29일 신월성원전 건설현장에 해수가 유입되어 건설 중에 있던 구조물과 건축 재료가 해수에 침수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후 지역의 대표들이 신월성침수사고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침수된 구조물의 안전성과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침수사고의 개요와 조사위원회의 구성과정 및 활동 그리고 조사위원회의 의미 등을 살펴보고 이 때 월성원전감시기구의 역할 등을 고찰하여 원전주변지역 주민의 의식변화와 이에 따른 관련기관의 역할을 기술하였다.

  • PDF

소부대 전술 $C^4I$ 능력 향상 방안

  • 양병희
    • 국방과기술
    • /
    • 2호통권288호
    • /
    • pp.50-59
    • /
    • 2003
  • 전술$C^4I$체계가 전력화되어 작전반응이 더욱 빨라지고 획득한 정보가 필요한 부서와 제대에 모두 공유되고, 부대의 각종 자산을 충분히 활용 가능하며, 전장상황의 인식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전술$C^4I$체계 구축을 통해 미래 지상전장 운용개념인 "다차원 동시 통합전투"가 비로소 가능해진다. 이런 직접적인 효과 이외에도 군의 과학화 마인드를 확산시키며, 민간의 선진기술이 군에 적용되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우리 군이 현재 미래 전장환경과 주변국 위협에 대비하여 장거리 타격수단에 표적을 제공하기 위한 대부대용 UAV를 전력화하여 전천후 감시로 실시간 장거리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것은 획기적인 사실이다.

  • PDF

실시간 대기질 예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Air-quality Forecasting System)

  • 구윤서;문윤섭;윤희영;김성태;최상민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5-136
    • /
    • 2003
  • 효과적인 대기오염 관리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와 배출량을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이로부터 야기되는 대기오염도 및 위해성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서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감시하기 위해 구축중인 굴뚝 TMS망을 실용적인 대기환경 관리시스템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TMS 측정되고 있는 오염물질이 주변 대기환경에 미치는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히 예측하여 수용체 중심으로 사업장 및 도시ㆍ산단지역의 대기환경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선진화된 차세대 대기환경관리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